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재성 요인의 분야별 타당화 연구
Validity of giftedness based on cluster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13 no.2, 2003년, pp.1 - 22  

심재영 (한국과학기술원) ,  김언주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암묵적 방법에 의해 도출된 영재의 특성을 조사하고, 과학 분야와 인문 분야에는 어떤 영재성 요인들을 가지고 있는가와 분야별로 영재성의 요인구조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세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첫 단계는 과학자는 71명, 대전시에 거주하는 학부모 73명, 인문계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104명, 대학생 80명을 대상으로 암묵적 이론 접근으로 영재 의미를 구명하였다. 연구의 두 번째 단계는 자연계 영재 집단 469명, 인문계 영재집단 285명 그리고 평재 집단 399명으로 모두 1153명에 대하여, 암묵적 이론 접근에 의해 밝혀진 영재의 특징들이 과학영재와 인문사회 영재 그리고 평재를 구분하는 준거가 되는지의 여부를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ive factor analysis)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세 번째 단계는 검증된 자료를 가지고 인문계 영재 집단과 자연계 영재 집단 간의 영재성 요인 구조상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implicit capabilities of giftedness by Korean adults and to validate the features of giftedness by asking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liberal arts, and ordinary. Existing researches have problems as follows; they will make a high error when we disti...

주제어

참고문헌 (17)

  1. 김언주(2001). 영재의 판별과 선발. 영재교육연구, 11(1), 1-18 

  2. 김언주, 구광현(1998). 신교육심리학. 서울: 문음사 

  3. 나인태(1999). 초등학교 영재아의 심화 과학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교육대학교 

  4. 박은희(2002). 초등학생 실용지능의 구성요인 확인 및 타당화. 박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5. 양수정(1998). 암묵적 이론 접근을 통한 학업 지능주 실제적 지능의 구성개념 확인 및 타당화.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6. 양수정, 이순묵(1999). 지적 능력의 암묵이론적 구조와 기능: 학업지능과 실용지능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8, 17-47 

  7. 문병상(2000). 영재와 평재간의 학업적 자기조절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14(1), 181-197. 

  8. 소금현 외(2000).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의 과학관련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66-173 

  9. 신명희, 김주현(2002). 과학영재의 지능특성 연구. 연세교육과학, 50, 77-92 

  10. Clark(2002). Growing up gifted. New York: Merrill Prentice Hall 

  11. Binet, A., & Simon, T. H.(1905). M $\dot e$ thodes nouvelles pour le diagnostic duniveau intellectueldes anormaux. Ann $\dot e$ e Psychologique, 11, 191-224 

  12. Gagne, Francoys(1995). Hidden Meanings of the 'Talent Development' Concept. EducationalForum, 59(4), 350-62 

  13. Gagne, Francoys(1999). Tracking talents. Prufrock Press 

  14. Gardner, H.(1983). Multiple intelligences. The theory in practice. New York: Basic Books 

  15. Gardner, H.(1996). Multiple intelligences: Myths and messages, International Schools Journal, 15(2), 8-22 

  16. Renzulli J.S.(2000). Paul F-Brandwien Lecture. The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s a paradigm for school refor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9(2), 95-114 

  17. Sternberg, R.J.(2000).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as exemplar stories ofsuccess: Why intelligence test validity is in the eye of the beholder. Psychology, 6(1), 159-16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