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죠람과 오레가노의 생육 및 장유함량에 미치는 양액농도의 효과
Effects of Strength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Essential Oil Content of Marjouram(Origanum majoraana) and Oregano(Origanum vulgare) 원문보기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v.12 no.4, 2003년, pp.235 - 239  

강호민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생명산업과학부) ,  나철욱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생명산업과학부) ,  박권우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생명산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수경재배시 마죠람과 오레가노의 알맞은 배양액 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했다. 배양액은 유럽채소연구센터 허브액을 사용했다. 처리농도는 0.5, 1.0, 2.0, 3.0배액 등 4수준이었고 재배기간은 40일이었다. 마죠람은 지상부 생육, 지하부 생육, 비타민 C,총 정유생산량은 0.5배액에서 가정 조았다. 그러나 무기물함량은 20.배액에서, 정유함량은 3배액에서 좋았으며 엽록소 함량은 고농도에서 감소하였다. 오래가노의 생육 0.5배야ㅐㄱ에서 조았으며, 3.0배액에서는 고사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2.0배액에서 낮았으나 비타민 C는 이온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무기물과 정유함량은 1.0배액에서 높았으나, 정유생산량은 0.5배액에서 높았다. 이사의 결과로 볼 때 마죠람과 오레가노 수경재배시 적절한 배양액 농도는 허브 배야액 0.5배인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 adequate strength of nuttient solution in production of marjoram and oregano by hydroponicsl Two herbs were grown for 40days with the strength of 0.5, 1.0, 2.0, and 3.0 dS${\cdot}m^{-1}$ in herb's nutrient solution developed by European Vegetabl...

주제어

참고문헌 (12)

  1. AOAC. 1995. Vitamin C (total) in vitamin preparations.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2, 967. 22 

  2. Beaek,H.W. and K.W. Park. 2001. Effects of substrate and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 on growth and essential oil content of basil (Ocimum basilicum). J. Kor. Hort. Sci. Tech. 19:92-91 (in Korean) 

  3. Benoit, F. and N. Ceustermans. 1994. Hydroponic culture kitchen herbs. ISHS-Symposium in growing media and plant nutrition in horticulture. Glasshouse Crops Research Station, NAALDWIJK, the Netherlands 

  4. Kim, Y.H., K.W. Park, M.J. Lee. 2000. Comparison of growth and essential oil composition in two hydroponically grown species of Thymus at different nutrient solution strength. J Bio-Env. Cont. 9-79-84 (In Korean) 

  5. Lee, Y.J., K.W. Park, E.J. Sub, and J.C. Jeong. 1998. Effects of sulfate ion concentration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Artemisia mongolica var. tenuifolia. J. Bio. Fac. Env. 7:55-62 (In Korean) 

  6. Park, K.W. 1983. Effects of fertilization. irrigation and harvesting period on the quality of vegetable crops. J Kor. Soc. Hort. Sci. 24:325-337 (In Korean) 

  7. Park, K.W. 2003. Herb & aromatherapy. p. 6-100. 150-152. Sunjinmunbasa. Seoul (In Korean) 

  8. Park, K.W. J.H .Jeong, M.J. Lee. 1999. Effects of solution concentration and nitrogen form on the content of internal quality of Japanese mint grown in hydroponcis. J. Kor. Soc. Hort. Sci. 24:325-337 (In Korean) 

  9. Park, K.W. and Y.S. Kim. 1998. Hydroponics in horticulture. Academy Press. Seoul (In Korean) 

  10. Park, K.W., Y.J. Lee, and J.C, Jeong. 1997. Effects of selenate ion concentration in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essential oil content of wormwood (Artemisia absinthium L.). J. Bio. Fac. Env. 6:264-269 (In Korean) 

  11. Udagawa, Y. 1995. Some response of dill(Anethum graveolens) and thyme(Thymus vulgaris) grown in hydroponic to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Acta Hort. 396:203-210 

  12. William, PI. and R.B. Paul. 1985. Extinction coeffi-cients of chlorophyll a and b in N, N-dimethylforma-mide and 80% acetone. Plant Physiol. 77:483-4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