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진호(Artemisia capillaris)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알러지성 피부염에 대한 효과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llergic Dermatiti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2 no.7 = no.147, 2012년, pp.958 - 963  

김종명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생태환경관광학부 생물응용전공) ,  신용규 ((주) 바이온 부설 연구소) ,  김병오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생태환경관광학부 생물응용전공) ,  김종국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이상한 (경북대학교 식품생물산업연구소 및 식품공학과) ,  김영섭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생태환경관광학부 생물응용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항산화 및 알러지성 피부질환에 대한 효과가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새로운 천연 향장 소재 개발을 위하여 인진호(A. capillaris)를 6종의 용매($dH_2O$, ethanol, methanol, acetone, ethyl acetate and hexane)로 추출한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아토피 활성을 검증하였다. 항산화 활성 검증에서는 methanol (DPPH: 85.87%, FRAP: 1.772)과 $dH_2O$ (DPPH: 60.69%, FRAP: 3.185) 등의 극성 용매 추출물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비극성 용매에서는 활성이 거의 없었다(ethyl acetate 41.81%, 0.407, Hexane 8.37%, 0.328). DNFB-induced atopic dermatitis mouse model에 의한 항 아토피에 대한 치유력 측정에서는 인진호 추출물 처리군은 염증 세포의 수에서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220% 증가로 양성 대조군의 400% 보다 약 45%의 완화 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귀의 두께는 음성 대조군의 175%로 양성 대조군의 330%보다 약 47%가 감소하는 뚜렷한 증상 완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진호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이 극성 물질이며, DNFB 처치에 의한 귀의 비후반응 감소와 염증부위의 면역세포 침투현상을 감소시키는 염증반응 완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진호 추출물에 대한 물리적 특성, 유전자 발현과 면역학적 실험 등이 추가 된다면 새로운 향장소재나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도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6 solvent extracts of Artemisia capillaris were evaluated in a dintroflurobenzen (DNFB)-induced allergic mouse model.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termined using DPPH and the FRAP test. Methanol (DPPH: 85.87%, FRAP: 1.772) and $dH_2O$ (DPPH: 60.6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진호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항균효과, 간장약효, 간세포에 미치는 효과와 간장 내 효소활성에 관한 연구 등 간경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17,28].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널리 이용되던 인진호를 대표적인 극성, 비극성 용매 6종으로 추출한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 및 접촉성 알러지성 피부염 저해 활성을 검색함으로써 인진호의 기능성 식품 및 향장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 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진호란? 인진호(Artemisia capillaris)는 사철쑥으로 알려진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초 낙엽관목으로 줄기가 30~60 cm의 높이를 가지는 식물로서 어린잎은 식용으로 쓰이며, 말린 것은 민간요법으로 간염, 간경변증 등의 약재로 사용되어져왔다. 인진호의 성분은 수분이 81.
인진호의 성분은? 인진호(Artemisia capillaris)는 사철쑥으로 알려진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초 낙엽관목으로 줄기가 30~60 cm의 높이를 가지는 식물로서 어린잎은 식용으로 쓰이며, 말린 것은 민간요법으로 간염, 간경변증 등의 약재로 사용되어져왔다. 인진호의 성분은 수분이 81.4%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단백질 5.2%, 지질 0.8%, 당질 4.0%, 섬유질 3.7%, 회분 2.7%와 칼슘, 인, 철, 비타민과 camphor 등의 정유성성분, esculetin-7-methylether 등의 coumarin류, chromone류, flavonoid류, caffeic acid 등이 알려져 있다. 인진호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항균효과, 간장약효, 간세포에 미치는 효과와 간장 내 효소활성에 관한 연구 등 간경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17,28].
천연 알러지성 피부염 소재의 개발 필요성을 야기하는 합성 접촉성 알러지성 피부염 억제제의 문제점은? 최근 과학적인 관심이 알러지성 피부염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신 기술이나, 천연 약물을 개발 하려는 노력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합성 접촉성 알러지성 피부염 억제제는 가격이 고가이고 부작용이 검증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천연 알러지성 피부염 소재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절실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jith, T. A. and Janardhanan, K. K. 2007. Indian medicinal mushrooms as a source of antioxidant and antitumor agents. J. Clin. Biochem. Nutr. 40, 157-162. 

  2. Ames, B. N., Shigenaga, M. K. and Hagen, T. M.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USA 90, 7915-7922. 

  3. Anjali, D. R., Khatiwora, E., Ghayal, N. A., Misar, A. V., Mujumdar, A. M., Puranik, V. G. and Deshpande, N. R. 2011. Studies on aerial parts of Artemisia pallens wall for phenol, flavonoid and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J. Pharm. Bioallied. Sci. 3, 302-305. 

  4. Benzie, I. F. F. and Strain, J. J. 1996.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ytical Biochemistry 239, 70-76. 

  5.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6. Branen, A. 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l anisole and butylated hydroxyl 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7. Dearman, R. J., Kimber, I. 2000. Role of CD4+ T helper2-typecellsin cutaneous inflammatory responses induced by fluoresce in isothiocyanate. Immunology 101, 442-451. 

  8. Halliwell, B., and Cross, C. E. 1994. Oxygen-derived species: Their relation to human disease and environmental stress. Environ. Health Perspect 102, 5-12. 

  9. Hemnani, T., and Parihar, M. S. 1998. Reactive oxygen species and oxidative DNA damage. Ind. J. Physiol. Pharmacol. 42, 440-452. 

  10. Heo, J. C., Park, C. H., Lee, H. J., Kim, S. O., Kim, T. H. and Lee, S. H. 2010. Amelioration of asthmatic inflammation by an aqueous extract of Spinacia oleracea. Linn. Int. J. Mol. Med. 25, 409-414. 

  11. Heo, J. C., Woo, S. U., Kweon, M. A., Park, J. Y., Lee, H. K., Son, M., Rho, J. R. and Lee, S. H. 2008. Aqueous extract of the Helianthus annuus seed alleviates asthmatic symptoms in vivo. Int. J. Mol. Med. 21, 57-61. 

  12. Huang, D., Boxin, O. U. and Prior, R. L. 2005.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ic. Food Chem. 53, 1841-1856. 

  13. Ito, N., Fukushima, S., Hasegawa, A., Shibata, M. and Ogiso, T. 1983. Carcinogenecity of butylated hydroxyl anisole in F344 rats. J. Cancer Inst. 70, 343-347. 

  14. Kang, S. Y., Kim S. H., Kim S. M., Namgoong U., and Kim D. H. 2004.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herba on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RAW264.7 cell line. Korean J. Oriental Physilogy Pathology 18, 1832-1842. 

  15. Kim, K. S., Lee, S., Lee, Y. S., Jung, S. H., Park, Y., Shin, K. H., and Kim, B. K. 2003.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the herbs of Artemisia apiacea. J. Ethnopharmacol. 85, 69-72. 

  16. Kwoen, D. J., Youn, S. J., Cho, J. G., Choi, U. K. and Kang, S. C. 2006. Antioxidant activitie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91-96. 

  17. Lee, C. K. and SEO, J. J.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erial Part of Artemisia capillaries Extracts on the Food-Borne Pathoge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227-1232. 

  18. Lee, K. K., Kim, J. J., Jung, H. J. and Jun, S. K. 2008. Effect of cheongyeolyunbu-tang on DNFB-induced allergic dermatitis. Korean J. Orient. Int. Med. 29, 730-741. 

  19. Lee, S. J., Oh, S. G., Seo, S. W., Ahn, H. J., Geum, D. H., Cho, J. J. and Park, C. S. 2007. Oral administration of Astragalus membranaceus inhibits the development of DNFB-induced dermatitis in NC/Nga mice. Biol. Pharm. Bull. 30, 1468-1471 

  20. Min, B. S., Gao, J. J., Nakamura, N., Hattori, H. 2000. Triterpenes from the spores of Ganoderma lucidum and their cytotoxicity against Meth-A and LLC tumor cells. Chem. Pharm. Bull. 48, 1026-1033. 

  21. Miyauchi-Hashimoto, H., Okamoto, H., Suqihara, A., Horio, T. 2005. Therapeutic and prophylactic effects of PUVA photochemotherapy on atopic dermatitis-like lesions in NC/Nga mice.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21, 125-130. 

  22. Namiki, M. 1990. Antioxidants/antimutagens in foods. Crit. Rev. Food Sci. Nutr. 29, 273-300. 

  23. Park, W. K., Park, B. H. and Park, Y. H. 2000. Korea Food Dictionary. pp. 439, Shingwang Press, Seoul. 

  24. Prasad, K.N., Hao, J., Yi, C., Zhang, D., Qiu, S., Jiang, Y., Zhang, M., Chen, F. 2009.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wampee [Clausena lansium (Lour.) Skeels] peel. J. Biomed. Biotechnol. Article ID 612805. 

  25. Ryu, H. Y., Kum, E. J., Bae, K. H., Kim, Y. K., Kwun, I. S. and Sohn, H. Y. 2007. Evaluation for the antim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5, 238-244. 

  26. Ryu, H. Y., Bae, K. H., Kum, E. J., Park, S. J., Lee, B. H., and Sohn, H. Y. 2007. Evaluation for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y of natural spices for fresh-cut yam. J. Life Sci. 17, 652-657. 

  27. Sadaki, O. 1996.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materials. Biochemistry 13, 44-50. 

  28. Seo, Y. S., Lee, E. and Cha, Y. Y. 2010. Antiinflammatory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in lipopolysaccaride-exposed rats. J. Oriental Rehab. Med. 20, 27-35. 

  29. Shi, F., Jia, X., Zhao, C. and Chen, Y. 2010.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from Artemisisa selengensis Turcz (LuHao). Molecules 15, 4934-4946. 

  30. Shin, Y. K., Jang, H. S., Kim, J. S., Ryu, H. Y., Kim, J. K., Kwun, I. S. and Sohn, H. Y. 2008. Solid fermentation of medicinal herb using Phellinus baumii mycelium and anti-thrombin and antioxidation activity of its methanol extract.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201-208. 

  31. Shin, Y. K., Heo, J. C., Lee, J. Y. and Lee, S. H. 2010. Analysis of the anti-allergic activities of active components produced by solid fermentation of Phellinus baumii and Ephedra sinica. Korean J. Food Presev. 17, 297-300. 

  32. Sohn, H. Y., Kwon, C. S., Son, K. H., Kwon, G. S., Kwon, Y. S., Ryu, H. Y. and Kum, E. J. 2005. Antithrombo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 from different brands of rice. J. Kor. Soc. Food Sci. Nutr. 34, 593-598. 

  33. Tomimori, Y., Tanaka, Y., Goto, M. and Fukuda, Y. 2005. Repeated topical challenge with chemical antigen elicits sustained dermatitis in NC/Nga mice in specific-pathogen-free condition. J. Invest. Dermatol. 124, 119-124. 

  34.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 T., Mazur, M. and Telser, J. 2007. Free radical and antit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 and human de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35. van Oosterhout, A. J. and Bloksma, N. 2005. Regulatory T-lymphocytes in asthma. Eur. Respir. J. 26, 918-932. 

  36. van der Kleij, H. P., Kraneveld, A. D., van Houwelingen, A. H., Kool, M., Weiteberg, A. C., Redegeld, F. A. and Nijkamp, F. P. 2004. Murine model for non-IgE-meadiated asthma. Inflammation 28, 115-125. 

  37. Yuana, X. Y., Liua, W., Zhanga, P., Wanga, R. Y. and Guoc, J. Y. 2010 Effects and mechanisms of aloperine on 2, 4-dinitrofluorobenzene- induc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n BALB/c mice. Eur. J. Pharmacol. 10, 147-152. 

  38. Zhou, L., Zhang, Y., Gapter, L. A., Ling, H., Agsrwal, R. and Ng, K. Y. 2008. Cytotox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anostane-Type Triterpenes Isolated from Poriacocos. Chem. Pharm. Bull. 56, 1459-14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