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강 하구역 어류의 종조성 변화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6 no.2, 2003년, pp.129 - 135  

곽석남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  허성희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1년 9월부터 2002년 7월 사이 낙동강 하구역에서 otter trawl을 이용하여 계절별로 어류를 채집하여 종조성 및 양적변동을 파악하고, 하구둑 건설이전 어류 조사와 비교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총 21과 30종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문절망둑과 주둥치가 최우점종이었는데, 이들 어종이 전체 채집 개체수와 성체량의 $71.2\%$$67.8\%$를 차지하였다. 그 외 양태, 꼼치 등이 우점하였다. 채집종수는 봄과 가을에, 개체수 및 생체량은 봄과 여름에 높았으나, 겨울에는 모두 낮았다. 하구둑이 완공되기 직전에 실시된 어류 조사와 비교한 결과 어류 종조성의 변화가 뚜렷하였다. 과거의 우점종인 흰베도라치, 실양태, 밴댕이 및 고등어 등은 채집량이 크게 감소한 반명, 문절망둑, 양태, 꼼치, 두줄망둑 및 농어 등은 채집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하구둑 건설 이후 강 상류로부터 내려오는 담수의 유입이 수시로 차단됨에 따라 하구역에서의 해수 유동 변동이 초래되었으며, 그 결과 하구역에 각종 부유물이 축척되는 등의 저질 환경이 변화가 일어나 어류상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in abundance of fish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were investigated using an otter trawl seasonally from September 2001 to July 2002. These data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estuary barrage in 1987. A total of 3,648 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에서 일년 동안 계절별 로 어류를 조사하여 최근 낙동강 하구역에서 서식하는 어 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파악하였고, 하구둑 건설 이전 의 어류 종조성 자료와 비교하여 하구둑 건설 이후의 어류 종조성 변화와 그 원인을 고찰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bookire, A.A., J.F. Piatt and M.D. Robards. 2000. Nearshore fish distributions in an Alaskan estuary in relation to stratification, temperature and salinity. Estuar. Coast. Shelf Sci., 51, 45-59 

  2. Allen, L.G. 1982. Seasonal abundance,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the littoral fish assemblages in upper Newport Bay, California. Fish. Bull., 80, 769-790 

  3. Bennett, B.A. 1989. The fish community of a moderately exposed beach on the southwestern Cape Coast of South Africa and an assessment of this habitat as a nursery for juvenile fish. Estuar. Coast. Shelf Sci., 28, 293-305 

  4. Cha, S.S. and K.J. Park. 1997. Seasonal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with a bottom trawl in Kwangyang Bay, Korea. Kor. J. Ichthyol., 9(2), 235-243. (in Korean) 

  5. Felley, J.D. 1987. Nekton assemblages of three tributaries to the Calcasleu Estuary, Louisiana. Estuaries 10(4), 321-329 

  6. Gibson, R.N. 1994. Impact of habitat quality and quantity on the recruitment of juvenile flatfishes. Netherlands J. Sea Res., 32, 191-206 

  7. Huh, S.H. and S.G. Chung. 1999.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Nakdong River estuary. Bull. Kor. Soc. Fish. Tech., 35(2), 178-195. (in Korean) 

  8. Huh, S.H. and S.N. Kwak. 1998.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the coastal water off Namhae Island. Kor. J. Ichthyol., 10(1), 11-23. (in Korean) 

  9. Huh, S.H. and Y.R. An. 2000.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1. Fishes collected by a small otter trawl. J. Kor. Fish. Soc., 33(4), 288-301. (in Korean) 

  10. Huh, S.H., N.U. Kim and H.G. Choo. 1998.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around Daedo Island in Kwangyang Bay. Bull. Kor. Soc. Fish. Tech., 34, 419-432. (in Korean) 

  11. Hyslop, E.J. 1988. A comparison of the composition of the juvenile fish catch from the Sodoto-Rima floodplain, Nigeria in years preceeding and immediately after upstream dam completion. J. Fish. BioI., 32, 895-899 

  12. Jang, I.K. and C.H. Kim. 1992.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molluscan and crustacean fauna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Nakdong Estuary Barrage. Bull.Kor. Fish. Soc., 25(4), 265-281. (in Korean) 

  13. Kim, I.S. and E.J. Kang. 1993. Coloured Fishes of Korea. Academy Publ. Co. Seoul, 477 pp. (in Korean) 

  14. Kim, J.G., S.J. You and J.N. Kwon. 1998. Variations of water quality after construction of Keum River Estuary Barrage. J. Kor. Fish. Soc., 31(5), 685-694. (in Korean) 

  15. Kim, Y.U. and S.Y. Hong. 1980. Fish fauna of the Nagdong River estuary. Bull. Korean Ass. Conser. Nat., 2, 137-146. (in Korean) 

  16. Lee, T.W. 1996.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J. Kor. Fish. Soc., 29(1), 71-83. (in Korean) 

  17. Lee, T.W. H.T. Moon and S.S. Choi. 1997.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II) Surf zone fish. Kor. J. Ichthyol., 9(1), 79-90. (in Korean) 

  18. Masuda, H., K. Amaoka, C. Arago, T. Ueno and T. Yoshino.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ext and Plates. (eds.) Tokai Univ. Press, Tokyo, 437pp. +370pls 

  19. Nakabo, T. 1993.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Tokyo, 1474 pp. (in Japanese) 

  20. Park, C.K., K.D. Cho, S.H. Huh, S.K. Kim and C.H. Cho. 1986. Ecological survey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Bull. Kor. Fish. Tech. Soc., 22(4), 1-20. (in Korean) 

  21.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177 pp 

  22. Yang, H.J., K.H. Kim and J.D. Kum. 2001. The fish fauna and migration of the fishes in the fish way of the Nakdong River Mouth Dam. Kor. J. Limnol., 34(3), 251-258. (in Korean) 

  23. Yoon, C.H. 2002. Fishes of Korea with Pictorial Key and Systematic List. Academy Publ. Co. Seoul, 747 pp. (in Korean) 

  24. KWRC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1993-1996. A study of environmental impacts in Nakdong River estuary 5. Fishes 

  25. Hong, S.Y., C.W. Ma and H.S. Lim. 1994. A ecological study of benthic macrofauna in Nadong River estuary, 1994. Spring Meeting of the Korean Societies on Fisheries Science. pp. 24-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