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쌀 품종별 백미와 현미의 영양성분 조성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in Korean Ri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1 no.5, 2002년, pp.885 - 892  

최정숙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  안훈희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  남희정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표준재배법으로 육성한 주요재배 장려품종 6종(화성, 추청, 오대, 일품, 일미, 동진)의 백미차 현미중의 영양성분(일반성분, 무기질, 지방산, 아미노산, 섬유소 등)을 분석한 결과 1. 도정에 따른 전체적인 무기질의 변화를 보면 인, 철, 나트륨. 칼륨, 아연, 마그네슘의 경우 도정률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칼슘은 도정률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쌀 품종별로 살펴보면 백미의 경우 추청 품종은 칼슘이, 오대는 인과 마그네슘이, 일품은 나트륨, 칼륨, 아연이, 동진은 철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함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미의 분석 결과에서는 화성은 철이, 추청은 나트륨이, 오대는 인, 칼륨, 아연, 마그네슘이, 동진은 칼륨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2. 쌀 품종별 지방산 조성은 백미의 경우 전체적으로 볼 때 C18:1이 ,33~41%로 그 비율이 높았고 현미의 경우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포화지방산은 백미의 경우 오대쌀을 제외하고 20~33%, 현미는 19~22%정도 함유되어 있었다. 단일불포화지방산은 백미가 34~44%, 현미가 ,39~45%이었으며 다중불포화지방 산은 백미가 24~42%, 현미가 33~40%를 함유하여 백미차 현미의 지방산 조성에 차이를 보였다 현미의 경우 쌀 품종별로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조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도정한 후 백미의 경우 쌀 품종별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의 조성에 있어서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 지방산 분포가 쌀 품종별로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쌀 품종별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이었으며 백미는 11.54~16.93 mg/g, 현미는 13.29~20.24 mg/g로 분석되었다 가장 적게 함유된 아미노산은 tryptophan이었으며 백미는 0.75~0.98 mgjg, 현미는 0.94~l.19 mg/g이었다. 대부분의 아미노산 함량은 백미와 현미 모두 일미 품종에 많이 들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도정률의 증가에 따른 비타민의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niacin은 10~30%, 비타민 B$_1$은 15~60%, 비타민 B$_2$는 거의 모든 품종에서 50%이상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백미는 일품이, 현미는 화성이 가장 높은 niacin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B$_1$은 백미의 경우 일품이, 현미는 일품과 일미가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 B$_2$는 쌀 품종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조섬유는 현미가 백미보다 2~4배정도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식이섬유는 현미가 백미보다 2~3배 높게 함유하였다. 조섬유의 경우 백미는 오대 품종이, 현미는 화성과 일품 품종이 가장 높은 함량비율을 나타내었고 반면 식이섬유는 백미의 경우 동진이, 현미의 경우 일미 품종이 가장 높은 함량 비율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ove the excellency of unpolished (brown) rice with respect to nutritional composition and to compare chemical composition among six varieties of rice. Some nutritional composition in the Polished (well -milled) rice and unpolished (brown) rice of the six typ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표준재 배법으로 육성한 주요 재배장려품종 6종의 백미와 현미중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쌀의 영양적 가치를 제고하는 한편 품종 및 도정률에 따른 각 성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상순. 1998. 식품학. 수학사, 서울. p 198-205. 

  2. 田島眞, ?野俊郞, 孫種錄. 1992. 米粒外層から 抽出される オリゴ 糖類. 日本食品工業學會誌 39: 857-860. 

  3. Kim SG, Choi HS. 1979. Radial distribution of calcium, phosphorus, iron, thiamin and riboflavin in the degermed brown rice kernel. Korean J Food Sci Technol 11: 122-125. 

  4. Son JR, Kum JH, Lee MH, Jung JH, Oh MJ. 1996. Chemical proper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ayers of rice grain. 

  5. Kim SG, Kim IH, Han YI, Park HH, Lee GH, Kim ES, Cho 

  6. Han YI. 1985. Food and nutritional studies on Korean rice varieties. PhD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7. Kim JY. 1993. Studies on Nutrition, Bioactivity and Processing of Korean Ri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8. Jung YM, Lee JC, Kim KS, Eun JB. 1998. Chemical compositions in rice hulls of 26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76-380. 

  9. Park CS. 1975. Studies on the mineral contents in Korean foods-2. Sodium and potassium contents in cereals -. Korean 

  10. Lee DK, Lim KT. 1977. Heavy metals in the rice and rice paddy soil of Kyung Nam district. J Korean Soc Food Nutr 6: 73-77. 

  11. Kim ES, Im KJ, Park H, Chun SK. 1978. Studies on amino acid composition of Korean foods (I). Korean J Food Sci 

  12. Jung EK, Paik HY. 1993. Fatty acid contents in foods of major fat sources in Korean diet. Korean J Nutrition 26: 

  13. Shin HS, Yang JH. 1986. Comparative studies on the polar lipids composition in nonglutinous and glutinous rice. Korean 

  14. Song BH, Kim DH, Kim SG, Kim YD, Choi KS. 1988. Distribution of minerals within the degermed brown rice kernel. 

  15.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788. 

  16. Daniels NWR, Richmond JW, Russell EPW, Coppock JBM. 

  17. 주현규, 조광연, 박충균, 조규성, otnfb, 마상조. 1995. 식품분석법. 유림문화사, 서울. 

  18. Prosky L, Asp N, Schweizer T, DeVries J, Furda I. 1988. 

  19. Folch J, Less M,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20. Lepage G, Roy CC. 1986. Direct transesterification of all classes 

  21. Daniel JS, Steven AC. 1993. Sensitive analysis of cystine/cysteine using 6-aminoquinolyl-N-hydroxysuccinimidy carbamate (AQC) derivatives. Techniques in Protein Chemistry 

  22. Steven AC, Dennis PM. 1993. Synthesis of a fluorescent derivatizing, 6-aminoquinoly-N-hydroxysuccinimidyl carbamate and its application for the analysis of hydrolysate amino acid vi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tical Biochemistry 211: 1-9. 

  2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24. Shin HS, Rhee JY. 1986. Comparative studies on the lipid content and neutral lipid composition in nonglutinous and glutinous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137-142. 

  25. Son JR, Keum JW, Lee MH, Jeong JH, Oh MJ. 1996. Chemical properti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layers of rice grain. 

  26. 平宏和, 李秉英. 1988. 韓國の 日本型 および 日印交雜型 うるち品種玄米の 脂肪酸組成. 日本食品工業學會誌 35: 23-26. 

  27. Chang NS. 1993. Desirable pattern of fatty acid intake. Korean J Nutrition 26: 486-503. 

  28. FAO. 1970. Amino acid content of food and biological data on protein. Rome, Italy. 

  29. Lee KS, Lee SR. 1993. Analysis of dietary fiber content in Korean vegetable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225-231. 

  30. Lee HJ, Kim HS. 1988. Studies on the dietary fiber of brown rice and mill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576-584. 

  31. Woo SJ. 1993. Dietary fiber contents in some cereals and pulses. 

  32. Seo WK, Kim YA. 1995.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dietary fiber contents of rice, brown rice, yellow soybean, and black soybean. Korean J Soc Food Sci 11: 20-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