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귀밑샘의 기무라병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세포학적 검사로 예측할 수 없었던 1예 보고-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Kimura's Disease of Parotid Gland - Report of A Case Cytologically Failed to Diagnose as Kimura's Disease - 원문보기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ytopathology, v.14 no.2, 2003년, pp.86 - 90  

김세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김혜령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김성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양우익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이광길 (연세원주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홍순원 (영동세브란스병원 진단병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imura's disease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 of unknown cause and is most prevalent among Asians. The cytologic findings of Kimura's disease are significant numbers of eosinophils in a background of lymphoid cells, occasional fragments of collagenous tissue, proliferation oi vessels, and Wa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교적 동양에 흔한 질환이나 세포학적 보고는 외국 문헌에서는 5개 정도가 보고되었고, A 국내 논문에도 림프절에서 보고한 1예가 있을 뿐이다.2 세포학적으로 정확한 진단이 어렵지만 정확한 진단 없이 양성 림프 상피병 변으로만 진단되는 경우 임상의사와 환자 모두 치료 결정에 있어 어려움이 많은 점을 감안하여, 가능하면 정확한 진단에 도달할 수 있는 세포학적 소견을 알아보고자 한다. 저자들은 25세 남환의 귀밑샘 세침흡인 세포검사에서 거의 호산구가 관찰되지 않아 양성 림프상피병변으로만 기술했던 기무라병 1예를 경험하여 전형적인 기무라병의 세포학적 소견으로 보고된 논문을 비교 검토하여 수술 전 진단이 가능한 세포학적 소견이 있는지를 검토하고 보고하고자 한다.
  • 2 세포학적으로 정확한 진단이 어렵지만 정확한 진단 없이 양성 림프 상피병 변으로만 진단되는 경우 임상의사와 환자 모두 치료 결정에 있어 어려움이 많은 점을 감안하여, 가능하면 정확한 진단에 도달할 수 있는 세포학적 소견을 알아보고자 한다. 저자들은 25세 남환의 귀밑샘 세침흡인 세포검사에서 거의 호산구가 관찰되지 않아 양성 림프상피병변으로만 기술했던 기무라병 1예를 경험하여 전형적인 기무라병의 세포학적 소견으로 보고된 논문을 비교 검토하여 수술 전 진단이 가능한 세포학적 소견이 있는지를 검토하고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B&C: Eosinophils have coarse green and granular cytoplasm (Papanicolaou). D: Obvious orange-red intra- cytoplasmic granules are seen in eosinophils. (May-Grunwald- Giems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Li TJ, Chen XM, Wang SZ, Fan MW, Semba I, Kitano M. Kimura's disea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6;82:549-55 

  2. 김연미, 조혜제. 특징적인 Warthin-Finkeldey형의 다유핵 거대세포소견을 보인 기무라 림프절염의 세침흡인 생검소견 -1 예 보고- 대한세포병리학회지 1995;6:48-53 

  3. Chow LTC, Tsui WMS, Chew WH, Cytologic features of Kimura's disease in fine needle aspirates. Am J Clin Pathol 1994;102:316-21 

  4. Deshpande AH, Nayak S, Munshi MM, Bobhate SK. Kimura's disease : diagnosis by aspiration cytology. Acta Cytol 2002;46:357-63 

  5. Boccato P, Marinara GM, Rinaldo A, La Rosa F, Ferlito A. Kimura's disease of the intraparotid lymph nodes: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findings. ORL J Otorhinolaryngol Relat Spec 1999;61:227-31 

  6. Jayaram G, Peh KB.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 in Kimura's disease. Diagn Cytopathol 1995;13:295-9 

  7. Kini U, Shariff S. Cytodiagnosis of Kimura's disease. Indian J Pathol Microbiol 1998;41:473-7 

  8. Kim HT, Szeto C. Eosinophilic hyperplastic lympho-granuloma : Comparison with Mikulicz's disease. Chin Med J 1937;23:699-700. (in Chinese) 

  9. Kimura T, Yoshimura S, Ishikawa E. On the unusual granulation combined with hyperplastic changes of lymphatic tissues. Trans Soc Pathol Jpn 1948;37: 179-80 

  10. Kawada A. Kimura's disease: manifestation of the disease and its differential diagnosis. Hautarzt 1976;27:309-17 

  11. Kim BH, Sithian N, Cucolo GF. Subcutaneous angio-lymphoid hyperplasia (Kimura's disease): report of a case. Arch Surg 1975;110:1246-8 

  12. Reed RJ, Terazakis N. Subcutaneous angioblastic lymphoid hyperplasia with eosinophilia (Kimura's disease). Cancer 1972;29:489-97 

  13. Skoog L, Lowhagen T, Tani E. Lymph nodes. In : Gray W. Diagnostic Cytopathology. 1st ed. Edinburgh, UK, Churchill Livingstone, 1995;492 

  14. Ramzy I. Clinical cytopathology and aspiration biopsy. 2nd ed. New York, McGraw-HilI. 2001;392-3 

  15. Ellis GL, Auclair PL. Tumors of the Salivary Glands. 3rd series. Washington, D.C. Armed Forces Institiute of Pathology, 1996;388-99 

  16. Krausz T, Barker F. Reactive effusion. In: Gray W. Diagnostic Cytopathology. Edinburgh, UK, Churchill Livingstone, 1995; 1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