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진호 추출물의 식중독 세균들에 대한 생육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erial Par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the Food-Borne Pathoge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8, 2003년, pp.1227 - 1232  

이종기 (초당대학교 의약행정학과) ,  서진종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 보존료의 개발을 위한 식품학적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인진호 추출물을 이용하여 9종의 병원균과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Salmonella typhimurium, Vibrio prahemolyticus에 대해 각 용매 추출물에서 고루 항균성을 나타내었고, 물 추출물은 Vibrio prahaemolyticus에 대해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아세톤 추출물의 항균력이 가장 높았다. 인진호 아세톤 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MIC)는 Staphylococcus aureus와 Bacillus subtilis에서 20 mg/mL, Vibrioparahaemolyticus에서 40 mg/mL 그리고 Salmonella typhimurium에서는 80 mg/mL로 나타났으며, 측정된 48시간 동안까지 최소저해농도 이상에서는 균이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다. 인진호 아세톤 추출물의 순차 분획물의 항균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와 부탄올 분획물이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Salmonella typhimurium, Bibrio prahemolyticus에서,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Salmuneila typhimurium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헥산 분획물은 Bacillus subtilis에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같은 사실은 인진호 추출물의 항균성 물질은 특정 용매에만 용해되지 않고 다른 용매에도 용해되는 성분으로 단일 물질보다는 여러 성분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천연물에 따라 항균력을 가지는 물질이 다양하여 추출용매의 선정이 항균성을 나타내는 성분을 찾아내는데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또한 인진호에서 추출된 항균성 물질이 Staphylococcus aureus나 Vibrio parahaemolyticus 등 식중독균의 생육억제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olvent extracts of the aerial par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ed by using several solvents with different polarities were prepared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examined.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cell growth inhibitions were investigated to each strain with the different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천연 보존료의 개발을 위한 식품학적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인진호 추출물을 이용하여 병원균과 식중독균 등 9종의 균주에 대한 항균력을 검색하여 천연 식품 보존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Oh DW, Lee MK, Park BK. 1999. Antimicrobial activ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tea on the harmful foodborne 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0-106. 

  2. Jung HJ, Ki IH. 1983. The microbiological studies on “Sochungyoung-Tang”. Kor J Pharmacogn 14: 34-39. 

  3. Kim SH, Kim NJ, Choi JS, Park JC. 1993. Determination of flavonoid by HPLC and biological activities from the leave of Cudrania tricuspidata Bereau. J Korean Soc Food Nutr 22: 68-72. 

  4. Kweon OG, Son JC, Kim SC, Chung SK, Park SW. 1998.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Moutan cortex extrac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281-285. 

  5. Kang SK, Jung DO, Jung HJ. 1995.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s in phenolic fraction of fig leaves.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38: 293-296. 

  6. Kang SK, Sung NK, Kim YD, Shin SC, Seo JS, Choi KS, Park SK. 1994.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leaf mustard (Brassia juncea) extract. J Korean Soc Food Nutr 23: 1008-1013. 

  7. Kang SK, Sung NK, Kim YD, Lee JK, Song BH, Kim YH, Park SK. 1994.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leaf mustard (Brassia juncea) on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J Korean Soc Food Nutr 23: 1014-1019. 

  8. Park JS, Shim JH, Jung JH, Lee GH, Sung CK, Oh MJ. 1999. Antimicrobial activity of Ulmi cortex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22-1028. 

  9. Kang SK, Kim YD, Choi OJ. 1998. Antimicrobial activity of defatted camellia (Camellia japoica L.) seeds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232-238. 

  10. Joo IS, Sung C, Oh MJ, Kim CJ. 1997. The influence of Lycii fructus extracts on the growth and physiology of microorgan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625-631. 

  11. Sheo HJ. 1999. The antibacterial action of galic, onion, ginger and red pepper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4-99. 

  12. Kim KH, Jeon HJ, Han YS. 1998. Antimicrobial effects of dandelion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14: 114-119 

  13. Lee SH, Lim YS. 1998.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nadra chinensis extract on pathogenic microorgan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239-243. 

  14. Chung SK, Jung JD, Cho SH.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opi (Zanthoxylum piperitum DC)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71-377. 

  15. Hwang BH, Cho JH, Ham SS, Kang HY. 2000. Chemical analysis of Pinus leaves. Korean Soc Food Sci Nutr 29: 6-9. 

  16. Kwon MS, Chung SK, Choi JU, Song KS, Lee IS. 1999. Antimicrobial and anti tumor activity of triterpenoids fraction from Poria cocos Wolf.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29-1033. 

  17. Kim SW. 1998. Studies on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functions of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Ganoderma lucidu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183-1188. 

  18. 박원기, 박복희, 박영희. 2000. 한국식품대사전. 신광출판사, 서울. p 439. 

  19. 박원기, 박복희, 박영희. 2000. 한국식품대사전. 신광출판사, 서울. p 559. 

  20. Cho YH, Chiang MH. 2001. Essential oi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argyi, and Artemisia princeps. Kor J Intl Agri 13: 313-320. 

  21. Lee SB. 1997. Study of the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in the liver. PhD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22. Kwon JW. 1995. The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herba to some enzyme activities in rat liver. MS Thesis. Chungnam University, Daejeon, Korea. 

  23. Yun SS. 1991. Effect of aqua-acupuncture of Artemisia capillaris herba extract on the rat hepatocyte damaged by carbon tetrachloride. MS Thesis.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24. Bae JH. 2003.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s. J Kor Nutr Sci 36: 147-153. 

  25. Han JS, Shin DH. 1994. Antimicrobial effect of each solvent fraction of Morus alba Linne, Sophora flavescans AITOIN on Listeria monocytogen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539-544. 

  26. Lee IR, Wee SW, Han YN. 1989. Studies on the pharmacological actions and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s. Kor J Pharmacogn 21: 201-205. 

  27. Mok JS, Park WH, Kim YM, Jang DS. 1994. Effects of solvents and extracting condition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alviae miltiorrhizae radix (salvia miltiorrhiza) extract. J Korean Soc Food Nutr 23: 1001-1007. 

  28. Kang SK, Jung HJ. 1995. Solvent fractionation of fig leaves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38: 289-292. 

  29. Kang SK. 1995. Isol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ntimicrobial substance obtained from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J Korean Soc Food Nutr 24: 695-701. 

  30. Hong ND, Nho YS, Kim NJ, Kim JS. 1990.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Ulmi cortex. Kor J Pharmacogn 21: 217-2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