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물리량에 대한 차수 어림 능력 분석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Ability in Estimating Order of Magnitude for physical Quantiti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3 no.3, 2003년, pp.229 - 238  

서정아 (동마중학교) ,  조광희 (서울대학교) ,  박승재 (과학문화교육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상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중학생들이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물리량의 치수를 어림하는 능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은 기본량에 해당하는 길이와 질량, 유도량에 해당하는 속력, 부피, 밀도에 대한 차수 어림 능력을 묻는 선택형 문항을 개발하였고, 서울지역 중학교 1학년과 3학년 학생 448명이 조사에 참가하였다. 전체적으로 반 이상의 학생들이 물리량의 치수를 참값과 다르게 어림하고 있었는데, 차원이 복잡한 유도량이거나 크기가 작을수록 차수 어림 능력이 낮아졌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성별에 따라서 차수 어림 능력에 차이가 있었고 상대적으로 남학생이 길이 어림을 잘 하였다. 결론적으로 반수 이상의 학생들이 물리량이 차수를 제대로 어림하지 못한다는 점은 물리량과 단위에 대한 정성적인 이해가 부족함을 나타내며, 기능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측정 교육이 가지는 한계점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실제 측정을 통하여 구한 물리량의 정성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어림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middle school student' ability in estimating order of magnitude of physical quantities. Participants were 448 students of seventh grades and ninth graders in Seoul area. A multiple-choice typed questionnaire was designed for estimating five physical quantities such 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의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물을 보지 않고 물리량의 크기를 대략적으로 알아내는 어림 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톰슨(Tompson)의 분류 중에서 측정값 어림에 해당하며, 브라이트(Bright)의 분류 중에서 측정값을 알려 주지 않고 단위가 제공되지 않은 상황에서 실물을 보지 않고 하는 어림에 해당한다.
  • 선행 연구와 교육과정 분석을 기초로 하여 연구자는 어림(estimation) 능력을 측정 도구 없이 물리량의 크기를 대략적으로 알아내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Bright, 1979; Schofield, 1989; Fortgang, 1995; Micklo, 1999; 서정아, 2000). 이 연구는 어림 능력에 대한 기초적인 조사 연구로서, 실물을 보지 않고 물리량의 차수를 어림하는 능력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중학생들이 도구를 활용하지 않고서 일상적인 경험을 근거로 하여 물리량의 久수를 어림하는 능력을 조사한 것이다. 길이, 질량, 속력, 부피, 밀도에 대하여 어림한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반 이상의 학생들은 차수 어림을 잘하지 못하고 있었는데, 가장 정답률이 높은 문항에서도 25% 이상의 학생들은 참값보다 10배 이상 크거나 작게 어림을 하고 있었다.
  •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특성을 감안하여 이 연구에서는 기본량과 유도량게 대한 중학생의 어림 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와 교육과정 분석을 기초로 하여 연구자는 어림(estimation) 능력을 측정 도구 없이 물리량의 크기를 대략적으로 알아내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Bright, 1979; Schofield, 1989; Fortgang, 1995; Micklo, 1999; 서정아, 200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교육부(1994). 편수자료 III- 기초과학. 서울:대한 교과서주식회사 

  2. 권재술, 김범기(1994). 초. 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 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3. 김미경, 오희균, 박종원(1996). 물리 탐구 실험의 평가를 위한 도구의 개발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1). 51-60 

  4. 김인묵, 엄정인, 최준곤(1997). 최신물리학용어사전. 서울:탐구당 

  5. 서정아(2000). 정량적 물리개념에 대한 어림활동과 측정활동이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송진웅, 김혜선(2001). 기본 물리량 어림의 정확성 및 방법에 대한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76-88 

  7. 우종옥, 이항로, 이경훈(1992).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자연과학 탐구 능력 평가를 위한 행동 요소의 추출과 평가 목표의 상세화 연구 II.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2). 81-95 

  8. 한국물리학회(1995). 물리학 용어집. 서울: 청문각 

  9. 한국표준과학연구원(1998). 측정불확도 표현 지침.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1974). Science-A Process Approach. Washington; AAAS 

  11. APU(1989). Science in Schools. Age 15: Report No.1. Center for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University of Leeds 

  12. Bright, G. W.(1979). Estimating physical measurem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79(8), 581-586 

  13. Clement, J.(1982). Students' preconceptions in introductory mechanic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Vol. 50, 66-71 

  14. Crane, H. R.(1969) Problems for introductory physics. The Physics Teacher, Vol. 7(7), 371-378 

  15. Fortgang, A.(1995). The triang le of science. Science Teacher, 62(1), 32-36 

  16. Hughes, D. J.(1959). The Neutron story. 김영덕(역). 서울:현대과학신서 27 

  17. Klopfer, L. E.(1971). Evaluation of learning in science. In Bloom, Hastings, & Madaus (Eds). Handbook of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New York: McGraw-Hill 

  18. Kuhn, T. S.(1962).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김명자(역). 서울:동아출판사 

  19. Kunz, K. S.(1971). Visualizing large number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Vol. 39, 452 

  20. Memory, J. D. & Jenkins, A. W.(1977). Estimating orders of magnitude. The Physics Teacher, Vol. 15,43 

  21. Micklo, S.(1999). Estimation: it' s more than a guess (teaching estimation to grade school students). Childhood Education, 64(2), 203-211 

  22. Morrison, P.(1963). Fermi question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Vol. 31, 626 

  23. Physical Science Study Committee(1965). PSSC Physics. PSSC 번역위원회 옮김. 서울:탐구당 

  24. Rogers, E. M.(1960). Physics for the inquiring mind: the methods, nature, and philosophy of physical scienc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Schofield, B.(1989). Use of apparatus and measuring instruments. Assessment of Performance Unit. Science at Age 13: A Review of APU Survey findings 1980-84. 55-71. London: Her Majesty's Stationary Office. 

  26. Steen, L. A.(1997). The new literacy. In L. A. Steen (Eds), Why numbers count. Quantitative Literacy for Tomorrow's America. The College Board 

  27. Thompson, A. G.(1979). Estimating and Approximat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79(8), 575-5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