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에서의 진화내용분석
Analysis of Evolutionary Content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3 no.5, 2003년, pp.470 - 483  

김학현 (양재고등학교) ,  장남기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차에서 6차에 이르기까지 13종의 교과서의 진화내용을 분석하였다. 9가지 성분으로 구분된 교과서의 내용분석은 80가지 진화내용 항목에 대해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교과서에서 진화내용의 총량은 증가하였으나 총 진화내용 중 본논문내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1차에서 6차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교과서로 가며 점차 감소하였고 진화내용의 비중은 생물교육과정과 교과서 저자의 시각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대체로 분석된 교과서에서 다루어진 진화주제는 다양성면에서 부족하였다. 어떤 주제 항목은- '집단선택', '유전자 선택', '화석 기록에서의 공백', '공진화', 단속 평형설', '혼합진화', '인류진화에 있어서의 노동의 위치', 인종의 차이', ''개체발생의 계통발생을 반복한다'에 대한 비판', '진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의 활동'-다루어지지 않았고 또 어떤 항목은-'중립설', '지질시대에서 발견되는 주요사건에 관한 설(멸종에 관한 내용 제외)', '동소적 종분화', '연속변이적 종분화 및 지역효과 종분화', '배수성과 진화', '점진주의', '연장류의 기원과 진화'-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가장 강조된 주제 항목은 '일반적인 계통학', '세포전 단계의 형성', '기타' 순으로 많이 강조되었다. 자연선택설은 진화의 중요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여러진화설중의 하나로 다루어졌다. 또한 유전적 평형을 붕괴시키는 요인으로서 유전적 부동이나 이주 등도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었고 종분화의 속도와 관련된 주제도 거의 언급되지 않았다. 반면 신뢰성이 의심되는 발생반복설이 진화 증거의 하나로 교과서에서 제시되었다. 이 결과에 근거해 교과서 저자들이 진화와 진화설을 설명할 때 자연 선택설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의미 있는 주제를 소개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evolutionary content in 13 textbooks developed from the first to the 6th high school biology curriculum, The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which were delineated nine component, was performed on the 80 evolutionary categories, According to the result, the proportion of the to...

주제어

참고문헌 (28)

  1. 권혜련(1999). 진화개념 구조가 반영된 중학교 생물 프로그램이 학생의 생명관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 김화현, 장남기(2002a). 고등학교 생물교용과정에서의 진화내용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2), 114-125 

  3. 김학현, 장남기(2002b). 고등학교 생물교과서에서 진화가 차지하는 비중.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2), 158-165 

  4. 전태식, 허명(1989). 광합성과 진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과 오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7, 1-4 

  5. 정완호, 차희영(1994). 고등학생들의 유전과 진화에 대한 오개념. 한국과학교육화회지, 14(2), 170-183 

  6. 박남이, 이길재(2000). 과학사를 이용한 진화 개념의 교수-학습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2), 85-99 

  7. American Association for Advancement of Science.(1989). A Project 2061 panel report: Biolsical and health science. Washington, DC 

  8. Bowler, P. J.(1989). Evolution: The History of an Idea(Revised ed.)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 Brumby, M.(1979). Problems in Learning the Concept of Natural Selection.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13(2), 119-122 

  10. Cummins, C. L. et al.(1994). Evolution: Biological Education's Under-Researched Unifying Them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5), 445-448 

  11. Dobzhansky, T.(1973). Nothing in biology makes sense except in light of evolution.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35, 127-129 

  12. Elinson, R. P.(1987). Change in developmental patterns: Embryos of amphibians with large eggs. In RA. Raff & E.C. Raff(Eds.l. Development as an Evolutionary Process, volume 8(pp. 1-21). New York: Alan R. Liss 

  13. Gould, S. J. & Eldredge, N.(1977). Punctuated equilibria : The tempo and mode of evolution reconsidered. Paleobiology, 3, 115-151 

  14. Holsti, O. R.,(1969).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Reading, MA:Addison-Wesley 

  15. Krippendorff, K.(1980).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Beverly Hills, CA: Sage 

  16. National Association of Biology Teachers(NABT)(1995), Statement on Teaching Evolution. Adopted by the NABT board of directors on March, 1995 

  17.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8. Rutherford, F. J. & Ahlgren, A.(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 Rutledge. M. L., Warden. M. A.(2000). Evolutionary Theory, the Nature of Science and High School Biology Teachers: Critical Relationships. American Biology Teacher. 62(1), 23-31 

  20. Rosental. D. B.(1985). Evolution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1963-1983. Science Education, 69. 637-648 

  21. Settlage, J. J.(1994). Conceptions of Natural Selection: A Snapshot of the Sense-Making Proces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5), 449-57 

  22. Skoog. G.(1984). The coverage of evolution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published in the 1980s. Science Education, 68(2), 117-128 

  23. Skoog. G.(1979). Topic of evolution in secondary school biology textbooks: 1900-1977. Science Education, 63, 621-640 

  24. Smith, M. U. et al.(1995).Foundational Issues in Evolution Education. Science and Education, 4(1), 23-46 

  25. Swarts. F. A.(1991). Topic and inquiry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biology textbook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the Union Institute, Cincinnati, OH, 1991).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52. 4285A. (University Microfilms No.9214038) 

  26. Swarts F. A., Anderson O. R., & Swetz F. J.(1994). Evolution in Secondary School Biology Textbooks of the PRC. the USA. and the Latter Stage of USSR. JRST. 31(5). 475-505 

  27. Wells J.(1999). Haeckel's Embryos & Evolution: Setting the Record Straight.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1(5). 345-355 

  28. Yager. R. E.(1983). The importance of terminology in teaching K-12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 577-5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