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 후기 사회구조의 변화가 주거공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경기지역 중상류 주거의 안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Residential Spaces and Social Structure in Latter term of Chosun Period - Focused on main houses of higher middle class in Gyeonggi province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no.41 = no.41, 2003년, pp.19 - 28  

박형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실내건축설계학과) ,  류호창 (건국대학교 조형대학 실내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idential space can be stated as a decisive body compositely affected by environmental,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Resulting from this idea, residential space can be defined as a mirror reflecting peoples' life at that perio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사례 조사를 통해 조선 후기 중상류 주거를 중심으로 당시 사회구조의 변화가 주거공간의 변천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는 조선 후기에 지어진 경기지역의 중상류 주거로 한정하여 이루어졌다.
  • 본 연구는 조선 후기 사회구조의 변화가 주거공간의 변천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조선 후기 의사회구조의 근간을 이루는 중세적 신분제도와 농업사회구조의 변화에 관한 문헌조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당시 의사회, 문화적 환경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되는 경기지역의 후기적 건축 현상에 대한 정보를 문헌과 도면을 통해 수집하여 사례조사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확보하였다.
  • 기술적 관점에서는 조선 후기 사장(私匠)의 활성화로 건축기술의 상향적 평준화를 가져왔고 공간의 확장 . 분화를 기술적으로 가능케 하였다.
  • 현장조사 결과는 사전에 문헌을 통해 조사된 사회구조적 변화 요인과 주거형태의 변화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분석해봄으로써 전제된 이론을 실증해보려 하였다.

가설 설정

  • 분류된다. 7)양반계층의 주거공간은 사회, 문화적 배경에 따라 서로 다른 모습으로 발전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os Hapoport, House and Culture, 이규목, 譯, 열화당, 1985 

  2. 강만길, 고쳐 쓴-한국근대사, 창작과비평사, 1994 

  3. 강만길, 조선후기 상업자본의 발달, 고대출판부, 1973 

  4. 김용섭, 조선후기농업사연구[I], 지식산업사, 1995 

  5. 안병태, 한국 근대 경제와 일본제국주의, 백산서당, 1982 

  6. 한국고문서학회, 조선시대 생활사 1,2, 역사비평사, 2000 

  7. 한국경제사학회, 한국사시대구분론, 을유문화사, 1995 

  8. 김영모, 조선지배층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7 

  9. 최일, 조선 중기이후 남부지방 중상류주거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89 

  10. 전봉희, 조선시대 씨족마을의 내재적 질서와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2 

  11. 전봉희, 조선후기 주거사에 있어서 겹집화 현상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권10호 통권96호 1996.10 

  12. 이상헌, 18C부터 1910년까지 한국건축의 변천에 대한 사적 고찰, 서울대석론, 1984 

  13. 김봉렬, 조선 후기 한옥 변천에 관한 연구, 서울대석론, 1982 

  14. 나종현, 해방이전에 지어진 경기도 지역의 농촌주거에 대한 조사 연구서울대석론, 2000 

  15. 이강민, 초기근대 전남지역 부농주거에 관한 연구, 서울대석론, 2001 

  16. 김동욱, 조선시대 영조조직 연구, 건축학회지, 1983.6 

  17. 김종헌.주남철, 한국전통주거에 있어서 안채와 사랑채의 분화과정에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권 2호, 1996.2 

  18. 김동욱, 한국건축의 역사, 기문당, 2003 

  19. 주남철, 한국주택건축, 일지사, 1994 

  20. 김흥식, 민족건축론, 한길사, 1987 

  21. 경기도사 편찬위원회, 경기도 역사와 문화, 경기출판사, 1997 

  22. 경기도사 편찬위원회, 경기도의 어제와 오늘, 경기출판사, 2001 

  23. 유승용, 민가연구의 상황, 대한건축학회지 33권 2흐 통권147흐 1989.3 

  24. 송주현, 문화재로 지정된 전국 주택건조물 현황, 대한건측학회지 33권2호, 1989.3 

  25. 조성기, 한국 중부형 민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7권3호,1991.6 

  26. 石毛直道, 住居空間 の人類學, 鹿島出版會, 1971 

  27. 흥형옥, 한국주거사, 민음사,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