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영재의 과학 관련 태도와 지능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Its Relationships with Intelligence and Science Process Skill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3 no.5, 2003년, pp.531 - 543  

양태연 (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연구소) ,  배미란 (인천대학교 과학영재교육연구소) ,  한기순 (인천대학교 교육학과) ,  박인호 (인천대학교 물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과학영재들이 지능 및 과학 탐구능력과 같은 인지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정의적인 측면에서도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보기 위해서 과학 관련 태도를 일반집단과 비교하였고, 과학 관련 태도와 지능 및 과학탐구능력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I 대학의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266명의 중학생들을(남학생 : 169명, 여학생 :97명) 대상으로 Raven 도형 지능 검사, 과학탐구능력 검사, 과학 관련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들은 지능과 탐구능력에서 뿐만 아니라 모든 과학 관련 태도 영역에서 일반 학생들보다 긍정적인 특성을 드러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관련 태도는 일반 집단에서는 지능 및 과학탐구능력과 긍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나, 과학영재집단에서는 거의 상관이 없음이 드러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at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have distinctive science related attitudes in comparison with general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science related attitudes, intelligence, and science process skills. Two hundred sixty-six middle...

주제어

참고문헌 (39)

  1. 강순자, 권정민, 여생회(1997). 초등학생의 과학개념, 과학과 관련된 태도, 지능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5(2), 243-248 

  2. 장연욱, 김정기(1997). Raven Colored Progressive Matrices 점사의 표준화, 한국생리학회지, 16(2), 367-378 

  3. 고유곤(1996). 고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에 대한 인식 및 과학불안도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 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15-264 

  5. 김범기(1993). 학생들의 과학교과 불안도와 학습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41-358 

  6. 김주훈, 김영민, 이양락, 노석구(1991).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과학교육 평가 체계 연구(I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92-5-4 

  7. 문병상(2000). 영재와 평재간의 학업적 자기조절 차이, 초등교육학회지, 14(1), 181-197 

  8. 박승재(1980). 중등 과학교사의 과학과 과학교육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 3-15 

  9. 소금현, 심규철, 이현욱, 장남기 (2000). 중학교 과학 영재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66-173 

  10. 심규철, 소금현, 이현욱, 장남기(1999). 중학교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4), 368-375 

  11. 안계원, 정영란(1996). 중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과학성적, 과학 탐구능력, 과학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410-416 

  12. 이재봉(2000). 중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과학불안.학업 성적간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재천, 김범기(1996).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인식과 과학 탐구능력 및 과학 학습성취도의 구조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249-259 

  14. 임청환(1995) 국민학생과 중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2), 194-200 

  15. 정미숙(1996). 정의적 변인들간 및 학업성적과의 관계분석, 교육학회지, 34(1), 131-148 

  16. 정병석, 이명란, 정진우(1994), 국민학교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3(1), 19-33 

  17. 허명(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18. Aiken, L. R. Jr., & Aiken, D. R.(1969), Recent research on attitudes concerning science. Science Education, 53. 295-305 

  19. Arntson, W. W.(1975). The Effect of and Interdisciplinary Course in Futuristics on Attitudes toward Science among Student: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20. Bloom, B. S., Hastings, J. T, & Madaus, G. F.(1971). Handbook on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for student learning. New York: McGraw-Hill 

  21. Cassidy, J & Johnson, N.(1986). Federal and state definitions of giftedness: Then and now. Gifted Child Today, 9(6), 15-21 

  22. Diederich, P. B.(1967). Components of the scientific attitude. The Science Teacher, 36, 23-24 

  23. Fraser, B. J.(1982).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levels of classroom individualization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2). 143-154 

  24. Gagne, F.(1993). Constructs and models pertaining to exceptional human ability. In Heller. K. A., F. J. Monks & A. H. Passow(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ed(pp. 69-87) 

  25. Gardner, P. L.(1975). Attitude to science: A review.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 1-41 

  26. Laforgia, J.(1988). The affective domain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nd its evaluation, Science Education, 72(4). 407-421 

  27. Laudau, E., K. Weissler and Golod, G.(1996). Motivation and giftedness.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11, 139-142 

  28. McCallum, S., Bracken, B., & Wasserman, J.(2001). Essentials of nonverbal assessment. John Wiley & Sons 

  29. Maeroff, G. L.(1978). School science struggles less successfully than ever. The New Times, July 2 

  30. Marsh, H. W.(1990). Causal ordering of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 A multiwave, longitudinal panel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646-656 

  31. Moran, A. P.(1986).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aven's Standard Progressive Matrices for Irish apprentices. 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Psychology, 35, 533-538 

  32. Munby, H.(1983). An investigation into the Measurement of Attitudes in Science Education ERIC No. ED043 559 

  33. Oliver, J. S.(1986). A Longitudinal Study of Attitude, Motivation and Self-concept as Predictors of Achievement and Commitment to Science among Adolescent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34. Oliver, W. Hill, Pettus, W. C. and Hedin, B. A.(1990). Three studies of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of blacks and females toward the pursuit of science and science-related care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4), 289-314 

  35. Passow, A. H.(1994). Growing up gifted and talented: schools, families, and communities.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10, 4-9 

  36. Raven, J. C., Court, J. H., & Raven, J,(1977). Manual for Raven's Progressive Matrices and Vocabulary Scales. London; H. K. Lewis 

  37. Reid, C., & B. Romanoff.(1997).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o identify gifted children. Educational Leadership, 55(1), 71-74 

  38. Renzulli, J. S.(1986).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al model for creative productivity.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 (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pp.53-92).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Terman, L. M.(1925).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ume 1: Ment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