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에 있어서 보건영향평가의 방법, 절차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ods, Procedures, and Practices of Health Impact Assessment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12 no.3, 2003년, pp.211 - 228  

조일형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  박재홍 (고려대학교 부설 환경기술정책연구소) ,  김임순 (아태환경.경영연구원) ,  한상욱 (아태환경.경영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programs around the world require the consideration of human health impacts. Yet relatively few EIA documents adequately address those impacts. This article examines how, why, and to what extent health impacts are analyzed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병원에서 심장혈관 및 호흡 계통 질병에 대한 진료 및 치료의 자료의 공간적인 분포는 공항주변에 살고 있는 인구의 건강 상태에 관한 공항과 관련될지 모르는 오염 가능성의 지표를 얻기 위해 연구되었다. 심장혈관 질병(심근경색, 고혈압, 혈관 수축에 의한 국소 빈혈 심장질병, 뇌혈관과 관련된 질병), 호흡기 계통 질병(기도감염, 기관지염, 천식, 폐기종, 진성 당뇨병(diabetes mellitus))으로 연구되었다.
  • 조사는 Schiphol 공항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 479명과 임의로 네덜란드 인구집단 중 대조군으로 936명을 뽑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인구에 대해 그들의 보건과 안전에 관해 우려감 혹은 불쾌감을 가지고 있는지 질문을 하였다. 이 조사 대상 그룹은 공항 주변에 사는 거주자로 판단되는 66명의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다.
  • 또한 관련된 모든 부문들로부터 관심을 EIA에 선행하여 철저히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환경영향평가 내에서 보건의 위험 인자에 대한 확인, 예측·평가, 방법 및 절차에 관한 사항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함은 물론 여러 가지 환경-보건 적 영향의 범주를 파악하고, 이용 가능한 모델이 소개되었다. 특히 위험 평가 항목은 보건 영향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대상 인구집단에 대한 노출 평가 역시 절대 필요한 항목 중에 하나이다.
  • 이 논문은 환경영향평가 내에서 보건영향평가 방법과 절차에 대한 이론적인 것과 실제적용사례를 예시하였다. 보건영향평가의 영역은 주변 환경 상황과, 이용 가능한 지식 그리고 자료, 관련된 집단에 대한 영향에 따라 좌우된다.
  • 이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에 있어서 보건영향을 확인 및 예측·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방법과 절차에 대한 이론적인 사항들과 최근의 사례로서 암스텔담 Schiphol 공항으로 인한 소음 및 냄새노출에 대한 적용사례를 고찰함으로써 보건영향평가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미 실행된 정책, 프로그램, 다른 개발과 무계획적인 개발이나 사건이 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 신규 혹은 개정된 정책이나 개발이 전개되는 동안 실시된다. 정책 실행의 결과로 예상되는 보건 및 복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 이러한 영향들을 예방 및 저감할 수 있는 교정행위(Corrective action)를 확인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실행이 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이는 보건에 대한 영향이 예측되거나 영향의 특성이나 규모가 불확실한 경우에 주로 이용되며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실행을 감시하고 즉각적인 교정행위를 위하여 그 결과를 시스템에 환류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가설 설정

  • 그림 3은 제안이 인구 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 제안은 인구 보건에 좋은 영향이나 악영향을 가질 수 있는 중간요인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중간요인은 실직 정도, 심리적·사회적 혼란(스트레스, 사회적 고립 혹은 범죄에 대한 불안), 심리적·화학적 영향(공해, 소음), 쾌적성 상실 등이 있을 수 있다(Doll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영향평가란 무엇인가? 환경영향평가는 인간활동으로 인한 환경상의 잠재적인 영향을 확인, 예측, 평가하는 과정이다. EIA의 초창기에는 단지 생물/물리적인 영향들(수질 및 대기오염, 소음수준 등)만 고려되었으나 점차 사회경제적 및 보건학적 면들과 함께 고려되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UNEP, 2002).
보건영향평가의 목적은 무엇인가? 보건영향평가는 정책, 계획, 프로그램 혹은 프로젝트의 보건에 대한 긍정적·부정적인 결과들을 고려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며 절차, 방법, 정책, 계획, 프로그램, 프로젝트가 공중보건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과 인구 내의 보건 영향의 분포에 대해 판단할 수 있는 도구들의 조합이다(WHO, 1999a). 또한 보건영향평가는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틀을 제공하고 제안된 정책이나 개발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대안들을 고려하기 위한 다학제적이고 참여적인 과정이다.
환경영향평가의 고려대상은 무엇인가? 환경영향평가는 인간활동으로 인한 환경상의 잠재적인 영향을 확인, 예측, 평가하는 과정이다. EIA의 초창기에는 단지 생물/물리적인 영향들(수질 및 대기오염, 소음수준 등)만 고려되었으나 점차 사회경제적 및 보건학적 면들과 함께 고려되는 방향으로 발전되고 있다(UNEP, 2002). NEPA하의 미국의 제도에서는 인간 환경의 질에 대하여 잠재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apct Assessment, EIA)의 전단계인 환경성평가(Environmental Assessment, EA) 과정을 두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임순 외. 2003. 최신환경영향평가. 도서출판 동화기술 

  2. 한상욱. 2001. 환경영향평가를 둘러싼 논의의 초점과 과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1세기 환경영향평가의 진로와 과제' Workshop 자료집 

  3.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1998, ATSDR's Public Health Assessment Guidance Manual 

  4. Asian Development Bank, 1992,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5. Bernardinelli, L., Montomoli, C, 1992, Empirical Bayes versus fully Bayesian analysis of geographical variation in disease risk. Stat Med, 11(10), 983-1007 

  6. Birley, M., 1999, Procedures and Methods for Health Impact Assessment, Health Impact assessment 11-44 

  7. BMA Board of Science and Education, 1998, Health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London: Earthscan 

  8. Breeze, C, and Kemm, J.R., 2000, The health potential of the Objective 1 Programme for West Wales and the Valleys: A preliminary health impact assessment 

  9. British Medical Association, 1998, Health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 integrated approach, Appendix 6. Coverage of impacts on human health in UK 

  10. CGS. Jaarverslag, Commissie Geluidhinder Schiphol, 1992 

  11. Clayton, D., and Kaldor, j,. 1987, Empirical Bayes estimates of age-standardized relative risks for use in disease mapping, Biometrics, 43(10),671-681 

  12. Davies, K., 1991, Health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Canada, Can j Public Health, 82(1),19-21 

  13. Doll, R, Peto, R, Wheatley, K,. Gray, R,. Sutherland, I., 1994, Mortality in relation to smoking: 40 years observations on male British doctors. British Medical journal 309, 901-911 

  14. Ellis, A. M., Franssen, Brigit A M., Staatsen, Erik Lebret, 2002, Assessing health consequences in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case of Amsterdam Airport Schiphol,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22, 633-653 

  15. Ewan, c, Young, A, Bryant, E., Calvert, D., 1994, Framework for Environmental and Health Impact Assessment, Canberra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16. Eyles, JD., 1990, Health, environmental assessments and population health: tools for a complex process. Can, J Public Health, 90(Suppl. 1) 

  17. Fan, A, Howd, R, Davis, B., 1995, Risk assessment of environmental chemicals. Annual Review of Pharmacology and Toxicology, 35, 341-368 

  18. Fehr, R., 1999, Environmental health impact assessment: evaluation of a ten-step model, 10(5), 618-625 

  19. Grontmij, 1993, Het belang van de gezondheid in milieu-effectrapportage, De Bilt 

  20. Kemm, J.R., 2000, Leading Article, Can Health Impact Assessment fulfil the expections it raises?, 114, 431-433 

  21. Knipschild, PV., 1997, Medical effects of aircraft noise: community cardiovascular survey,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40, 185-190 

  22. Landstings, F., Svenska, K., 1998, Focusing on Health, Stockholm: Landstings Forbundet (www.lf.se/hkb) 

  23. Last J, M. A, 1988, dictionary of epidemi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4. Miedema, H., 1992, Response Functions for Environmental Odour in Residential Areas, Leiden: NIPG 

  25. Milner, S. J., 1999, The Health Impact Assesment of Non-Health Public Policy, Health Impact assessment. 39-53 

  26. Passchier, W., Knottnerus A. Albering H, Walda I., 2000, Public health impact of large airports, Rev Environ Health, 15, 83-96 

  27. Pastides, H., Corvalan, C, 1998, Methods for health impact assessment in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ealth,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EHG/98.4 

  28. Scott-Samuel A, Birley M, Ardern K, 1998, The Merseyside Guidelines for Health Impact Assessment, Liverpool: Merseyside Health Impact Assessment Steering Group 

  29. Steinemann, A., 2000, Rethinking human health impact assessm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view, 20, 627-645 

  30. Sutcliffe, J, 1995,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 healthy outcome? Project Appraisal 10(2), 113-124 

  31. Turnbull, RGH., 1992, Environmental and Health Impact Assessment of Development Projects: A handbook for practitioners, Barking Elsevier Applied Science 

  32. United Kingdom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Department of Health (UK), 1996, The United Kingdom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action plan, Cm 3323. London : HMSO 

  33. WHO, 1995, Special number on the health and environment analysis for decision-making project (HEADLAMP) of UNEP, USEPA and World Health,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Statistics Quarterly, 48(2) 

  34. WHO, 1999a Across to information, public participation and access to justice in environment and health matters EUR/ICP/EHCO 

  35. WHO, 1999b, Health Impact Assessment: main concepts and suggested approach. Gothenburg consensus paper, Brussels: WHO European Centre for Health Policy, http://www.who.dk/hs/echp/ attach/gothenburg.doc 

  36. WHO, 1999c, Health 21 health for all in the 21st century, The health for all policy framework for the WHO European Region, European Health for All Series No. 6. Copenhagen: World Health Organization 

  37. WHO, 2001, Health Impact Assessment as part o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CH. Breeze and K.Loc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