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의어 사전을 이용한 주관식 문제 채점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ubjective-type Evaluation System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 원문보기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6 no.3, 2003년, pp.207 - 216  

박희정 (안동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강원석 (안동대학교 컴퓨터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선학교에서 평가는 주로 객관식 평가를 하여왔다. 주관식 평가는 객관식보다 높은 수준의 인지 능력을 측정할 수 있으나 채점의 객관성과 신뢰성의 문제로 기피하여 왔다. 본 논문은 주관식 평가를 위해 주관식 문제 채점 모형을 제안하고 유의어 사전을 이용한 채점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주관식 문제의 다양한 유형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시스템의 사용법을 알지 못하는 교사라도 쉽게 이를 이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였다. 이 시스템을 통해 채점의 시간과 노력을 덜고 채점의 객관성을 획득할 수 있다. 시스템의 실험 결과 시스템 채점이 교사 채점의 최고와 최저 사이에 오는 경우가 73%에 달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 본 연구가 주관식 문제 채점 방법 연구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instructor in education generally takes the objective-type evaluation for grading. The subjective-type evaluation has the merit that it can estimate the high-recognition ability, but the problem of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evaluation. This paper proposes the model which grades for t...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제안한다. 주관식 문항의 종류와 특징, 채점 방법 등을 분석하기 위해 일선 학교의 주관식 문제와 채점 방법을 조사하고 연구한다. 이를 기준으로 주관식 문제 채점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시한다.
  • 그러나 한국어의 경우 필요성에 따라 많은 연구가 있지만 아직 가치가 인정된 보급화된 시소러스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유의어 사전을 정의하고 구성하여 주관식 문제 채점 시스템에 활용하고자 한다.
  • 그러나 주관식의 가장 큰 단점으로는 채점이 주관적이어서 신뢰도가 낮고 채점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모된다.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고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는 주관식 출제 및 채점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먼저 주관식 문제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본다.
  • [13]은 네트워크에서 학생 평가를 시도하였다. 이 논문은 문제 은행을 관리하면서 학생에게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은 답안을 작성하는데 메뉴 선택을 통한 객관식 평가에 대한 연구이다. [14] 또한 학생의 답안 작성이 마킹을 통한 답안 작성으로 객관식 평가를 하였다.
  • [15]는 주관식 문제를 채점하기 위한 보조 시스템으로 시작을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채점자에게 객관적인 주관식 평가를 하기 위한 자료를 제시하여 평가의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시도하였다. 그러나 평가는 채점자가 직접 평가를 한다.
  • 본 논문은 유의어 사전을 이용하여 어휘만의 비교가 아닌 의미의 비교를 할 수 있는 주관식 채점 방법을 제안하고 일반 사용자도 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하는 채점 시스템을 설겨】, 구현한다.
  • 본 논문의 시스템은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즉, 출제자가 시스템에서 정의한 주관식 문제 유형과 선택사양을 알지 못하더라도 옵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만들었다.
  • 시소러스 사전이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의어 사전을 구축한다. 유의어 사전의 성능은 시스템의 질을 좌우한다.
  • 따라서 채점의 획일성을 탈피하는데 목적을 둔다.
  •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주관식 문제 채점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본 논문의 시스템은 시스템 사용법을 모르는 초보자들에게도 편리하게 채점을 할 수 있도록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