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일간의 교역품이 조선의 복식문화에 미친 영향(I) - 일본으로 부터의 수입품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the Trade Goods Between the Chosun Dynasty and Japan on the Costume Culture of the Chosun Dynasty (I) -Centered on the imported goods from Japan- 원문보기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5 no.4, 2003년, pp.331 - 336  

이자연 (신라대학교 패션디자인.산업학과) ,  박춘순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influence of Caesalpinia sappan which was imported through the exchanges between the Chosun dynasty and Japanese envoys during the early Chosun dynasty. Korea interchanged politically and culturally with Japan since ancient times. Particularly, the good-neighbor foreig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 간의 교역의 겨)기가 되었던 두 나라간의 사신의 파견과 개항에 관하여 검토한 후, 일본과의 교역품과 그 특성에 관하여 살펴본다. 또한, 수입품 중 가장 거래량이 많았던 소목을 중심으로 거래내역과 거래량에 관하여 알아보고 소목 수입량의 변화추이와 그 원인을 살펴본다. 특히, 소목이 각종 복식 용품을 염색하는 염료인 점을 고려한다면 당시의 복식문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되므로, 소목수입으로 인한 조선 사회에서의 영향에 관하여 고찰하여 봄으로써 조선사회에서의 영향에 관하여 고찰하여 봄으로써, 조선사회에서의 소목의 위상과 조 .
  • 본 연구는 조선시대 전기 조선통신사를 포함한 조선의 사절과 일본사신과의 교류 중 일본사신이 가져온 蘇木수입으로 인하여 파생된 조선사회의 영향에 관하여 연구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일 간의 교역의 겨)기가 되었던 두 나라간의 사신의 파견과 개항에 관하여 검토한 후, 일본과의 교역품과 그 특성에 관하여 살펴본다. 또한, 수입품 중 가장 거래량이 많았던 소목을 중심으로 거래내역과 거래량에 관하여 알아보고 소목 수입량의 변화추이와 그 원인을 살펴본다.
  • 이상,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 . 일 두 나라간의 교역품은 약재 및 식품류, 복식류 등 다양한 품목에 이르고 있으나, 일본으로부터의 수입품 중 소목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조(朝) . 일(日 ) 관계에서 조선통신사를 포함한 조선의 사절과 일본사신간의 정치적 문화적 교류가 빈번하였던 점에 주목하여, 조선전기에 전개되었던 두 나라 간의 교역에서의 물품 중, 일본으로부터의 수입품인 蘇木을 중심으로, 소목수입이 조선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초래하였는지 밝힘으로써 조선과 일본의 복식문화에 관한 일면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병하 (1969) '李朝前期對日貿易硏究'. 선일인쇄사, 서울, p.1, 122,125 

  2. 신우정 (2002) 조선전기 대일 후추무역에 관하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이경식 (1987) 16세기 시장의 성립과 그 기반. 한국사연구, 57, 43-92 

  4. 이정수 (1998) 15,16세기세 대일무역과 경제변동. 부산사학, 22, 37 

  5. 조경래 (2000) '천연염료와 염색'. 형설출판사, 서울, p.146 

  6. 小野晃嗣 (1941) '日本産業發達史の硏究'. 至文堂, 東京, pp.293-294 

  7. 經國大典 

  8. 高麗史 

  9. 常燮通考 

  10. 星湖僿說 

  11. 朝鮮王朝實錄 

  12. 林園經濟志 

  13. 練藜室記述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