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미와 백미의 품종간 아미노산 조성
Amino Acid Composition of Milled and Brown Ri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8, 2003년, pp.1385 - 1389  

김미숙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진일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윤화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표준 경작법으로 재배한 육성 품종 5종(광안, 대안, 대진, 수라, 화성)의 현미와 백미의 품종간 단백질과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고, 단백질의 화학적 질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현미에서는 대진벼(7.98%)>대안벼ㆍ화성벼(7.46%)>수라벼 (7.03%)>광안벼(6.70%) 순이었고, 백미에서는 대진벼(7.52%)>대안벼(6.90%)>화성벼(6.78%)>수라벼(6.64%)>광안벼(6.08%) 순으로 대진벼가 단백질 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총 아미노산에 대한 총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을 보면, 현미는 36.8∼38.3%이었으며, 백미는 35.8∼37.7%으로 화성벼가 가장 높았고, 대안벼가 가장 낮았다. 쌀의 모든 품종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인 Glx(glutamate+glutamine)은 현미에서 900.5∼965.9 mg/g N, 백미에서 1003.3∼1058.5 mg/g N으로 분석되었다. 현미와 백미의 아미노산 함량은 Glx>Asx>arginine>leucine>valine순이었다. A/E비 화학가는 현미에서 수라벼>화성벼>대진벼>대안벼>광안벼 순이었고, 백미에서 수라벼>광안벼>대안벼>대진벼>화성벼 순이었다. A/T비 화학가는 현미에서는 화성벼>대진벼>수라벼ㆍ광안벼>대안벼 순이었고, 백미에서는 광안벼>대진벼>수라벼>화성벼>대안벼 순이었으며, 제 1제한 아미노산은 lysine으로 판정 되었다. Protein score와 amino acid score에서 제 1제 한 아미노산은 lysine이었고, 제 2제 한 아미노산은 threonine, 그리고 제 3제한 아미노산은 isoleucine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amino acid composition of brown and milled rice of five varieties (Kwngan, Daean, Daejin, Sura, Hwaseong) and to evaluate their protein quality by several chemical scores. The protein contents of brown rice ranged from 6.7 to 8.0% and those of milled ri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통되고 있는 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쌀의 식품 영양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육성품종 5종의 현미와 백미의 품종간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하고, 단백질의 화학적 질적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02. 2001 Food Balance Sheet. p 35. 

  2.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2002.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Nutrition survey (I).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 94, 196. 

  3. 송재철, 박현정. 1999. 최신식품가공학. 유림문화사, 서울. p 20-21. 

  4. 김동연, 양희천, 김우정, 이영춘, 김성곤. 1990. 농산가공학. 영지문화사, 서울. p 21-24. 

  5. Juliano BO. 1985. The rice grain and its gross composition.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2nd ed. Juliano BO, ed. AACC, Minnesota. p 37. 

  6. 구자옥, 이도진, 허상만. 1998. 쌀의 품질과 맛. 전남대학교 출판부, 광주. p 20-30. 

  7. Tchai BS. 1972. Nutritional evaluation of Korean diet-amino acid imbalance of Korean diet. Korean J Nutr 5: 13-17. 

  8. 최혜미 외 23인. 2000. 21세기 영양학. 교문사, 서울. p 122-123. 

  9. Kim ES, Im KJ, Park H, Chun SK. 1978. Studies on amino acid composition of Korean foods (I).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371-376. 

  10. Kim SK, Kim IW, Han YI, Park HH, Lee KH, Kim ES, Cho MH. 1984. Calorie, mineral content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Korean rice. J Korean Soc Food Nutr 13: 372-376. 

  11. Song BH, Kim DY, Kim SK, Kim YD, Choi KS. 1988. Distribution of amino acids and fatty acids within the degermed brown rice. J Korean Agric Chem Soc 31: 7-12. 

  12. Sung NE, Kang HR. 1970. On the amino acid compositions of the Korean cereal proteins. Korean J Nutr 3: 113-117. 

  1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s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788. 

  14. Waters AccQ-Tag Amino Acid Analysis System. 1993. Operator's manual, Manual number 154-02TP REVO June, USA. 

  15. FAO. 1970. Amino acid content of food and biological data on protein. Rome, Italy. 

  16. Matthews DE. 1999. Proteins and amino acids. In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9th ed. Shils ME, Olson JA, Shike M, Ross AC, eds. Williams & Wilkin, Baltimore, USA. p 42-44. 

  17. Pike RL, Brown ML. 1984. Nutrition-An integrated approach. 3r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USA. 

  18. Iwana N. 1974. Effect of nitrogen and protein content in milled rice on eating quality of milled rice. Ann Rep of Food Res Inst 29: 9-15. 

  19. Choe JS, Ahn HH, Nam HJ. 2002.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in Korean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85-892. 

  20.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1996. Food Composition Table 5th ed. p 438-4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