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학생 선발과정에 대한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Selecting Process of Gifted students in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16 no.2, 2006년, pp.101 - 122  

장낙한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및 영재교육원) ,  유진우 (공주대학교 화학교육과) ,  류해일 (공주대학교 화학교육과 및 과학영재교육원)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 학생 선발과정에 대해 조사하고 외국 과학영재교육기관의 영재 학생 선발과정들과도 비교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분포는 학생 수의 비율에 비해 지역적으로 불균형을 이루고 있었으며 다양한 학생들이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생 비율에 따른 균형적인 분포가 필요하다. 또한 초등학생 선발 비율이 중학생 선발 비율에 비해 현저히 작아 역피라미드형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를 피라미드형으로 개선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았다.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 선발 절차는 먼저 성적 기준으로 영재 학생들을 형식적으로 추천받고 창의적 검사, 자체 제작 평가지, 심층 면접 등과 같은 지적인 검사를 토해 선발한 후 캠프를 통하여 영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비해 외국의 영재 판별 절차는 일정 기간의 캠프를 통하여 지적 판단뿐 아니라 과제 집착력과 같은 비지적인 도구로 영재를 판단하는 것을 볼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도 교사의 추천서에 의한 지원 자격이 필요하며 영재 선발 대상자들의 학습 습관과 태도 등 비지적인 요인을 실제적으로 검사하는 판별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electing process for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in university and was compared with foreign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The number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was unequality loca...

주제어

참고문헌 (17)

  1. 김언주(2001). 영재의 판별과 선발. 영재교육연구. 11(1), 1-19 

  2. 조석희(1990). 한국과 캐나다의 영재교육에 관한 비교연구. 캐나다연구 제2집 

  3. 조석희(1998). 과학영재의 판별. 과학영재교육의 실제에 관한 세미나 발표 논문. 전북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4. 최돈형, 강완, 손영아, 전영석(2001). 관학영재교육센터 평가 기준 개발. 영재교육연구. 11(2), 59-85 

  5. 최호성(2003). 중등 영재 판별과 교육 프로그램의 비판적 검토. 한국영재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6. 홍숙희, 김성원(2000). ERIC 검색을 통한 미국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12-136 

  7. Davis, G, A & Rimm, S, B, (1998),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4th ed.), Boston, MA: Allyn & Bacon 

  8. Dellas, M., & Gaier, E, L. (1970), Identification of creativity, The individual psychological bulletin 73, 55-73 

  9. Gardner, H, (199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NY: Basic Books 

  10. Gstzels, J. W., & Jackson. P. W.(1962), Creativity and intelligence: Explorations with gifted students, NY: John Wiley 

  11. Guilford, J. P. (1967),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NY: McGraw Hill 

  12. MacKinnon, D. W.(1978), Educating for creativity: A modern myth? In G. A Davis & J. A Scott (Eds.), Training creative thinking, Melbourne, FL: Kreiger 

  13. Renzulli, J. S, (1998),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In S, M, Baum, S, M, Reis, & L. R. Maxfield, (Eds) Nurturing the gifts and talents of primary grade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14. Renzulli, J. S. & Reis, S. M. (1985),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ductivity,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Boston, MA: Allyn & Bacon 

  15. Sternberg, R. J., & Lubart, T.I. (1993). Creative giftedness: A multivariate investment approach. Gifted child quarterly. 37, 7-15 

  16. Torrance, E. P.(1969). Prediction of adult creative achievement among high school seniors. Gifted child quarterly. 13, 223-229 

  17. Wallach, M., & Kogan, N.(1965). Modes of thinking in young children, New York, NY: Hol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