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불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임지내 산림연료와 경사도에 관한 연구
Slope and Forest Fuel Effect on Spreading of Forest Fire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5 no.3, 2003년, pp.179 - 184  

채희문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산림자원보호학과) ,  이찬용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산림자원보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불 확산에 미치는 인자들 중 임지내의 삼림연료의 무게와 두께, 임지의 경사도의 관계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지내의 경사도와 산불의 확산과의 관계는 경사가 높아지면 질수록 산불의 확산 속도는 빠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경사 15%와 비교하여 30%, 45%, 50%의 경사는 30%일 때 약 1.5배 증가 추세를 보이고, 45%일 때는 6.8배 정도의 산불확산 속도가 증가, 경사 50%일 때는 13.7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연료의 두께와 산불의 확산과의 관계는 연료두께 2cm일 때 산불의 평균확산속도는 42m/min, 3 cm는 11m/min, 4cm는 6m/min, 5cm는 9m/min, 6cm는 6.6m/min로 나타났다. 산림연료의 두께와 산불의 확산과의 관계는 연료의 무게 0.1kg/$m^2$의 경우 산불의 평균 확산속도는 22.4m/min, 0.15kg/$m^2$의 경우 9.4m/min, 0.2kg/$m^2$의 경우 6.5m/min로 나타났다. 연료 무게의 경우는 경사도와 유사하게 무게의 크기에 따라 산불의 확산 속도가 좌우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들 3가지 인자와 산불의 확산과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사도가 가장 영향을 미치며, 다음으로 연료의 무게이며, 지피물의 두께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연구된 산불 확산 속도는 산림미세연료 (임지에 있어서 지피물)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식생분포와 산불의 확산속도와의 관계를 제외하였다. 보다 정밀한 확산속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알맞은 지형조건과 풍향조건의 인자들을 분석하여 산불의 확산속도를 예측하는 model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fuel weight and depth together with slope on the spread of forest fire. Fire spread was faster on the greater slope in forested land. Fire had a greater spread rate with lighter fuel weight. The thickness of the fuel bed and forest fire spread rate were 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지내의 산림연료의 무게, 산림연료의 두께(지피물의 두께), 임지의 경사도와 산불 확산과의 관계를 다루고자 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이들 인자들이 산불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산불의 확산속도, 산불의 강도 등을 파악하여산불 확산 모델 개발의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산불 확산을 추정하기 위하여 실시된 야외조사는 임지 내의 환경분석을 통하여 임지내에서 산불이 발생할 경우, 정밀한 산불의 확산속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산림청. 2001: 동해안 산불백서. 산림청, 871p. 

  2. 현진규, 현재선, 나용준, 1997: 산림보호학. 항문사, 264p. 

  3. Byram, G. M., 1959: Combustion of Forest Fuel, in K. P. Davis, E. D. Forest Fire control and use. MaGrow-Hill book company, 595pp. 

  4. Byram, G. M., 1963: An analysis of the drying process in forest fuel material. Paper presented at 1963 International Symposium on Humidity and Moisture, May 20-23. 1-5. 

  5. Chandler, C., P. Cherey, P. Thomas, L. Traland and D. Williams, 1983: Fire in Forestry Volume II. -Forest fire management and organization-. A Willey-nterscience Publication. 298pp. 

  6. Lawson, B. D., G. N. Dalrymple and B. C. Hawkes, 1997: Predicting Forest Floor Moisture Contents from Duff Moisture Code Values. Technology Transfer Notes. Forestry Research Applications Pacific Forestry Center, No. 6. 25pp. 

  7. Nelson, R. M., Jr. and C. W. Adkins, 1988: A dimensionless correlation for spread of wind-driven fire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8, 391-397. 

  8. Robert, J. W., 1995: The ecology of f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3pp. 

  9. Stocks, B. J., 1987: Fire behavior in immature jack pine.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7, 80-86. 

  10. Stocks, B. J., 1989: Fire behavior in mature jack pine.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9, 783-790. 

  11. Van Wanger C. E., 1968: Season variation in moisture content of eastern canadian tree foliage and possible effect on crown fire, Canada Forrest. Branch, Department. Publication. No. 1204. 15pp. 

  12. Van Wagner, C. E., 1988: Effect of slope on fires spreading downhill.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18, 818-820. 

  13. Weber, R. O., 1990: The moist strand and the burning bed.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20, 845-8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