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산 인근 토양의 중금속 오염에 따른 식물정화기술의 적용성 탐색
Feasibility of Phytoremediation for Metal-Contaminated Abandoned Mining Area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36 no.5, 2003년, pp.323 - 332  

옥용식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환경생태공학부) ,  김시현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환경생태공학부) ,  김대연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환경생태공학부) ,  이한나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환경생태공학부) ,  임수길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환경생태공학부) ,  김정규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 환경생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국적으로 산재해있는 2,000여 광산지역의 경우 중금속 오염의 정도와 범위를 고려할 때, 기존의 물리 화학적 복원기술의 적용만으로는 경제성과 실효성의 조화가 어렵다. 이에 기존의 토양 복원기술과 더불어 생물학적 복원기술로써 phytoremediation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폐아연광산 인근 토양 및 식물체내의 중금속 함량과 토양내 Cd의 존재형태별 분포를 파악하여 인근 농경지로의 잠재적 오염원이 되는 부지를 선정하고, 오염 토양에 대한 phytoremediation 적용을 위한 기초 조사를 수행하였다. 17지점에서 채취한 논 밭 및 비경작지 토양의 0.1 N-HCl 추출 Cd 함량은 $0.2-42mg\;kg^{-1}$의 분포를 보였고, Cd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경작지 토양의 중금속 함량은 Zn $533-2320mg\;kg^{-1}$, Pb $560-3584mg\;kg^{-1}$, Cu $104-1277mg\;kg^{-1}$, Cd $11-42mg\;kg^{-1}$의 범위로 나타났다. pH를 1에서 3까지 조절하며 수행한 중금속 용출시험 결과 pH 변화에 따른 중금속 용출의 정도는 매우 컸다. 대부분의 토양은 유기물 및 질소함량이 극히 낮고, 평균 토성은 사양토로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광산토양의 평균 이화학성 범위 내에 있어 Cd, Zn 및 Pb의 생물학적 복원부지로서의 적합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정화식물종으로 선별한 식물은 아연광산에 서식하는 대표적 초본류인 쑥이며, 체내 중금속 함량은 지상부 $43mg\;kg^{-1}$, 지하부 $52mg\;kg^{-1}$의 Cd 함량을 보였다. 채취한 식물체 주변 근권 토양 (rhizosphere soil)과 경계면 토양 (soil-root interface soil)은 각각 15.68, $14.09mg\;kg^{-1}$의 Cd 함량을 나타내었다. 토양에 대한 연쇄추출 결과 $H_2O$(water soluble), NaOH (organically bound), $KNO_3$ (exchangeable), EDTA (oxide/carbonate), $HNO_3$ (sulfide/residual)의 순으로 Cd 추출효율이 증가하였으며, 토양내 치환태 Cd는 평균 $2.4mg\;kg^{-1}$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오염부지에 대한 식물 식재시 퇴비의 투여량은 지하부 표면적 및 뿌리부피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오염 토양내 식피조성시 식물체의 활착율을 증대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information for the present status of soil pollution near abandoned old-zinc mining area through analysis of bound form and 0.1 N-HCl extractabl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soils and plants. Feasibility of endemic plants for phytoremediation was evalu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학광산 주변에 위치한 토양의 중금속 함량과 중금속 존재 형태별 분포조사를 통해 농경지로의 중금속 확산과 잠재적 오염원이 되는 부지를 파악하였다. 또한 폐광산 지역 내 서식하는 식물종의 체내중금속 함량, 건물생산량, 생육기간 등을 고려하여 토양정화식물로의 가치가 있는 종을 선별, 장기간 카드뮴으로 오염된 토양의 복원을 위한 enhanced phytoremediation 기술 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 고농도 오염지역에 대한 초본류 투입시 활착율과 중금속 흡수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토양개량제 및 보조제를 선별하고자 하였다.
  • 파악하였다. 또한 폐광산 지역 내 서식하는 식물종의 체내중금속 함량, 건물생산량, 생육기간 등을 고려하여 토양정화식물로의 가치가 있는 종을 선별, 장기간 카드뮴으로 오염된 토양의 복원을 위한 enhanced phytoremediation 기술 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 고농도 오염지역에 대한 초본류 투입시 활착율과 중금속 흡수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토양개량제 및 보조제를 선별하고자 하였다.
  • 이에 기존의 토양 복원기술과 더불어 생물학적 복 원기 술로써 phytoremediation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폐아연광산 인근 토양 및 식물체내의 중금속 함량과 토양내 Cd의 존재형태별 분포를 파악하여 인근 농경지로의 잠재적 오염원이 되는 부지를 선정하고, 오염 토양에 대한 phytoremediation 적 용을 위한 기초 조사를 수행하였다. 17지점에서 채취한 논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ker, A. J. M., and P. L. Walker. 1990. Ecophysiology of metal uptake by tolerant plants, p. 155-157. In A. J. Shaw (ed.) Heavy metal tolerance in plants: evolutionary aspects. CRC Press Inc., Boca Raton, Florida, USA 

  2. Chang, A. C., A. L. Page, J. E. Wameke, and E. Grgurevic. 1984. Sequential extraction of soil heavy metals following a sludge application. J. Environ. Qual. 13:33-38 

  3. Cunningham, S. D., and W. R. Berti. 1997. Phytoextracdon or phytostabilization: technical, economic, and regulatory considerations of the soil-lead issue, In N. Terry (ed.) Proceedings of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geochemistry of trace elements, Berkeley, California, USA 

  4. Cunningham, S. D., T. A. Anderson, A. P. Schwab, and F. Hsu. 1996. Phytoremediation of soils contaminated with organic compounds. Adv. Agron. 56:55-114 

  5. Cunningham, S. D., W. R. Berti, and J. W. Huang, 1995. Phyto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s. Trends Biotechnol. 13:393-397 

  6. Emmerich, W. E., L. J. Lund, A. L. Page, and A. C. Chang. 1982. Solid phase forms of heavy metals in sewage sludge-treated soils. J. Environ. Qual. 11:178-181 

  7. Gobran, G. R. 2001. Trace elements in the rhizosphere. CRC Press, New York, USA 

  8. Gobran, G. R., and S. A. Clegg. 1996. Conceptual model for nutrient availability in the mineral soil-root system. Can. J. Soil Sci. 76:125-131 

  9. Gwangmyeong city. 1994. Counterplan for soil pollution prevention (summary). Gwangmyeong City, Korea 

  10. Jung, G. B., W. I. Kim, K. L. Park, and S. G. Yun. 2001. Vertical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paddy soil near abandoned metal mines. Korean J. Environ. Agric. 20:297-302 

  11. Jung, K. C., B. J. Kim, and S. G. Han. 1993. Survey on heavy metals in native plant near old zinc-mining sites. J. Korean Soc. Soil Sci. Fert. 12:105-111 

  12. Kim, J. G. 1994. Natural sink-systems for pollutants treatment. Natural Resource Environ. Res. 2:29-48 

  13. Kim, J. G., S. K. Lim, S. H. Lee, C. H. Lee, and C. H. Jeong. 1999. Evaluation of heavy metal pollution and plant survey around inactive and abandoned mining areas for phytoremedi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s. Korean J. Environ. Agric. 18:28-34 

  14. Lee, S. E. 2000. Putative mechanism of cadmium tolerance in rice cultivar (Oryza sativa). MS dissertation.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5. MOE. 1991. Standard methods of water analysis.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Korea 

  16. NIAST. 2000. Methods of soil and plant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17. Ok, Y.S. 2003. Empirical and mechanistic approach to adsorption and bioavailability of cadmium is soils and Plants : Implications in phytoremediation. Ph. 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Korea 

  18. Park, J. K., K. S. Lee, and S. K. Lee. 1995. Agricultural soil resources and fertility maintenance. p. 69-98. In Proceedings of Agricultural Science Symposiu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19. Park, Y. H. 1994. Management practices of inactive and abandoned metalliferous mine areas in Korea. Korean Environment Technology & Research. KETRI/1994/RE-14, Seoul, Korea 

  20. Raskin, I., and B. D. Ensley. 2000. Phytoremediation of toxic metals. John Wiley Sons, Inc., New York, USA 

  21. Ure, A. M., and C. M. Davidson. 1996. Chemical speciation in the environment. Blackie Academic and Professional, London, UK 

  22. Yoo, S. H., K. J. Ro, S. M. Lee, M. E. Park, and K. H. Kim. 1996. Characterization of heavy metals in the stream sediment around an old zinc mine. J. Korean Soc. Soil Sci. Fert. 29:432-4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