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산강 하구의 하계 담수 방류와 연관된 크기별 Chlorophyll a와 수환경의 일간 변동
Daily Variation of Size-Fractionated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and Water Conditions Associated with Freshwater Discharge during Summer in the Yeongsan River Estuary 원문보기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v.5 no.2, 2020년, pp.72 - 80  

김세희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  신용식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산강 하구는 1981년에 농지 및 농업용수 개발을 위해 하굿둑이 건설되면서 인위적인 변형이 이루어진 시스템으로 하굿둑을 중심으로 담수역과 해수역으로 분리되었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잦은 강우로 인해 수문이 자주 개방되고, 개방 시에 담수가 해수역으로 방류되면서 기수역의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담수 방류의 직접적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여름철 동안 담수 방류 전후로 일간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하계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와 환경여건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담수 방류는 급격한 염분감소와 탁도를 증가시켜 표층의 용존산소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조사 전까지 방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2014년에는 이미 염분이 감소한 상황이어서 추가적인 방류로 인한 염분의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양염 중에서는 특히 질소성 영양염의 유입이 크게 나타났고, 이로 인해 질소의 상대적 제한 보다는 인이나 규소의 제한 가능성이 크게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크기구조는 연도별로 상이한 결과를 보였으나 결과적으로 담수 방류에 따라 변화를 초래하였고, 방류 후에도 어느 정도 그 경향이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불규칙적이고 예측이 어려운 담수 방류는 염분, 탁도, 영양염 농도 등의 환경요인뿐만 아니라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 및 크기구조를 단기적으로 크게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적조와 같은 유해조류발생(HABs) 뿐만 아니라, 먹이량 및 미세먹이망 변화를 통해 상위소비자 그리고 먹이망 구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a dike in the Yeongsan River estuary was constructed in 1981 to supply water and reclaim tidal flats for agriculture, separating the estuary into the freshwater and seawater zones. However, the sluice gates are frequently opened and freshwater is discharged in summer when more rainfall is record...

Keyword

표/그림 (6)

참고문헌 (22)

  1. Adolf JE, Yeager CL, Miller WD, Mallonee ME, Harding LW Jr. 2006. Environmental forcing of phytoplankton floral composition, bi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Chesapeake Bay, USA. Estuar Coast Shelf S 67: 108-122. 

  2. Alvarez-Gongora C, Herrera-Silveira JA. 2006.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related to water quality trends in a tropical karstic coastal zone. Mar Pollut Bull 52: 48-60. 

  3. Attrill MJ, Rundle SD. 2002. Ecotone or ecocline: ecological boundaries in estuaries. Estuar Coast Shelf S 55: 929-936. 

  4. Bharathi MD, Sarma VVSS, Ramaneswari K. 2018. Intra-annual variations in phytoplankton biomass and its composition in the tropical estuary: Influence of river discharge. Mar Pollut Bull 129: 14-25. 

  5. Froneman PW, Pakhomov EA, Balarin MG. 2004. Size-fractionated phytoplankton biomass, production and biogenic carbon flux in the eastern Atlantic sector of the Southern Ocean in late austral summer 1997-1998. Deep Sea Res 51: 2715-2729. 

  6. Jounenne F, Lefebvre S, Veron B, Lagadeuc Y. 2005. B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factors controlling short-term variability in 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on and photosynthetic parameters in a macrotidal ecosystem (eastern English Channel). Estuar Coast Shelf S 65: 421-439. 

  7. Lehrter JC. 2008. Regulation of eutrophication susceptibility in oligohaline regions of a northern Gulf of Mexico estuary, Mobile Bay, Alabama. Mar Pollut Bull 56: 1446-1460. 

  8. Murrell MC, Hagy JD, Lores EM, Greene RM. 2007. Phytoplankton production and nutrient distributions in a subtropical estuary: importance of freshwater flow. Estuar Coast 30: 390-402. 

  9. Parsons TR, Maita Y, Lalli, CM.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Inc., New York, pp 173. 

  10. Pritchard DW. 1967. What is and estuary: physical viewpoint. Science 80: 3-5. 

  11. Saeck EA, Hadwen WL, Rissik D, O'Brien KR, Burford MA. 2013. Flow events drive patterns of phytoplankton distribution along a river-estuary-bay continuum. Mar. Freshwater Res, 64: 655-670. 

  12. Sin Y, Hyun B, Jeong B, Soh HY. 2013. Impacts of eutrophic freshwater inputs on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size structure in a temperate estuary altered by a sea dike. Mar Environ Res 85: 54-63. 

  13. Sin Y, Jeong B. 2015. Short-term variation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response to anthropogenic stressors in a highly altered temperate estuary. Estuar Coast Shelf S 156: 83-91. 

  14. Sin Y, Lee E, Lee Y, Shin K-H. 2015. The river-estuarine continuum of nutrients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an estuary physically divided by a sea dike. Estuar Coast Shelf S 163: 279-289. 

  15. Sin Y, Lee H. 2020. Changes in hydrology, water, quality, and algal blooms in a freshwater system impounded with engineered structures in a temperate monsoon river estuary. J Hydrol-Reg Stud 32: 100744. 

  16. Smith VH. 2006. Responses of estuarine and coastal marine phytoplankton to nitrogen and phosphorus enrichment. Limnol Oceanogr 51: 377-384. 

  17. Song E-S, Shin Y-S. 2008. Spatio-temporal fluctuations of size-structured phytoplankton over an annual cycle in the Youngsan Lake. Korean J Ecol Environ 41: 530-540. 

  18. Song E-S, Cho K-A, Shin Y-S. 2015. Exploring the dynamics of dissolved oxygen and vertical density structure of water column in the Youngsan Lake. J Envrion Sci Int 24: 163-174. 

  19. Telesh IV, Schubert H, Skarlato SO. 2011. Revisiting Remane's concept: evidence for high plankton diversity and a protistan species maximum in the horohalinicum of the Baltic Sea. Mar Ecol Prog Ser 421: 1-11. 

  20. Tockner K, Stanford JA. 2002. Riverine flood plains: present state and future trends. Environ Conserv 29: 308-330. 

  21. Totti C, Cangini M, Ferrari C, Kraus R, Pompei M, Pugnetti A, Romagnoli T, Vanucci S, Socal G. 2005. Phytoplankton size-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in relation to mucilage occurrence in the northern Adriatic Sea. Sci Total Environ 353: 204-217. 

  22. Wu X, Duan H, Bi N, Yuan P, Wang A, Wang H. 2016. Interannual and seasonal variation of chlorophyll-a off the Yellow River Mouth (1997-2012): Dominance of river inputs and coastal dynamics. Estuar Coast Shelf S 183: 402-41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