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는 해결자.청취자 활동에서 내.외향성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
The Effect of Grouping by Extraversion and Introversion in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Using Problem-Solving Strateg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3 no.1, 2003년, pp.57 - 65  

전경문 (서울대학교) ,  강훈식 (서울대학교) ,  노태희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계획과 검토 단계를 강조한 4단계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는 해결자 청취자 활동에서 내 외향성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업 전 고등학교 이과 2학년 3개 학급(N=87)을 대상으로 내 외향성 검사를 실시한 후, 내 외향성 동질 집단과 이질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연구 결과, 화학 문제 해결력 검사의 점수는 두 처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학습 곤란도와 자야효능감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수업 처치에 대한 의식의 하위 항목들에서는 두 처치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청취자의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 문제 해결 전략과 해결자 청취자 활동에 대한 선호도에서 외향적인 학생의 점수가 내향적인 학생의 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grouping by extraversion and introversion in paired think-aloud problem solving using a four-stage problem-solving strategy emphasizing planning and checking stages were investigated. Prior to the instructions, the students' extraversion/introversion in three high scho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계획과 검토 단계를 강조한 4단계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는 해결자 · 청취자 활동을 고등학교 화학 수업에 적용하고 그 교수 효과를 내 · 외향성의 측면에서 동질적인 소집단과 이질적인 소집단에 대해 비교하였다. 이에 따른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珏
  • 자아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내.외향성 검사 점수의 전체 평균에 기초하여. 내 , 외향성 동질집단과 이질 집단으로 소집단을 구성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계획과 검토 단계를 강조한 4단계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는 해결자 - 청취자 활동을 고등학교 화학 반응식과 화학양론 단원에 적용하고 그 교수 효과를 내 · 외향성의 측면에서 동질적으로 구성한 소집단과 이질적으로 구성한 소집단에 대해 비교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계획과 검토 단계를 강조한 4단계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는 해결자 · 청취자 활동에서 내 · 외향성에 따론 소집단 구성의 효과룰 조사하였다. 수업 전 고등학교 이과 2학년 3개 학급(N =87) 울대상으로 내 · 외향성 검사를 실시한 후, 내 - 외향 성동질 집단과 이질 집단, 그리고 통제 집단으로 무선배치하였다.
  • 이 때, 통제 집단에서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 주었고, 처치 집단에서는 계획과 검토단계룰 강조한 4단계 전략을 이용하여 문제룰 해결해주었다. 이어서 학생들의 문제 해결 활동올 진행하였다. 처치 집단에서 해결자는 전략이 포함된 활동지의 문제룰 소리내어 해결하였고 청취자는 해결자의 전략사용을 점검해주었으며, 활동이 끝난 후에는 계획과 검토 단계롤 제대로 수행했는지를 짝과 함께 토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노태희, 박수연. 임희준, 차정호(1998), 협동학습 전략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61-82 

  3. 노태희, 서인호, 한재영, 전경문, 차정호(2000). 협동학습에서 학생의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소잡단 구성의 효과. 한국교육학회지, 20(1), 174-182 

  4. 노태희, 전경문(1997a). 물질의 분자 수준을 시각적으로 강조하는 4단계 문제 해결식 수업이 학생의 개념과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3). 313-321 

  5. 노태희, 전경문(1997b). 중학생의 화학 문제 해결 전략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1), 75-83 

  6. 노태희, 전경문, 한인옥, 김창민(1996). 학생의 인지발달 수준과 문제의 상황에 따른 화학 문제 해결 행동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389-400 

  7. 노태희, 정영선, 김창민, 강석진(2001). 계획과 검토 단계를 강조한 문제 해결 전략과 해결자 . 청취자 활동의 교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738-744 

  8. 노태희, 정영선, 강석진, 유지연(2002), 해결자 . 청취자 활동과 몰 지도를 사용한 문제 해결 교수 방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02-109 

  9. 노태희, 한재영, 서인호, 전경문, 차정호(2000). 학생의 내 . 외향성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43-51 

  10. 전경문, 노태희(2001). 문제 해결 전략과 해결자 . 청취자 활동이 고등학생의 화학 문제 해결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289-298 

  11. Dorman, N. H. (1990). The effects of a problem -solving course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analytical skills, reasoning ability and scholastic aptitud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12. Fraser, B. J. & Fisher, D. L.(1986). Using short forms of classroom climate instruments to assess and improve classroom psychosocial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5), 387-413 

  13. Goldberg, L. R.(1999). A broad-bandwidth, public-domain, personality inventory measuring the lower-level facets of several five-factor models. In I. Mervielde, I. J. Deary, F. De Fruyt, & F. Ostendorf(Eds.), Personality Psychology in Europe (Vol. 7). Tilburg University Press: Tilburg, The Netherlands, 7-28. Available: http://ipip.ori.org. 

  14. Huffman, D.(1997). Effect of explicit problem solving instruction on high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performance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phys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6), 551-570 

  15. Jonassen, D. H. & Grabowski, B. L.(1993). Handbook of individual differences, learning, and instruc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New Jersey 

  16. Kichuk, S. L. & Wiesner, W. H.(1997). The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team performance: implications for selecting successful product design teams.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Management, 14, 195-221 

  17. Lochhead, J. & Whimbey, A(1987). Teaching analytical reasoning through thinking aloud pair provlem solving. In J. E. Stice (Ed.),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Jossey- Bass: San Francisco, 73-92 

  18. Matthews, G.(1997), Extraversion, emotion and performance: A cognitive-adaptive model. In G. Matthews (Ed.), Cognitive science perspectives on personality and emotion. Elservier Science: Amsterdam, The Netherlands, 300-442 

  19. Nattiv, A.(1994), Helping behaviors and math achievement gain of students using cooperative learning.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4(3), 285-297 

  20. Neuman, G. A, Wagner, S. H., & Christiansen, N. D.(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team personality composition and the job performance of teams. Group & Organlzation Management, 24(1), 28-45 

  21. Paiares, F. & Miller, D.(1997).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mplication of using different forms of assessment.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65(3), 213-228 

  22.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23. Webb, N. M.(1982). Group composition, group interaction and achievement in cooperative small group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4), 475-484 

  24. Woods, D. R.(1989). Problem solving in practice. In. D. L. Gabel (Ed.), What research says to the science teacher: Problem solving.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Washington, DC. 97-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