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환자 대상 국내 간호중재 연구 분석
Analysis of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o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in Korea 원문보기

종양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11 no.1, 2011년, pp.74 - 82  

최경숙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미숙 (강동성심병원 중환자실) ,  이인자 (건국대학교병원 간호부) ,  한상영 (강원관광대학 간호과) ,  박정애 (중앙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이주현 (중앙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ystematically review the recently published nursing intervention studies. Methods: The literature was identified through the 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the Korean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두 연구 모두 중재 연구 수의 부족으로 인하여 체계적인 통합과 분석이 수행되지 못하였으며, 효과적인 중재 방법에 대한 안내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증가되고 있는 유방암 환자 대상 간호중재 연구들을 선별하여 연구의 특성 및 중재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간호중재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2010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유방암환자 대상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연구 경향과 중재 효과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정보과학회, 대한간호협회, 한국간호과학회 등의 자료 검색 시스템을 이용하여 간호중재 논문 32편을 선정하였으며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유방암환자 대상 간호중재프로그램 연구 32편을 연구 및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각 중재 프로그램을 분류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려고 시도하였다. 유방암 환자의 발생은 최근 생활양식의 변화, 출산율의 감소, 모유수유기간의 감소 등을 감안한다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여겨지며,2) 따라서 유방암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실무 및 중재의 중요성 또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본 연구는 국내 간호연구 문헌 중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간호중재를 제공하고 효과를 측정한 연구논문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한 문헌 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환자 대상 간호중재 논문이 증가한 시기인 최근 10년간 수행된 간호중재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여 유방암 생존자에 대한 적절하고 효율적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한다.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은 주로 언제 호발하는가? 우리나라에서 유방암은 여성에서 발생하는 암으로는 발생률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2008년 한해 총 12,584명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 외국에서 유방암은 주로 50대 이후에 호발하는 반면, 국내에서는 젊은 연령층인 40대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40세 이하인 경우도 전체 유방암 환자의 약 20%정도를 차지한다.2) 최근 유방암 진단 검사법의 발달로 인한 조기진단중재 및 다양한 수술, 화학치료 요법의 발달은 유방암 환자들의 생존율을 향상시켰으며,2) 따라서 이들 유방암 생존자들이 유방암 치료 후의 변화에 적응하고 이후의 남아 있는 삶을 건강하게 잘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와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National Cancer Statistics 2008. Available at: http://www.cancer.go.kr [accessed on 15 December 2010]. 

  2.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Policy Committee. Breast Cancer Facts & Figures 2006-2008. Seoul:Korean Breast Cancer Society;2008. 

  3. Oh PJ. An integrative review of oncology nursing research in Korea: 1998-2003. J Korean Oncol Nurs 2003;3:112-21. 

  4. Park YM, Lee HY.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trend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in Korea. J East West Nurs Res 2004;9:91-103. 

  5. Park JH, Jun EY, Kang MY, Joung YS, Kim GS.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J Korean Acad Nurs 2009; 39:613-21. 

  6. Kim KH. Evidence-based nursing. Korean Nurse 2003;42:54-63. 

  7. Rim HS.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nursing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dissertation]. Seoul:Korea Univ.;2007. 

  8. Jun J. Analysis of researches on the warming therapy for surgical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2010;22:260-70. 

  9. Song, Y. Analyses of studies on cardiac rehabilitation for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 J Korean Acad Nurs 2009;39:311-20. 

  10. Song HH. Meta analysis. 2nd ed. Seoul:Cheong Moon Gak Publishers; 1998. 

  11. McNeely ML, Campbell KL, Rowe BH, Klassen TP, Mackey JR, Courneya KS. Effects of exercise on breast cancer patients and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MAJ 2006;175:34-41. 

  12. Rehse B, Pukrop R.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quality of life in adult cancer patients: meta analysis of 37 published controlled outcome studies. Patient Educ Couns 2003;50:179-86. 

  13. Collins RF, Bekker HL, Dodwell DJ. Follow-up care of patients treated for breast cancer: a structured review. Cancer Treat Rev 2004;30:19-35. 

  14. Altman DG, Schulz KF, Moher D, Egger M, Davidoff F, Elbourne D, et al. The revised CONSORT statement for reporting randomized trial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Ann Intern Med 2001;134:663-94. 

  15. McTiernan A, Ulrich C, Kumai C, Bean D, Schwartz R, Mahloch J, et al. Anthropometric and hormone effects of an eight-week exercise-diet in-terven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results of a pilot study.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998;7:477-81. 

  16. Lee CM, Kim SM, Na SY, Lee NH.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for breast cancer survivors in health related fitness, leptin and insulin. Exerc Sci 2008;18:225-38. 

  17. Osborn RL, Demoncada AC, Feuerstein M.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meta-analyses. Int J Psychiatry Med 2006;36:13-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