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등방성 탄소섬유의 활성화과정 중 발생하는 구조변화(I)-XRD를 이용한 분석
Microstructural Changes during Activation Process of Isotopic Carbon Fibers using CO2 Gas(I)-XRD Study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13 no.11, 2003년, pp.742 - 748  

노재승 (금오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ructural parameters such as Lc, La and d of $CO_2$activated isotropic carbon fibers(ACFs) were obtained from XRD in order to understand a development mechanism of micropores. And the structural parameters were compared with specific surface area(SSA) data. The $d_{002}$,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고전적인 XRD 분석법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활성화 과정 중에 탄소섬유 내부에서 발생하는 미세 구조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XRD 결과와 기체 흡착법 (BET)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고비 표면적에 미치는 기공 발달의 근본 원인 및 기공발달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이후 TEM 분석을 실시하여 XRD 분석에서 얻어진 결과와 비교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a)에서 (002) 피크는 피크 중심으로부터 비대칭성이고, 피크의 폭이 넓게 퍼져 있는 것으로 보아 섬유를 구성하고 있는 결정 영역도 흑연화도가 서로 다른 성분이 혼재하여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회절에 기여하는 결정 립 크기도 매우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비대칭 피크를 하나의 대칭 피크로 가 정하여 분석하였다.
  • 고려하였다. 즉, 원료 섬유의 내부 및 외부는 그 결정화 정도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는 가정이다. 등방성 피치계 탄소섬유는 l,000℃ 근처에서 제조되었기 때문에 안정화(stabilization) 단계를 거친 탄화섬유(carbonized iiber)라고 할 수 있다.
  • 산소농도가 감소하는 것은 섬유의 탄화가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산소농도가 증가하는 것은 안정화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탄소재료의 열처리 단계는 안정화 후탄화가 일어나지만 Fig. 6의 결과와 같이 탄화 후안정화가 반대의 순서로 일어나는 것은 섬유의 구조가 불균일하다는 가정을 적합하게 만든다. 즉 원료 섬유의 내부가 외부보다 상대적으로 덜 열처리되어 있는 부분안정화상태이고 , 섬유 외부도 불충분한 탄화상태라면 산화 초기에 섬유외부는 더욱 탄화가 일어나고, 섬유 내부는 열처리효과를 일으키기 때문에 안정화가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S. J. Gregg and K. S. W. Sing, 'Adsorption, Surface Area and Porosity', Academic Press, London (1982) 

  2. P. J. M. Carrot and K. S. W. Sing, 'Characterization of Porous Solid', 77, Ed. by K. K. Unger, J. Rouquerol, K. S. W. Sing and H. Kral, Elsevier Sci. Publ., Amsterdam (1988) 

  3. M. C. Mittelmeijer-Hazeleger and J. M. Martin-Martinez, Carbon, 30, 695 (1992) 

  4. H. Marsh, Carbon, 25, 49 (1987) 

  5. R. M. Bustin, J. N. Rouzaud and J. V. Ross, Carbon, 33, 679 (1995) 

  6. M. Endo, C. Kim, T. Karaki, T. Kasai, M. J. Matthews, S. D. M. Brown, M. S. Dresselhaus, T. Tamaki and Y. Nishimura, Carbon, 36, 1633 (1998) 

  7. M. A. Montes-Moran and R. J. Young, Carbon, 40, 845 (2002) 

  8. S. H. Yoon, Y. Korai, I. Mochida, K. Yokogawa, S. Fukuyama and M. Yoshimura, Carbon, 34, 83 (1996) 

  9. M. Endo,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23, 598 (1988) 

  10. A. Oberlin, M. Villey and A. Combaz, Carbon, 18, 347 (1980) 

  11. B. E. Warren, The Physical Review, 59, 693 (1941) 

  12. T. F. Yen, J. G. Erdman and S. S. Pollack, Analytical Chemistry, 33, 1587 (1961) 

  13. F. R. Ludwig Schoening, Fuel, 62, 1315 (1983) 

  14. D. L. Wertz and J. L. Quin, Energy & Fuels, 12, 697 (1998) 

  15. V. V. Kovalevski, P. R. Buseck and J. M. Cowley, Carbon, 39, 243 (2001) 

  16. M. Shioya, T. Ojima and J. Yamashita, Carbon, 39, 1869 (2001) 

  17. H. S. Shim and R. Hurt, Carbon 97, July 18-23, 438 ( 1997) 

  18. N. Yoshizawa, Y. Yamada and M, Shiraishi,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33, 199 (1998) 

  19. F. R. Ludwig Schoening, Fuel, 61, 695 (1982) 

  20. P. Ehrburger, N. Pusset and P. Dziedzinlo, Carbon, 30, 1105 (1992) 

  21. J. J. Freeman, F. G. R. Gimblett and K. S. W. Sing, Carbon, 27, 85 (1989) 

  22. T. Suzuki and K. Kaneko, J. Colloid Interface Sci., 138, 590 (1990) 

  23. K. Kaneko, C. Ishii, M. Ruike and H. Kuwabara, Carbon, 30, 1075 (1992) 

  24. F. Derbyshire, R. Andrews, D. Jacques, M. Jagtoyen, G. Kimber and T. Rantell, Fuel, 80, 345 (2001) 

  25. N. Yoshizawa, K. Maruyama, Y. Yamada and M. Zielinska-Blajet, Fuel, 79, 1461 (2000) 

  26. Z. Ryu, H. Rong, J. Zheng, M. Wang and B. Zhang, Carbon, 40, 1131 (2002) 

  27. Q. Chang, T. Liu and X. Cal, Carbon 95, July 16-21, 514 (1995) 

  28. T. Mays, J. Howell, L. King, B. McEnaney and D. Edie, Carbon 95, July 16-21, 510 (1995) 

  29. J. R. Fryer, Carbon, 19, 431 (1981) 

  30. M. Huttepain and A. Oberlin, Carbon, 28, 103 (1990) 

  31. L. I. Schukin, M. V. Komievich, R. S. Vartapetjan and S, I. Beznisko, Carbon, 40, 2021 (2002) 

  32. K. Kamegawa, K. Nishikubo and H. Yoshida, Carbon, 36, 433 (1998) 

  33. D. Gondy and P. Ehrburger, Carbon, 35, 1745 (1997) 

  34. X. Z. Sha, T. Kyotani and A. Tomita, Fuel, 69, 1564 (1990) 

  35. J. S. Roh and D. S. Suhr, Korean J. Materials Research, 7, 121 (1997) 

  36. J. S. Roh and D. S. Suhr, Korean J. Materials Research, 8, 114 (1998) 

  37. J. S. Roh and D. S. Suhr, Korean J. Materials Research, 8, 120 (1998) 

  38. J. Biscoe and B. E. Warren, Journal of Applied Physics, 13, 364 (1942) 

  39. A. K. Kercher and D. C. Nagle, Carbon, 41, 15 (2003) 

  40. S. Ergun and V. H. Tiensuu, Fuel, 38, 64 (1959) 

  41. A. Sharma, T. Kyotani and A. Tomita, Fuel, 78, 1203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