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목포항에 유입하는 오염부하량 산정 - 비강우시 육상오염부하를 중심으로 - Estimation of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Mokpo Harbour - Centering on Pollution Loads from Land in Dry Case -원문보기
비강우시 육상으러부터 목포항으로 유입하는 오염부하량을 목포항 주변에 위치한 하천 및 방류수의 계절별 유량과 수질을 기초로 하여 산정하였다. 4계절의 유량 자료에 의하여 산출한 목포항 유입하루평균유량은 약 5.5×10/sup 6/㎥/day이고 연평균유량은 약 2×10/sup9/㎥/year로 나타났다. 영산호 방류수의 계절별 유량은 4계절에 걸쳐서 모든 유입원들의 총유량의 90%이상으로 나타났다. 4계절에 걸쳐서 하천과 같은 유입원의 9개 지점에서 측정한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부유고형물(TSS), 총무기질소(TIN) 및 총인(TP)의 농토는 각각 2.87~42.69㎎/ℓ, 3.65~1080.32㎎/ℓ, 0.083~89.744㎎/ℓ and 0.028~6.926㎎/ℓ로 나타났다. 4계절 자료를 평균하여 산정된 목포항 유임 연평균부하량은 각각 약 37 ton-COD/day, 약 64 ton-TSS/day, 약 13 ton-TIN/day 및 약 1.2 ton-Tp/day로 나타났다 하계의 목포항 유입부하량은 각각 약 82 ton-COD/day, 약 159 ton-TSS/day, 약 14 ton-TIN/day 및 2 ton-TP/day로 산정되었다. 목포항으포 유입하는 주된 오염부하원은 영산호의 방류수로 밝혀졌다.
비강우시 육상으러부터 목포항으로 유입하는 오염부하량을 목포항 주변에 위치한 하천 및 방류수의 계절별 유량과 수질을 기초로 하여 산정하였다. 4계절의 유량 자료에 의하여 산출한 목포항 유입하루평균유량은 약 5.5×10/sup 6/㎥/day이고 연평균유량은 약 2×10/sup9/㎥/year로 나타났다. 영산호 방류수의 계절별 유량은 4계절에 걸쳐서 모든 유입원들의 총유량의 90%이상으로 나타났다. 4계절에 걸쳐서 하천과 같은 유입원의 9개 지점에서 측정한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부유고형물(TSS), 총무기질소(TIN) 및 총인(TP)의 농토는 각각 2.87~42.69㎎/ℓ, 3.65~1080.32㎎/ℓ, 0.083~89.744㎎/ℓ and 0.028~6.926㎎/ℓ로 나타났다. 4계절 자료를 평균하여 산정된 목포항 유임 연평균부하량은 각각 약 37 ton-COD/day, 약 64 ton-TSS/day, 약 13 ton-TIN/day 및 약 1.2 ton-Tp/day로 나타났다 하계의 목포항 유입부하량은 각각 약 82 ton-COD/day, 약 159 ton-TSS/day, 약 14 ton-TIN/day 및 2 ton-TP/day로 산정되었다. 목포항으포 유입하는 주된 오염부하원은 영산호의 방류수로 밝혀졌다.
The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Mokpo harbour from land in dry case were estimated on the bases of the seasonal flow rates and the seasonal water qualities of streams and effluents located around Mokpo harbour. Average daily amount of fresh water Stowing into Mokpo harbour obtained by the inflow ra...
The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Mokpo harbour from land in dry case were estimated on the bases of the seasonal flow rates and the seasonal water qualities of streams and effluents located around Mokpo harbour. Average daily amount of fresh water Stowing into Mokpo harbour obtained by the inflow rate data of 4 seasons was found to be about 5.5×10/sup 6/㎥/day and annual inflow rate to be about 2×10/sup 9/㎥/year. The seasonal flow rates of effluents iron Yongsan lake were above 90% of total flow rates of all inflows in 4 seasons. The concentrations of COD, TSS, TIN and TP at 9 inflow stations Iron streams and effluents in 4 seasons were shown to be in the ranges of 2.87~42.69㎎/ℓ, 3.65~1080.32㎎/ℓ, 0.083~89.744㎎/ℓ and 0.028~6.926㎎/ℓ, respectively. The average loads of COD, TSS, TIN and TP into Mokpo harbour estimated by the data of 4 seasons were found to be about 37 ton/day, 64 ton/day, 13 ton/day and 1.2 ton/day, respectively. The loads of COD, TSS, TIN and TP into Mokpo harbour in summer were shown to be about 82 ton/day, 159 ton/day, 14 ton/day and 2 ton/day, respectively. The main source of pollution loads into Mokpo harbour was found to be the effluent of Yongsan lake.
The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Mokpo harbour from land in dry case were estimated on the bases of the seasonal flow rates and the seasonal water qualities of streams and effluents located around Mokpo harbour. Average daily amount of fresh water Stowing into Mokpo harbour obtained by the inflow rate data of 4 seasons was found to be about 5.5×10/sup 6/㎥/day and annual inflow rate to be about 2×10/sup 9/㎥/year. The seasonal flow rates of effluents iron Yongsan lake were above 90% of total flow rates of all inflows in 4 seasons. The concentrations of COD, TSS, TIN and TP at 9 inflow stations Iron streams and effluents in 4 seasons were shown to be in the ranges of 2.87~42.69㎎/ℓ, 3.65~1080.32㎎/ℓ, 0.083~89.744㎎/ℓ and 0.028~6.926㎎/ℓ, respectively. The average loads of COD, TSS, TIN and TP into Mokpo harbour estimated by the data of 4 seasons were found to be about 37 ton/day, 64 ton/day, 13 ton/day and 1.2 ton/day, respectively. The loads of COD, TSS, TIN and TP into Mokpo harbour in summer were shown to be about 82 ton/day, 159 ton/day, 14 ton/day and 2 ton/day, respectively. The main source of pollution loads into Mokpo harbour was found to be the effluent of Yongsan lak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강우시에 육상으로부 터 목포항으로 유입하는 총부유고형물(TSS), 화 학적 산소요구량(COD), 총무기질소(TIN) 및 총 인(TP)의 계절별 부하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목포항과 인근 해역의 수질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안 방법
1997년 하계로부터 1998년 춘계까지 계절별, 유 입지점별 유량과 수질을 조사. 분석하여 목포항 에 유입하는 오염부하량을 산정한 결과는 다음 과 같다.
대상 데이터
연구 대상 해역은 Fig. 1과 같이 용두와 서각을 잇는 구(舊)항계내의 목포 내항수역과, 서각, 장 좌도, 정주도 및 목도를 잇는 목포 북항수역을 포함한다.
연구 대상 해역을 목포 북항구역(North harbour area), 내항구역(Inner harbour area), 대불공업단 지(Daebul industrial complex) 방류구역(Yl), 영 산호(Yongsan lake) 하구둑 수문(Y2) 및 기타로 구역을 분할하였다. 기타의 구역은 영암 용당의 군사지역 및 고하도 지 역 등을 포함한다.
Fig.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목포시 오수 및 우 수의 하수 계획 일반도를 참고하여 오염부하가 큰 9개의 유입 지점에 대하여 하계(97년 8월 19 일), 추계(97년 10월 31일), 동계(98년 2월 14일) 및 춘겨}(98년 4월 30일)의 계절별로 비강우시의 시료수를 가능한 한 해수의 영향이 적은 저조 (Low water)시에 목포항으로 유입하는 각 하천 의 유입 지점과 방류수로의 최하류부에서 채취 하였다. 그리고 유입 지점의 하천들이 복개되어 있고 해수의 침입으로 인하여 하천의 유량을 실 측하기 곤란하여, 목포시의 급수량 및 지하수 사 용량 자료, 대불공업단지의 용수사용량 자료 및 영산호의 방류량 자료를 이용하여 유입 유량을 산정하였으며, 증발이나 지하침투 등 기상학적 인자와 유로의 특성은 고려하지 않았다(목포시 [1998], 영암군[1998〕, 농어촌진훙공사[1998]).
이론/모형
시료 수에 대한 수질분석은 수질오염공정시험법 (환경부 [1992]) 과 Standard Methods(APHA- AWWA-WPCFU999])에 준하였으며 화학적 산 소요구량(COD), 총부유성고형물(TSS), 암모니아 질소(NH3-N), 아질산 질소(NO? -N), 질산 질소 (NQ「-N), 및 총인(TP)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총무기질소(TIN)는 암모니 아 질소, 아질산 질소, 질산 질소의 합계를 말한다(환경정책기본법시행 령 별표 1[2000]).
성능/효과
4계절 평균 일유 입 량은 약 550만irf/day로서 연간 약 20억就가 목포항으로 유입하고 있다. 그 중에서 영산호 (Y2)의 유량은 4계절 모두 전체유량의 90%를 상회하였고, 특히 하계에는 각 유입 지점의 일유 량을 합계한 총일유량의 9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포 내항지역에 위치한 입암천(M2)은 4계절 평균 일유량이 약 3.
6만m'/day로 서 유입 지점들 중에서 영산호 다음으로 많은 유량을 보였다. 또한 목포항으로 유입하는 하계 의 총일유량은 약 1, 240만m'/day로서 각 계절의 총일유량을 합계한 4계절 총합계 일유량의 약 56%를 차지하여 다른 계절보다 훨씬 많은 유량 을 나타내었고, 추계, 동계 및 춘계에는 각각 약 6%, 약 11% 및 약 26%를 나타내어 계절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영산강 유역에 내리는 계절별 강우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영산강 유역에 내리는 계절별 강우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각 지점의 4계절 평균 일유량을 합하여 4계절 평균 총일유량을 구하고, 이 4계절 평균 총일유량에 대한 구역별 4계절 평균 일유입량의 비율을 살 펴보면, 북항구역이 0.5%, 내항구역이 1.4%, 대 불공업단지가 0.3%, 영산호가 97.6%, 기타가 0.2%로 나타났다.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의 계절별 유입 농도 는 하계에 2.87〜31.36mg//, 추계에 7.55〜42.69 mg〃, 동계에 4.90〜34.72mg〃, 춘계에 5.97-35.96mg/Z 로 나타났으며 , 추계 의 산정 농공단지 (B1) 방류수가 42.69mg//로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부유물질(TSS)의 계절별 유입 농도는 하계에 10.
하계의 유입 부하는 약 82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56%를 차지하여 4계절 중에서 가장 큰 부하를 보였으며, -1 중에서 영산호가 약 97%, 내항구역이 약 2%, 대불공단구역이 약 0.5%, 북항구역이 약 0.4%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계의 유입 부하는 약 13 ton/day로 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9%를 차지하여 4계절 중에서 가장 작은 부하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76%, 내항구역이 약 15%, 북항구역 이 약 5%, 대불공단구역이 약 4%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계의 유입 부하는 약 13 ton/day로 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9%를 차지하여 4계절 중에서 가장 작은 부하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76%, 내항구역이 약 15%, 북항구역 이 약 5%, 대불공단구역이 약 4%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의 유입 부하는 약 15 ton/day로서 추계의 부하량과 비슷한 부하를 나 타내어 4계절 총부하량의 약 10%를 차지하였으 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79%, 내항구역이 약 13%, 북항구역이 약 5%, 대불공단구역이 약 2% 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계의 유입 부하는 약 13 ton/day로 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9%를 차지하여 4계절 중에서 가장 작은 부하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76%, 내항구역이 약 15%, 북항구역 이 약 5%, 대불공단구역이 약 4%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의 유입 부하는 약 15 ton/day로서 추계의 부하량과 비슷한 부하를 나 타내어 4계절 총부하량의 약 10%를 차지하였으 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79%, 내항구역이 약 13%, 북항구역이 약 5%, 대불공단구역이 약 2% 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춘계의 유입 부하 는 약 37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25%를 차지하여 4계절의 평균 부하와과 비슷한 부하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91%, 내항구역이 약 6%, 북항구역이 약 2%, 대불공단 구역이 약 1%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의 유입 부하는 약 15 ton/day로서 추계의 부하량과 비슷한 부하를 나 타내어 4계절 총부하량의 약 10%를 차지하였으 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79%, 내항구역이 약 13%, 북항구역이 약 5%, 대불공단구역이 약 2% 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춘계의 유입 부하 는 약 37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25%를 차지하여 4계절의 평균 부하와과 비슷한 부하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91%, 내항구역이 약 6%, 북항구역이 약 2%, 대불공단 구역이 약 1%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포항으로 하루에 유입하는 TSS 부하량은 4계 절 평균 약 64 ton/day이었으며, 그 중에서 영산 호로부터 유입하는 약 54 ton/day의 부하가 약 84%로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 로 내항구역이 약 6 ton/day로서 약 9%를, 북항 구역이 약 3 ton/day로서 약 5%를, 대불공단구 역이 약 1 ton/day로서 약 2%를, 그리고 기타의 구역이 약 0.2 ton/day로서 약 0.3%를 차지하였 다. 영산호로부터의 TSS 부하가 가장 크게 나타 난 것은 영산호로부터 방류되는 담수의 TSS 농 도가 다른 구역의 TSS 농도보다 작은 값을 보 이지만, 영산호의 방류수 유량이 다른 구역의 유 량에 비하여 절대적 우위를 보이기 때문이다.
하계의 유입 부하는 약 159 ton/day로서 4계 절 총부하량의 약 62%를 차지하여 4계절 중에 서 가장 큰 부하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 가 약 84%, 내항구역이 약 11%, 북항구역이 약 4%, 대불공단구역 이 약 0.4%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계의 유입 부하는 약 42 ton/day로 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16%를 차지하였고,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80%, 북항구역이 약 10%, 대불공단구역이 약 7%, 내항구역이 약 3%를 점 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계의 유입 부하는 약 42 ton/day로 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16%를 차지하였고,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80%, 북항구역이 약 10%, 대불공단구역이 약 7%, 내항구역이 약 3%를 점 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의 유입 부하는 약 32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12%를 차 지하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87%, 내항 구역이 약 8%, 북항구역이 약 4%, 대불공단구역 이 약 1%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계의 유입 부하는 약 42 ton/day로 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16%를 차지하였고,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80%, 북항구역이 약 10%, 대불공단구역이 약 7%, 내항구역이 약 3%를 점 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의 유입 부하는 약 32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12%를 차 지하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87%, 내항 구역이 약 8%, 북항구역이 약 4%, 대불공단구역 이 약 1%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춘계의 유입 부하는 약 25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 의 약 10%를 차지하여 4계절 중에서 가장 작은 부하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82%, 내항구역이 약 12%, 북항구역이 약 5%, 대불공 단구역이 약 1%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의 유입 부하는 약 32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12%를 차 지하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87%, 내항 구역이 약 8%, 북항구역이 약 4%, 대불공단구역 이 약 1%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춘계의 유입 부하는 약 25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 의 약 10%를 차지하여 4계절 중에서 가장 작은 부하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82%, 내항구역이 약 12%, 북항구역이 약 5%, 대불공 단구역이 약 1%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포항으로 하루에 유입하는 TIN 부하량은 4계 절 평균 약 13 ton/day이었으며, 그 중에서 영산 호로부터 유입하는 약 11 ton/day의 부하가 약 87%로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내항구역이 약 1 ton/day로서 약 8%를, 북항구 역이 약 0.5 ton/day로서 약 4%를, 대불공단구역 이 약 0.03 ton/day로서 약 0.2%를, 그리고 기타 의 구역이 약 0.1 ton/day로서 약 0.7%를 차지하 였다. 영산호로부터의 TIN 부하가 가장 크게 나 타난 것은 영산호로부터 방류되는 담수의 TIN 농도가 다른 구역의 TIN 농도보다 작은 값을 보이지만, 영산호의 방류수 유량이 다른 구역의 유량에 비하여 절대적 우위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총질소(TN)는 총무 기질소 (TIN) 과 유기질소 (Organic Nitrogen) 를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마산만과 목 포항의 주변 도시 규모, 유역 인구 등을 고려하 면, 목포항에 유입하는 TIN 부하량은 결코 적은 양이 아니 기 때문에 목포항의 부영양화에 상당 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하계의 유입 부 하는 약 14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28%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89%, 내항구역이 약 9%, 북항구역이 약 2%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계의 유입 부하는 약 1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3%를 차 지하여 4계절 중에서 가장 작은 부하를 보였으 며, 그 중에서 내항구역이 약 55%를 차지하여 가장 크게 나타났고, 북항구역이 약 29%, 영산 호가 약 8%, 대불공단구역이 약 1%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계의 유입 부 하는 약 14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28%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89%, 내항구역이 약 9%, 북항구역이 약 2%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계의 유입 부하는 약 1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3%를 차 지하여 4계절 중에서 가장 작은 부하를 보였으 며, 그 중에서 내항구역이 약 55%를 차지하여 가장 크게 나타났고, 북항구역이 약 29%, 영산 호가 약 8%, 대불공단구역이 약 1%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산강의 부하가 동계와 춘계 에 비하여 하계에 작게 나타난 것은 영산호 방 류수의 TIN 농도가 동계와 춘계에 비하여 훨씬 작기 때문이고, 추계에 가장 작게 나타난 것은 영산호 방류수의 유량과 TIN 농도가 다른 계절 에 비하여 훨씬 작기 때문이다.
영산강의 부하가 동계와 춘계 에 비하여 하계에 작게 나타난 것은 영산호 방 류수의 TIN 농도가 동계와 춘계에 비하여 훨씬 작기 때문이고, 추계에 가장 작게 나타난 것은 영산호 방류수의 유량과 TIN 농도가 다른 계절 에 비하여 훨씬 작기 때문이다. 동계의 유입 부 하는 약 15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28%를 차지하여 하계의 부하량과 비슷하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85%, 내항구역이 약 11%, 북항구역이 약 4%, 대불공단구역이 약 0.4%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의 유입 부하가 하계의 유입 부하와 유사하게 나타났지 만, 그 내용을 살펴보면, 영산강 방류수의 하계 유량이 동계 유량의 약 5배에 해당하였으나 영 산강 방류수의 동계 TIN 농도가 하계 TIN 농도 의 약 5배에 해당하기 때문에, 유입 부하의 지배 인자가 하계에는 유량이지만 동계에는 TIN 농 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4%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의 유입 부하가 하계의 유입 부하와 유사하게 나타났지 만, 그 내용을 살펴보면, 영산강 방류수의 하계 유량이 동계 유량의 약 5배에 해당하였으나 영 산강 방류수의 동계 TIN 농도가 하계 TIN 농도 의 약 5배에 해당하기 때문에, 유입 부하의 지배 인자가 하계에는 유량이지만 동계에는 TIN 농 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춘계의 유입 부하는 약 22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42%를 차 지하여 4계절 중에서 가장 큰 부하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93%, 내항구역이 약 4%, 북항구역이 약 3%, 대불공단구역이 약 0.
동계의 유입 부하가 하계의 유입 부하와 유사하게 나타났지 만, 그 내용을 살펴보면, 영산강 방류수의 하계 유량이 동계 유량의 약 5배에 해당하였으나 영 산강 방류수의 동계 TIN 농도가 하계 TIN 농도 의 약 5배에 해당하기 때문에, 유입 부하의 지배 인자가 하계에는 유량이지만 동계에는 TIN 농 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춘계의 유입 부하는 약 22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42%를 차 지하여 4계절 중에서 가장 큰 부하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93%, 내항구역이 약 4%, 북항구역이 약 3%, 대불공단구역이 약 0.2%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포항으로 하루에 유입하는 TP 부하량은 계절 평균 약 1.2 ton/day이었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 로부터 유입하는 약 1.0 ton/day의 부하가 약 83%로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내항구역이 약 0.1 ton/day로서 약 10%를 북항 구역이 약 0.05 ton/day로서 약 4%를, 대불공단 구역이 약 0.01 ton/day로서 약 1%를, 그리고 기 타의 구역이 약 0.9%를 차지하였다. 영산호로부 터의 TP 부하가 가장 크게 나타난 것은 영산호 로부터 방류되는 담수의 TP 농도가 다른 구역 의 TP 농도보다 작은 값을 보이지만, 영산호의 방류수 유량이 다른 구역의 유량에 비하여 절대 적 우위를 보이기 때문이다.
8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38%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92%, 북항구역이 약 3%, 대불공단구역이 약 2%, 내항구역이 약 2%를 차지하였다. 하계의 유 입 부하량이 추계의 유입 부하량과 유사흐]■게 나 타났지만, -1 내용을 살펴보면, 영산강 방류수의 하계 유량이 추계 유량의 약 9배에 해당하였으 나 영산강 방류수의 추계 TP 농도가 하계 TP 농도의 약 9배에 해당하기 때문에, 유입 부하의 지배 인자가 하계에는 유량이지만 추계에는 TP 농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의 유입 부하는 약 0.
하계의 유 입 부하량이 추계의 유입 부하량과 유사흐]■게 나 타났지만, -1 내용을 살펴보면, 영산강 방류수의 하계 유량이 추계 유량의 약 9배에 해당하였으 나 영산강 방류수의 추계 TP 농도가 하계 TP 농도의 약 9배에 해당하기 때문에, 유입 부하의 지배 인자가 하계에는 유량이지만 추계에는 TP 농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계의 유입 부하는 약 0.5 ton/day로서 4계절 총부하량의 약 11%를 차 지하였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56%, 내항 叶역이 약 %%, 북항구역이 약 12%, 대불공단구 역이 약 0.3%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춘 계의 유입 부하는 약 0.
3%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춘 계의 유입 부하는 약 0.4 ton/day로서 4계절 총 부하량의 약 9%를 차지하여 4계절 중에서 가장 작은 부하를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 영산호가 약 88%, 내항구역이 약 8%, 북항구역이 약 4%, 대 불공단구역이 약 0.2%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1) 목포항으로 유입하는 4계절 평균 일유량은 약 550만m'/day로서 연간 약 20억가 목포 항으로 유입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 영산호 방류수의 유량은 모든 계절에서 총일유량의 90%를 상회하였고, 특히 하계에는 각 유입 지점의 일유량을 합계한 총일유량의 99%를 차지하였다.
(1) 목포항으로 유입하는 4계절 평균 일유량은 약 550만m'/day로서 연간 약 20억가 목포 항으로 유입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 영산호 방류수의 유량은 모든 계절에서 총일유량의 90%를 상회하였고, 특히 하계에는 각 유입 지점의 일유량을 합계한 총일유량의 99%를 차지하였다. 또한 목포항으로 유입하는 하계 의 총일유량은 약 1, 240만m'/day로서 각 계 절의 총일유량을 합계한 4계절 총합계 일유 량의 약 56%를 차지하여 다른 계절보다 훨 씬 많은 유량을 나타내었고, 추겨], 동계 및 춘계에는 각각 약 6%, 약 11% 및 약 26%를 나타내어 계절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그 중에서 영산호 방류수의 유량은 모든 계절에서 총일유량의 90%를 상회하였고, 특히 하계에는 각 유입 지점의 일유량을 합계한 총일유량의 99%를 차지하였다. 또한 목포항으로 유입하는 하계 의 총일유량은 약 1, 240만m'/day로서 각 계 절의 총일유량을 합계한 4계절 총합계 일유 량의 약 56%를 차지하여 다른 계절보다 훨 씬 많은 유량을 나타내었고, 추겨], 동계 및 춘계에는 각각 약 6%, 약 11% 및 약 26%를 나타내어 계절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4계절 평균 총일유량에 대한 구역별 4계절 평균 일 유입량의 비율은 북항구역이 0.
(2) 목포항으로 유입하는 모든 지점에 대하여,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의 계절별 유입 농 도는 하계에 2.87〜31.31mg//, 추계에 7.55〜42.69mg//, 동계에 4.90〜 34.72mg//, 춘계에 5.97 〜 35.96mg〃로 나타났으며, 부유물질 (TSS)의 계절별 유입 농도는 하계에 10.89- 1080.30mg/^, 추계에 10.32~252.00mg/^, 동 계에 11.57〜48.65nig/£, 춘계에 3.65-116.00 mg〃 로 나타났고, 총무기질소(TIN)의 계 절 별 유입 농도는 하계에 0.285~17.424mg//, 추계에 0.083 〜 89.744mg/Z, 동계에 4.137-30.085mg/C, 춘계에 2.777 〜 44.246mg/C 로 나 타났으며, 총인(TP)의 계절별 유입 농도는 하계에 0.043 〜 6.926nig/£, 추계에 0.073 〜 6.700mg//, 동계에 0.114〜2.927mg//, 춘계에 0.028〜2.480mg//로 나타났다. 그리고 영산 호 방류수를 호소수질환경기준으로 평가하는 경우, COD는 하계와 추계에 IV급수, 동계와 춘계에 m급수에 해당하였다.
(3) 목포항으로 유입하는 COD 부하량은 4계절 평균 약 37 ton/day이었으며, 그 중에서 영 산호로부터의 유입 부하가 약 34 ton/dayS- 서 약 92%를 차지하였다. 하계에는 약 82 ton/day로서 4계절 총합계 부하량의 약 56% 를 차지하여 4계절 중에서 가장 큰 부하로 나타났다.
(4) 목포항으로 유입하는 TSS 부하량은 4계절 평균 약 64 ton/day이었으며, 그 중에서 영 산호로부터의 유입 부하가 약 54 ton/day로 서 약 84%를 차지하였다. 하계에는 약 159 ton/day로서 4계절 총합계 부하량의 약 62% 를 차지하여 4계절 중에서 가장 큰 부하를 보였으며, 추계에는 약 42 ton/day, 동계에는 약 32 ton/day, 춘계에는 약 25 ton/day로 나타났다.
(5) 목포항으로 유입하는 TIN 부하량은 4계절 평균 약 13 ton/day이었으며, 그 중에서 영 산호로부터의 유입 부하가 약 11 ton/day로 서 약 87%를 차지하였다. 하계에는 약 14 ton/day, 추계에는 약 1 ton/day, 동계에는 약 15 ton/day, 춘계에는 약 22 ton/day로 나타났다.
(6) 목포항으로 유입하는 TP 부하량은 4계절 평 균 약 1.2 ton/day이었으며, 그 중에서 영산 호로부터의 유입 부하가 약 1.0 ton/day로서 약 83%를 차지하였다. 하계에는 약 1.
후속연구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강우시에 육상으로부 터 목포항으로 유입하는 총부유고형물(TSS), 화 학적 산소요구량(COD), 총무기질소(TIN) 및 총 인(TP)의 계절별 부하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목포항과 인근 해역의 수질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