본 조사는 2000년 2월 1일부터 2002년 5월 30일 사이에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에 위치하는 금산(681m)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인근 주변의 식생도 개관조사 하였다. 본 지역의 식생을 분석하기 위해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분석방법으로 분석,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10개의 자연군락(소나무군락, 곰솔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때죽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락, 히어리군락)과 1개의 식재림(편백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복곡저수지 아래 계곡부에는 환경부지정 보호야생식물인 히어리가 아교목상으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복곡저수지 인근에서는 끈끈이주걱, 방울새란 등이 발견되었다.
본 조사는 2000년 2월 1일부터 2002년 5월 30일 사이에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에 위치하는 금산(681m)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인근 주변의 식생도 개관조사 하였다. 본 지역의 식생을 분석하기 위해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분석방법으로 분석,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10개의 자연군락(소나무군락, 곰솔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때죽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락, 히어리군락)과 1개의 식재림(편백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복곡저수지 아래 계곡부에는 환경부지정 보호야생식물인 히어리가 아교목상으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복곡저수지 인근에서는 끈끈이주걱, 방울새란 등이 발견되었다.
The vegetation of Mt. Geum in Namhae-gun Gyeongsangnam-do was investigated by the methodology of the ZM school, from February, 2000 to May, 2002. An actural vegetation map and vegetation table were construc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y in this area. The vegetation in this stu...
The vegetation of Mt. Geum in Namhae-gun Gyeongsangnam-do was investigated by the methodology of the ZM school, from February, 2000 to May, 2002. An actural vegetation map and vegetation table were construc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y in this area. The vegetation in this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10 communities (Pinus. densiflora, P. thunbergii, Quercus acutissima, Q. serrata, Q. variablis, Q. mongolica, Styrax ja-ponica, Corylopsis coreana, Zelkova serrata and Carpinus tschonoskii) and 1 afforestation (Chamaecyparis obtusa). According to the actual vegetation map, P. thunbergii forest, Q. serrata forest and Q. mongolica forest were found at the southern slope, northern slope and the center region of Mt. Geum, respectively. The forest of P. thunbergii was widely distributed in this area.
The vegetation of Mt. Geum in Namhae-gun Gyeongsangnam-do was investigated by the methodology of the ZM school, from February, 2000 to May, 2002. An actural vegetation map and vegetation table were constructed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plant community in this area. The vegetation in this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10 communities (Pinus. densiflora, P. thunbergii, Quercus acutissima, Q. serrata, Q. variablis, Q. mongolica, Styrax ja-ponica, Corylopsis coreana, Zelkova serrata and Carpinus tschonoskii) and 1 afforestation (Chamaecyparis obtusa). According to the actual vegetation map, P. thunbergii forest, Q. serrata forest and Q. mongolica forest were found at the southern slope, northern slope and the center region of Mt. Geum, respectively. The forest of P. thunbergii was widely distributed in this are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조사는 남해군 금산의 식물상 과 식생 현황을 파악하여 식물자원에 대한 합리적 보전대책과 아울러 한려해상국립공원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제안 방법
식생조사방법은 Braun-Blanquet[l]와 Z-M 학파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되었고, 선정된 식분에 2mx2m, lOmxlOm, 15mxl5m 방형구를 설치하여 수목의 밀도, 흉고직경(DBH), 기저면적, 빈도, 피도, 수고 등을 조사하였으며, 각 종의 우점도(D)와 군도(S)를 측정하였다. 우점도는 방형구 내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 종의 피복 면적과 개체수에 따라 7계급 (5, 4, 3, 2, 1, +, r)으로 나누어 판정하였고, 군도는 그 식물 종의 개체가 어떤 형태로 집단화를 하고 있는가를 5계급(5, 4, 3, 2, 1)으로 구분하여 판정하였다.
군도(S)를 측정하였다. 우점도는 방형구 내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 종의 피복 면적과 개체수에 따라 7계급 (5, 4, 3, 2, 1, +, r)으로 나누어 판정하였고, 군도는 그 식물 종의 개체가 어떤 형태로 집단화를 하고 있는가를 5계급(5, 4, 3, 2, 1)으로 구분하여 판정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Ellenberg의 표조작법[2]에 의거 정리하였으며 군락구성 종에 대한 동정은 이[12], 이[13], 이#4], 박[16]을 참고하였다.
본 조사 지역에 있어서 전체적인 식생의 개관을 파악하기 위하여 식생의 개관과 우점종 및 종조성을 기초로 하여 현존식생도(Fig. 1)를 작성하였다.
대상 데이터
동경 127° 57 00"〜128。01' 00" 사이에 위치한 금산 (경남기념물 저口8호, 해발 681m)을 중심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본 조사는 2000년 2월 1일부터 2002년 5월 30일 사이에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에 위치하는 금산(681m)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인근 주변의 식생도 개관조사 하였다. 본 지역의 식생을 분석하기 위해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10개의 자연군락 (소나무군락, 곰솔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때 죽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락, 히어리군락)과 1개의 식재림(편백식재림) 으로 구분되었다.
본 군락은 상주해수욕장에 인접한 금양리 앞 . 뒤의 야산과 상주수원지 위 해발 140〜200m지점에 분포한다.
본 군락은 매표소 뒤 등산로 주변부 해발 105〜 170m 지점에 분포한다. 교목층은 식피율 80%, 수고 8〜 10m로 곰솔이 우점한 가운데 소나무, 졸참나무가 분포하며, 아교 목 층에는 식피율 60%로 때죽나무가 우점한 가운데 감나무, 팥배나무, 사스레피나무, 개옻나무, 굴피나무 등이 혼생하며, 관목제1층에는 식피율 90%이상이며 사스레피나무와 개옻나무가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 가운데 굴참나무, 산벚나무, 조구나무, 쇠물푸레, 국수나무가 혼생하고, 관목제2 층에는 식피율 80〜90%정도로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하고 청미래덩굴, 붉나무, 광나무, 마삭줄, 땅비싸리, 감나무, 감태나무, 두릅나무 등이 흔히 혼생하며, 초본층에는 식피율 85〜90%정도로 억새, 주름조개풀, 산박하, 애기나리, 마삭줄, 까치수영, 엉겅퀴, 멍석딸기, 계요등, 단풍마, 그늘사초, 주름조개풀, 고사리, 까마귀 머 루, 칡 등이 혼생 분포하였다.
본 군락은 복곡저수지 주변부와 저수지 아래 해발 275m 계곡부에 아교목상 대상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아교목층은식피율이 85%로 수고 4〜6m의 히어리가 우점한 가운데 곰솔, 노각나무, 작살나무, 소나무 등이 혼재하며, 관목제2 층에는 식피율 60%정도로 히어리가 높은 빈도를 보이는 가운데 작살나무, 철쭉꽃이 나타나며, 하상 초본층에는 식피율이 30%로 그늘사초, 털대사초, 마삭줄, 지네고사리, 청미래덩굴, 비비추 등이 혼생한다.
본 식재림은 복곡저수지 위 사면부와 해발 19Qm일대, 편백 휴양림 아래 등산로변 260m 지점에 분포한다. 교목층은 식피율 50〜70%를 나타내고 편백이 우점한 가운데 졸참나무, 소나무가 분포하고, 아교목층에는 도로변과 임도 끝에는 식피율 90-100% 정도로 사스레피나무, 굴참나무, 정금나무, 신갈나무, 쇠물푸레, 편백, 노린재나무, 개옻나무, 청미래덩굴, 사람주나무, 함박꽃나무, 감태나무 등이 혼생 분포하고, 관목제2층에는 식피율 80〜90%정도로 진달래 편백, 싸리, 소나무, 철쭉꽃, 사스레피나무, 노린재나무, 때죽나무, 노각나무, 산초나무, 가막살나무, 생강나무 등이 혼재하며, 초본층에는 식피율 60〜70%인 그늘사초와 억새가 우점한 가운데 팥배나무, 마삭줄, 사스레피나무, 산벚나무, 애기나리, 애기족제비고사리, 지네고사리, 애기풀, 노루발, 고비 참취, 기름새, 청미래덩굴, 삽주, 까치수영, 조록싸리, 남산제비꽃, 삽주, 칡, 고사리 등이 혼생 분포하였다.
이론/모형
우점도는 방형구 내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 종의 피복 면적과 개체수에 따라 7계급 (5, 4, 3, 2, 1, +, r)으로 나누어 판정하였고, 군도는 그 식물 종의 개체가 어떤 형태로 집단화를 하고 있는가를 5계급(5, 4, 3, 2, 1)으로 구분하여 판정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Ellenberg의 표조작법[2]에 의거 정리하였으며 군락구성 종에 대한 동정은 이[12], 이[13], 이#4], 박[16]을 참고하였다.
성능/효과
본 지역의 식생을 분석하기 위해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10개의 자연군락 (소나무군락, 곰솔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때 죽나무군락, 느티나무군락, 개서어나무군락, 히어리군락)과 1개의 식재림(편백식재림) 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복곡저수지 아래 계곡부에는 환경부지정 보호야생식물인 히어리가 아교목상으로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복곡저수지 인근에서는 끈끈이주걱, 방울새란 등이 발견되었다.
본 조사 지역의 43개 방형구에서 조사된 총 789종의 종조성을 중심으로 하여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 정리한 결과 아래와 같이 10개의 자연군락과 1 개의 식재림으로 구분되었다(Table 1).
본 군락은 정상 능선부의 해발 520-650m 지점에 식피율 80%, 수고 4〜6m의 아교목상 신갈나무가 우점한 가운데 졸참나무, 노각나무, 산딸나무, 곰솔, 소나무, 팥배나무 등이 혼생하였고, 관목저층에는 식피율 70〜80% 정도로 철쭉꽃, 조록싸리, 진달래, 생강나무 등이 혼생하며, 관목제 2층에는 식피율이 30〜70%정도로 국수나무와 노린재나무가 높은 빈도를 보이는 가운데 청미래덩굴, 산철쭉, 윤노리나무, 새머루, 당단풍, 산가막살나무, 조록싸리, 개옻나무 등이 혼생하고, 초본층에는 식피율 50〜95%정도로 그늘사초, 기름새, 조록싸리가 우점하는 가운데 그늘개고사리, 애기나리, 지네고사리, 족도리, 밀나물, 각시둥굴레, 참취, 고깔제비꽃, 실새풀, 바위말발도리, 삽주, 구절초 등이 혼생분포하였다.
방화대관목저#층에는 식피율 100%정도로 때죽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서어나무, 쇠물푸레, 팥배나무, 졸참나무, 진달래, 산벚나무, 감태나무, 생강나무, 윤노리나무, 청미래덩굴, 산초나무, 철쭉꽃, 당단풍이 혼생 분포하며, 초본층에는 식피율 30%정도로 새가 비교적 높은 빈도를 보이며 억새, 넉줄고사리, 애기일엽초, 쇠물푸레 애기나리, 그늘사초 등이 혼생 분포하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