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수병과의 과거 군 소음 노출이 소음 노출 작업자의 청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rking Noise Exposure and Military Background on the Hearing Threshold 원문보기

예방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36 no.2, 2003년, pp.137 - 146  

정호근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김규상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거 군 복무 기간 동안 청력에 영향을 미치는 사격 및 포격 등 소음에 노출된 군 경력이 현재 소음 노출 근로자에게 어떤 청각학적 영향을 미치며, 소음성 난청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중소규모 선박수리 및 건조업체 15개 사업체 440명을 대상으로 근로자의 일반 사항, 임상증상, 현재의 청력과 관련한 과거 이과적 병력, 군 복무시 충격소음의 상시적 노출 등의 군 경력, 이명 등의 자각증상에 관한 설문조사와 순음청력검사 및 중이검사를 시행하였다. 현 직종에서의 소음 노출군 중 과거 군에서 소음 노출군이 각 주파수별 청력역치와 평균 청력역치가 가장 컸으며, 특히 2-8kHz의 주파수 역치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청력손실자의 비율 및 중증도의 정도가 현 직종에서의 소음 노출군 중 과거 군에서 소음 노출군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특히 감각신경성 난청으로서 소음성 난청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많았다. 이명은 현재 소음 노출 직종에 있는 군에서 높았으며, 그중 군 소음 노출군이 46.2%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소음성 난청 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연령, 현 직종 근무기간, 군 소음 노출력, 현 직종에서의 소음 노출 여부가 유의한 독립변수로 작용하였다. 우측 귀의 경우, 소음성 난청에 대한 군 소음 노출력의 비차비는 4.5이었고, 현 직종의 소음 노출의 비차비는 7.9이었다. 군 소음 노출 및 현 작업 소음 노출 여부에 따른 각 군별 좌우측 귀의 4 kHz 청력역치와 평균 청력역치는 I군에서 좌우측 귀 모두 나이 및 근무기간이 증가할수록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며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II군, III군, IV군 순으로 청력 역치가 증가하였다. 군에서 노출되는 충격소음은 청력손실과 이명 등 청각학적 영향을 미치며 사업장에서 소음 노출에 따른 소음성 난청의 발생에도 부가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군에서의 소음 노출에 따른 청각학적 영향을 예방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소음 노출 근로자에 대한 청력 관리 측면에서도 이의 조기 진단, 치료, 보상 및 재활을 위해서는 군에서의 소음 노출 문제까지 함께 다루어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mpaired hearing is a prevalent occupational hazard, not only in industry, but also in the armed forces. In military life, noise has unusual characteristics, and constitutes a serious hazard to hear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earing threshold data in order to compare ...

주제어

참고문헌 (30)

  1. Salmivalli A. Military audilogical aspects in noise-induced hearing losses. Acta Otolaryngol Suppl 1979; 360: 96-97 

  2. Chung MR, Kim HN, Kim YM, Kim GR, Lee WS. An experimental study of cochlear damage by impulse noise. J Korean Otolaryngol Soc 1985; 28(3): 227-256 (korean) 

  3. Park KH, Yoon SW, Woo HY, Na SH, Ban YD, Chung JS. Clinico-audiological evaluation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in army pilots. J Korean Otolaryngol Soc 1984; 27(1): 20-27(korean) 

  4. Ylikoski J. Acute acoustic trauma in Finnish conscripts. Etiological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hearing impairment. Scand Audiol 1989; 18(3): 161-165 

  5. Savolainen S, Lehtomaki KM. Impulse noise and acute-acoustic trauma in Finnish conscripts. Number of shots fired and safe distances. Scand Audiol 1997; 26(2): 122-126 

  6. Temmel AF, Kierner AC, Steurer M, Riedl S, Innitzer J. Hearing loss and tinnitus in acute acoustic trauma. Wien Klin Woc-henschr 1999; 111(21): 891-893 

  7. Phillips YY, Zajtchuk JT. Blast injuries of the ear in military operations. Ann Otol Rhinol Laryngol Suppl 1989; 140: 3-4 

  8. Henselman LW, Henderson D, Shadoan J, Subramaniam M, Saunders S, Ohlin D. Effects of noise exposure, race, and years of service on hearing in U.S. Army soldiers. Ear Hear 1995; 16(4): 382-391 

  9. Ylikoski ME, Ylikoski JS. Hearing loss and handicap of professional soldiers exposed to gunfire noise.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4; 20(2): 93-100 

  10. Ylikoski J. Juntunen J, Matikainen E, Ylikoski M, Ojala M. Subclinical vestibular pathology in patients with noise-induced hearing loss from intense impulse noise. Acta Otolaryngeal(Stcokh) 1988; 105: 558-563 

  11. 계원철,이남수,정원영,곽락오. 아군 제트 조종사 급 제트 정비사의 오디오그램. 항공의학 1955; 3(4): 106-113 

  12. Oh HC, Youk SO, Park JK, Lee HY. A study on hearing loss levels and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some korean navy sailors. Ocean Underwater Med 1981; 4: 81-91 (korean) 

  13. Lee SC. Noise in the R.O.K. army. J Korean Modem Med 1965; 2(6) :589-591 (korean) 

  14. Kim H, Cho S-H, Lim HS. The effect of gunshot or cannonade training during military service on hearing threshold levels. Korean J Prev Med 1991; 24(1): 86-92 (korean) 

  15. Park SI, Kim JS, Yoon KM, Kim JH, Lee YH. A clinicostatistical study of pure tone audiometry in patients exposed to acoustic trauma. J Korean Otolaryngol Soc 1978; 21(4):23-29(korean) 

  16. Kim KS, Park MS, Kang SK. Atypical noise-induced hearing loss as a workers' impairment criteria.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2; 14(3): 334-345 (korean) 

  17. ISO. Acoustics: Determination of occu-pational noise exposure and estimate of noise-induced hearing impairment.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1999: 1990,Switzerland 

  18. Labarere J, Lemardeley P, Vincey P, Desjeux G, Pascal B. Acute.acoustic trauma in military personnel. Evaluation of 1 year epidemiologic surveillance. Presse Med 2000; 29(24): 1341-1344 

  19. Ylikoski ME. Prolonged exposure to gunfire noise among professional soldi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4; 20(2): 87-92 

  20. Paul DR, Chai SL, Thomas M. Hearing in military personnel. Ann Acad Med Singapore 1979; 8(2): 164-171 

  21. Gold S, Attias J, Cahani M, Shahar A. Hearing loss as a result of basic military training. Harefuah 1989; 116(7): 377-379 

  22. Klockhoff I, Lyttkens L, Svedberg A. Hearing damage in military service. A study on 38,294 conscripts. Scand Audiol 1986; 15(4): 217-222 

  23. Kiukaanniemi H, Lopponen H, Sorri M. Noise-induced low- and high-frequency hearing losses in Finnish conscripts. Mil Med 1992; 157(9): 480-482 

  24. Pelausa EO, Abel SM, Simard J, Dempsey I. Prevention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in the Canadian military. J Otolaryngol 1995; 24(5):271-280 

  25. Bohnker BK, Page JC, Rovig G, Betts LS, Muller JG, Sack DM. U.S. Navy and Marine Corps Hearing Conservation Program, 1995-1999: mean hearing thresh-olds for enlisted personnel by gender and age groups. Mil Med 2002; 167(2): 132-135 

  26. Chen TJ, Chiang HC, Chen SS. Effects of aircraft noise on hearing and auditory pathway function of airport employees. J Occup Med 1992; 34(6): 613-619 

  27. Owen MJ. A survey of hearing loss in Army aircrew. Occup Med 1996; 46: 53-58 

  28. Lee SJ. Hearing loss and risk factors in pilots and ground-workers of the air force. Korean J Aerospace Environ Med 1999; 9(2): 176-184 (korean) 

  29. Pekkarinen J, Iki M, Starck J, Pyykko I. Hearing loss risk from exposure to shooting impulses in workers exposed to occu-pational noise. Br J Audiol 1993; 27(3): 175-182 

  30. Kim KS, Chung HK. Characteristics and affecting factors of tinnitus in noise exposed workers. Korean J Environ Med 2002; 14(4): 436-447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