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TS 염기서열에 의한 미치광이풀속의 계통
Phylogeny of Scopolia Jacq. s. str. based on ITS sequences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33 no.4, 2003년, pp.373 - 386  

김영동 (한림대학교 생명과학부) ,  백진협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  김성희 (한림대학교 생명과학부) ,  홍석표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copolia s. str.(미치광이풀속) 및 그 근연속인 Anisodus, Atropanthe 등을 대표하는 8 분류군으로부터 얻은 14개체를 대상으로 핵 ribosome DNA의 ITS 염기서열 결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반도 고유종인 S. parviflora(미치광이풀)은 ITS 전체 길이와 염기서열 변이에 있어서 근연종인 S. japonica와 매우 큰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두 종을 동일시했던 대부분의 분류학적 견해와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S. parviflora는 유럽에 격리분포하는 종인 S. carniolica와 더 가까운 계통유연관계를 나타냈다. S. japonica가 S. parviflora 및 S. carniolica와 높은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매우 높은 형태적 유사성을 보이는 것은 이들이 오랜 격리기간에도 불구하고 유사한 생육환경에 처함으로 인해 형태진화가 지연되었거나 비슷한 형질을 갖는 방향으로 진화가 일어났을 것이라는 형태정체(morphological stasis) 개념으로 이해되었다. 다른 한반도 고유종인 S. lutescens(노랑미치광이풀)은 S. parviflora와 ITS 염기서열이 거의 동일하였고 계통수 상에서도 두 종에 속하는 개체들이 전혀 구분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연개체군 내에서 이들 두 종을 구분하는 주요 식별형질들의 유용성도 결여되어 S. lutescens는 S. parviflora의 품종 혹은 단순한 개체 변이로 이해되었다. 한편, Scopolia속으로 최초 기재되었다가 화분의 형질에 의해 Anisodus속으로 이전되었던 A. carniolicoides는 A. luridus 및 A. tanguticus와 단계통군을 형성하였으며 Anisodus는 단형속인 Atropanthe와 자매군 관계를 형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were determined for 14 individuals representing eight taxa from Scopolia s. str. and related genera, Anisodus and Atropanthe. We found that the ITS sequences of Korean endemic species, S. parviflora,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

주제어

참고문헌 (28)

  1. D'Arcy. W. G. 1991. The Solanaceae since 1976, with a review of its biogeography. In Solanaceae III: Taxonomy, Chemistry, Evolution. Hawkes, J. G., R. N. Lester, M. Nee and N. Estrada. (eds.), Royal Botanic Gardens, Kew, Pp, 75-137 

  2. __. and Z.-Y. Zhang. 1992. Notes on the Solanaceae of China and neighboring areas. Novon 2: 124-128 

  3. Doyle, J. J. and J. L. Doyle. 1987. A rapid DNA isolation procedure for small quantities of fresh leaf tissue. Phytoch. Bull. 19: 11-15 

  4. Felsenstein, J. 1985.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bootstrap. Evolution 39: 783-791 

  5. Hasegawa, M., H. Kishino and T. - A. Yano. 1985. Dating of the human-ape splitting by a molecular clock of mitochondrial DNA. J. Mol. Evol. 22: 160-174 

  6. Hoare, A. L. and S. Knapp. 1997. A phylogenetic conspectus of the tribe Hyocyameae (Solanaceae). Bull. Nat. Hist. Mus. London. (Bot.) 27: 11-29 

  7. Hong, S.-P. and J. - H. Paik. 2001. Leaf epidermal microstructure of the genus Scopolia Jacq. s. l. (Solanaceae-Hyoscymeae) and its systematic significance. Kor. J. Plant Tax. 31: 267-282 (in Korean) 

  8. Kim, K. - J. and R. K. Jansen. 1994. Comparison of phylogenetic hypotheses among different data sets in dwarf dandelions (Krigia): Additional information from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nuclear ribosomal DNA. Pl. Syst. Evol. 190: 157-185 

  9. Kim, Y.-D. and S.-H. Kim. 1999. Phylogeny of Weigela and Dierville (Caprifoliaceae) based on nuclear rDNA ITS sequences: Biogeographic and taxonomic implications. J. Plant Res. 112: 331-341 

  10. Kimura, M. 1980. A simple method for estimating evolutionary rate of the base substitution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nucleotide sequences. J. Mol. Evol. 16: 111-120 

  11. Lee, W. C.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ubl. Co., Seoul 

  12. Lee, Y. N. and Y. J. Oh. 1971. A cytological study on the genus Scopolia in South East Asia. J. Korean Res. lnst. Better Living 4: 63-68 (in Korean) 

  13. __. 1993. New taxa on Korean Flora (5). Kor. J. Plant Tax. 23: 263 - 268 (in Korean) 

  14. Loockerman, D. J. and R. K. Jansen. 1996. The use of herbarium material for DNA studies. In Sampling the green world. Stussey, T. F. and S. Sohmer (ed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205-220 

  15. Lu, A.- M. 1986. Solanaceae in China. In Solanaceae: Biology and Systematics. D'Arcy, W. G. (ed.),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79-85 

  16. __. and Zhang, Z.-Y. 1986. Studies of the subtribe Hyoscyaminae in China. In Solanaceae: Biology and Systematics. D'Arcy, W. G. (ed.),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Pp, 56-78 

  17. Olmstead, R. G. and J. D. Palmer. 1992. A chloroplast DNA phylogeny of the Solanaceae: Subfamilial relationships and character evolution. Ann. Missouri Bot. Gard. 79: 346-360 

  18. __. and J. A. Sweere. 1994. Combining data in phylogenetic systematics: an empirical approach using three molecular data sets in the Solanaceae. Syst, Biol. 43: 467-481 

  19. Paik, J. - H. 2002. Systematic studies of the genus Scopolia Jacq, s. lat. (Solanaceae). M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20. Pascher, A. 1909. Zwei neue Arten der Gattung Anisodus. Feddes Repert. 7: 226 (in German) 

  21. Qiu, Y.-L., M. W. Chase and C. R. Parks. 1995. A chloroplast DNA phylogenetic study of the eastern Asia-eastern North America disjunct section Rytidospermum of Magnolia (Magnoliaceae). Amer. J. Bot. 82: 1582-1588 

  22. Suh, Y., L. B. Thien, H. E. Reeve and E. A. Zimmer. 1993. Molecular evolution and phylogenetic implications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s of ribosomal DNA in Winteraceae. Amer. J. Bot. 80: 1042-1055 

  23. Swofford, D. L. 2002. $PAUP^{\ast}$ ,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 $^{\ast}and$ Other Methods), ver. 4.0b,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ssachusetts 

  24. Thompson, J. D., D. G. Higgins and T. J. Gibson. 1995.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eic Acids Res. 22: 4673-4680 

  25. Weinert, E. 1972. Zur Taxonomie und Chorologie der Gattung Scopolia Jacq. Feddes Repert. 82: 617 - 628 (in German) 

  26. White, T. J., T. Birns, S. Lee and J. Taylor.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Innis, M., D. Gelfand, J. Sninsky and T. White (eds.), Academic Press, San Diego. Pp, 315-322 

  27. Yamazaki, T. 1993. Solanaceae. In Flora of Japan, Vol. IIIa.. Iwatsuki, K., T. Yamazaki, D. E. Boufford and H. Ohba (eds.), Kodansha Ltd., Tokyo, Pp. 183-194 

  28. Zhang, Z.- Y. and A. - M. Lu. 2000. Systematics of the tribe Hyoscyarneae (Solanaceae). In Abstract: Fifth international Solanaceae conference, Botanical Garden of Nijmegen. P. 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