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간호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유방암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분류연계 Linkages of nursing Diagnosis, Nursing Intervention and Nursing Outcome Classification of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Nursing Database원문보기
Purpose: This is the descriptive research project of which purpose is to acquire the practice, research, and educational data by establishing the database after confirming, classifying, and relating the nursing diagnosis, nursing intervention, and nursing outcome of Breast cancer patients by using t...
Purpose: This is the descriptive research project of which purpose is to acquire the practice, research, and educational data by establishing the database after confirming, classifying, and relating the nursing diagnosis, nursing intervention, and nursing outcome of Breast cancer patients by using the Yoo Hyung-sook's(2001) related 3N database model as the tool. Method : The Nursing Data occurring on Breast cancer patients nursing process was mapped to nursing diagnosis of NANDA, nursing interventions of NIC, nursing outcomes of NOC the 3N database linkage database which is related with the nursing process that was developed by using Yoo Hyung-sook's(2001). Result : 1. The nursing diagnosis were totally 505, and 26 articles of the nursing diagnosis were applied among 149 nursing diagnosis classification systems. 2. As for the nursing intervention, 250 articles(5l.4%) of nursing intervention were applied among 486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systems. 3. Regarding the nursing outcome, 28 articles(1l.2%l of the nursing outcome were applied among 250 nursing outcome classification system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 which the relating among the nursing diagnosis, nursing intervention, and nursing outcome of Breast cancer patients by using 3N nursing database was established is thought to be applied in the research and practice as well as to be utilized in the lecture or practice of the nursing process.
Purpose: This is the descriptive research project of which purpose is to acquire the practice, research, and educational data by establishing the database after confirming, classifying, and relating the nursing diagnosis, nursing intervention, and nursing outcome of Breast cancer patients by using the Yoo Hyung-sook's(2001) related 3N database model as the tool. Method : The Nursing Data occurring on Breast cancer patients nursing process was mapped to nursing diagnosis of NANDA, nursing interventions of NIC, nursing outcomes of NOC the 3N database linkage database which is related with the nursing process that was developed by using Yoo Hyung-sook's(2001). Result : 1. The nursing diagnosis were totally 505, and 26 articles of the nursing diagnosis were applied among 149 nursing diagnosis classification systems. 2. As for the nursing intervention, 250 articles(5l.4%) of nursing intervention were applied among 486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systems. 3. Regarding the nursing outcome, 28 articles(1l.2%l of the nursing outcome were applied among 250 nursing outcome classification system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 which the relating among the nursing diagnosis, nursing intervention, and nursing outcome of Breast cancer patients by using 3N nursing database was established is thought to be applied in the research and practice as well as to be utilized in the lecture or practice of the nursing proces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본 연구자는 유방암환자의 간호과정을 전산화하기 위해 유방암환자 간호과정 자료를 분석하여 구축된 간호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로 분류 연계하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연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간호과정 전산프로그램인 Yoo(2001)의 3N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유방암 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확인, 분류, 연계하여 유방암 환자의 간호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실무와 연구 및 교육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유방암환자의 간호기록을 대상으로 Yoo(2001)이구축한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의 연계 3N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유방암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간호 결과를 확인, 분류,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유방암환자의 간호기록을 대상으로 Yoo(20田)가구축한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의 연계 3N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유방암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및 간호 결과를 확인, 분류,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1차 분석은 환자의 History(간호력), “Nursing Record I (간호 기록지)”, 환자간호계획지(Kardex), 투약기록의 내용이 나타난 모든 간호기록을 보면서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자료를 간호과정 기록지에 기록하였다. 간호진단은 환자기록에 나타난 대로 관련요인과 중상징후를 보면서 NANDA에서 제시한 간호진단명 코드를 사용하여 분류하였다' 간호중재는 간호 중재 명과 NIC에서 제시한 중재명 코드로 연계하였다 (McCloskey & Bulcheck, 2000).
간호진단은 환자기록에 나타난 대로 관련요인과 중상징후를 보면서 NANDA에서 제시한 간호진단명 코드를 사용하여 분류하였다' 간호중재는 간호 중재 명과 NIC에서 제시한 중재명 코드로 연계하였다 (McCloskey & Bulcheck, 2000). 간호결과는 Kardex에 기록된 내용과 환자간호기록에 나타난 모든 중상징후를 간호 결과 명으로 하여 NOC에서 제시한 결과명 코드로 연계하였다
2차 분석은 1차 분석에서 확인, 분류한 자료를 3N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여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및 간호결과를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그리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적용된 간호 진단과 간흐진단에 따른 간호중재,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에 따라 제시된 간호결과목록은 실수,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가 이루어진 대상병동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일개 대학 부속 병원으로 전산화된 간호정보 전달체계 없이 모든 환자기록들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팀간호. 전달체계로 되어 있다.
1.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01년 8월부터 溯년 7월까지 입원한 유방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재원일 수는 717일로 평균 재원일 수는 23.9일이었다.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연령은 40~49세 15명(50%)으로 제일 많았고 평균 연령은 46.
유방암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확인, 분류하기 위해서 Yoo(狈1)이 구축한 3N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3N 데이터베이스는 간호진단, 관련요인, 증상징후, 간호 중재, 간호중재활동, 간호결과로 구성된 간호모델 만들기 6 단계의 화면을 보여준다.
데이터처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으로 하였다. 그리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적용된 간호 진단과 간흐진단에 따른 간호중재,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에 따라 제시된 간호결과목록은 실수,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이론/모형
유방암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를 확인, 분류하기 위해 간호과정 기록지인 Kardex를 사용하였다. 血dex에는 환자이름, 성별, 나이, 의학진단명, 등록번호 등 환자의 인적사항, 간호진단, 증상징후, 간호진단명, 관련요인, 간호중재, 간호 결과, 간호진단을 내린 간호사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환자간호 계획표(Kardex)에 계획된 환자관련내용에 따라 실제로 확인된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내용을 기록 분석하기 위해 Yoo(2001)이 고안한 간호기록 분석지를 사용하였으며 그 외 검사나 혈액채취 등 모든 상황을 기록하였다. 간호기록 분석지는 환자이름, 날짜, 등록번호, 출처, 간호진단명, 관련 요인, 증상징후, 간호중재명, 간호중재활동, 간호결과를 분석 기록하도록 고안하였다.
성능/효과
2. 유방암환자의 간호진단
간호데이터 베 이 스를 이용하여 나타난 유방암환자의 간호기록 및 간호계획지에서 확인된 간호진단은 총 505개였는데 149 개의 간호진단분류체계의 항목으로 분류해보면 26개 항목 (17.4%)의 간호진단이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인간 반응양상에 따른 간호진단군별 간호진단은 교환군의 간호진단이 15항목으로 爲개 전체항목 증 57.
항목이 확인되었다. 간호진단별 간호중재를 빈도순으로 살펴보면 감염위험성(Risk for Infection)(21.8%)이 24 항목 (9.6%)으로 가장 많았고 창상간호 88개(5.3%), 활력증상 감시 65개(3.9%), 감시 44개(2.6%), 창상간호: 폐쇄배액 32개(1.9%) 등의 간호중재가 수행되었다. 통증(Pain)(17.
4. 유방암환자의 간호결과
간호진단별 간호결과는 각 간호진단마다 1~6개 항목의 간호 결과가 확인되었으며 통증(Pain), 감염위험성(Risk forInfection)의 간호진단은. 가장 많은 간호결과가 나타났다.
통증 (Pain) 은 3).4 %, 6항목으로 통증조절, 통증수준, 증상조절, 안위수준 안녕, 증상의 중증도 순으로 나타났고 감염 위험성(Risk for Infection)은 19.1%, 6항목으로 상처치유: 일차 유합, 면역상태, 활력징후 상태, 증상의 중증도, 체온조절, 안위 수준 순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3N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유방암환자의 간호 진단은 26개 항목으로 교환군의 간호진단이 57.7%로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감정군 15.4%, 기동군 7.7%의 결과로써 Yoo (2001), Jung과 Lee(2001), Lee(2000)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간호 진단과 유사한 결과를 볼 수 있다. Yoo(2001)의 복부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한 통증 간호진단은 감염위험성, 수면장애, 영양부족, 고체온, 비효율적 호흡양상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Jung과 丄!6(2001)의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 진단에서도 통증, 변비, 영양부족, 감염위험성, 지식부족의 순이었으며 Lee(ZX)O)의 영양과 배설기능장애와 관련된 간호 진단에서는 통증, 변비, 설사, 감염 위험성, 배뇨장애, 영양부족, 체액부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감염 위험성에 따른 간호중재에서는 창상 간호, 상처간호, 수액/전해질 관리, 감염통제, 절개부위 간호, 창상간호: 폐쇄배액, 감시, 활력증상 감시와 같은 생리적 복합영역이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Yoo(2001)의 복부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한 간호중재에서 감염 위험성에 따른 간호 중재로 창상간호, 활력증상 감시, 감시, 투약: 정맥내, 감염에 대한 보호, 정맥절개술: 정맥혈 표본, 감염통제, 수액/전해질 관리, 절개부위 간호 등의 생리적 복합영역의 간호 중재가 가장 많이 나타내고 있는 것과 유사하였다.
유방암환자에게 서 나타난 간호결과군별 간호결과로 건강 행위 군이 24.2%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안위 상태군, 조직통합성군, 체력유지군, 면역반응군, 대사조절군, 기동군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Yoo(2001)의 영역별 간호 결과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생리적 건강영역의 간호결과와 유사한 결과로 타당한 결과라고 하겠다. 그 다음으로는 지각된 건강영역, 건강지식/행위영역, 기능적 건강영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결과군별로는 안위군의 간호결과가 가장 많았으며 건강 행위군, 수액전해질군, 대사조절군 등의 순으로 유방암 환자의 간호결과군별 간호결과와 유사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駅 데이터베이스는 간호 진단에 연계되어 증상징후와 관련요인, 간호중재, 간호중재활동, 간호결과를 제시해 줄 수 있기 때문에 병동환자 간호모델 화면을 구성할 때 간호진단을 통해 간호과정을 축약시켜 간호 과정을 기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즐 수 있으며 다양한 간호과정의 효과성을 측정할 수 있어 다양한 측면으로의 정보 활용이 가능하며 데이터베이스 자료분석 기능과 다양한 쿼리기흘으로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와 관련된 간호기록체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제시되는 간호 진단의 관련요인, 증상징후, 간호중재활동 등의 자료가 축적되어짐에 따라 그 타당성을 확인할 수가 있으며 실제 임상에서 구체화되어 수행되는 중재활동으로 중요한 데이터로서의 의미를 지니므로 모든 임상자료들을 수행한 그대로 의미를 가지고 보관 가능하다.
2. 간호진단은 총 505개였는데 149개의 간혼진단 분류체계 중 26개 항목의 간호진단이 적용되었으며 교환영역의 간호 진단이 15항목으로 가장 많았으며 감정영역 4항목, 기동영역과 인지영역 2항목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3. 간호중재는 486개의 간호중재분류체계 중 250항목 (51.4%)의 간호중재가 확인되었고 생리적 복합영역이 가장 많았으며 생리적 기본영역, 행동영역, 안전영역, 건강체계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간호중재군별로는 위험관리 군별 간호중재가 18.
4. 간호결과는 간호결과분류체계 须개 중 28항목(11.2%) 의 간호결과가 확인되었으며 건강행위군이 24.2%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안위상태군, 조직 통합성군. 체력유지군, 면역반응군, 대사조절군, 기동군, 배설군, 자기통제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3N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유방암 환자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자료를 입력하여 실제 임상자료의 데이터 베 이스를 축적 하였으므로 유방암환자 간호 과정에도 활용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데이터베이스는 성인간호학의 간호 과정에 대한 교육자료로서도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의 다양한 쿼리기능으로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 결과와 관련된 연구 및 간호활동, 간호업무량의 분석 등에 관한 연구 시 분석도구로서도 활용할 수 있다N
통증(Pain)(17.2%)은 既항목 (10.0%)으로 감시, 정서지지, 진통제 투여 활력증상 감시, 통증 관리, 투약: 구강, 환자자가 진통제 투여보조 등의 순으로 중재가 연계되었으며 오심(Nausea)(10.9%)은 15항목(6.0%)으로 수액/전해질 관리, 오심관리, 감시, 정서지지 영양섭취 모니터링 등의 순으로 간호중재가 확인되었다,
4%)의 간호진단이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인간 반응양상에 따른 간호진단군별 간호진단은 교환군의 간호진단이 15항목으로 爲개 전체항목 증 57.7%를 차지하였으며 감정군이 4항목(15.4%), 기동군이 2항목(7.7%), 인지군이 2항목(7.7%), 의사소통 군과 선택군, 지식군이 각각 1항목(3.8%)으로 나타났고 가치 군의 간호진단은 확인되지 않았다<Table 2>.
오심(Nausea)은 10.5%, 5항목으로 증상조절, 안위수준, 영양 상태: 음식 및 수분섭취, 증상의 중증도, 영양상태 순으로 나타났고 수면장애 (Sleep Pattern Disturbance)는 9.3%, 4항목 (5.3%)으로 수면, 안위수준, 증상조절, 통증조절 순으로 나타났고 운동장애 (Impaired Physical Mobility)는 7.6%, 3항목(3.9%) 으로 관절운동: 능동적, 증상의 중증도, 안위수준의 순으로 확인되었다<Table 4>.
후속연구
1. 3N 데이터베이스도구를 사용하여 유방암환자 외 다른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진단명별 또는 수술명별로 핵심이 되는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결과 분류체계에 대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2. 간호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간호결과에 대한 지표를 추가하여 환자의 상태가 좋아지는지에 대한 상태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면 한 단계 높은 간호과정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