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항우울제가 다량 개발되어 임상에 도입되면서 항우울제의 약리 작용에 대한 이해도 넓어졌다. 그에 따라 얻어진 새로운 정보와 이론을 소아청소년기 우울증 치료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소아청소년기 최신지견에 따라 합리적인 우울증 치료 지침 마련을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주요 사항들과 새로운 항우울제의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자문헌 데이터베이스 검색 도구를 사용하여'new', 'antidepressant', 'children'의 검색어로 얻어진 97개 고찰 문헌 가운데 특히 치료 지침과 새로운 항우울제의 정신약리작용에 관한 것을 선별하여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새로운 항우울제 각 약물에 대한 치료 효과에 대한 문헌을 추가로 선택 참고하였다. 또 약물상호 작용과 안전성에 관하여 미국 식품보건국과 보건후생부의 공식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문헌을 참고하였다. 1) 우울 장애의 임상 경과, 치료 기간, 및 치료 효과는 성인기 치료 지침에서 제시된 바를 채택한 경우가 많았다. 2) 소아청소년기 우울증에 대한 항우울제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는 TCA가 효과와 부작용에서 SSRI보다 뒤져서 소아청소년 우울장애의 일차 치료제로 권장 된다. 3) 새로운 항우울제는 아직 소아청소년에게 치료 경험과 임상 연구 결과가 부족하다. 4) SSRI와 새로운 항우울제들은 두 개 이상을 병용할 때 약동학적 및 약력학적인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다. 5) 소아청소년기 항우울제의 임상적 효과가 성인기와 다른 것은 발달적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겠으나 직접적인 증거가 좀더 쌓일 필요가 있다. 소아청소년기 우울증의 약물 치료 지침은 임상 연구 소견과 임상적 경험을 종합하여 세울 수 있다. 그러나 약물 치료 지침은 임상가가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참고 자료이며 그 목적을 다하기 위하여 새로운 연구 결과가 있을 때 마다 새로 개정 되어야 할 것이다. 중 외톨이-왕따에 해당되는 청소년의 어머니는 비외톨이 청소년의 어머니보다 자녀들의 사고 문제 및 우울/불안 등의 정서적 문제를 더 높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자녀들에 대한 양육 태도에 대해서는 차이를 두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강압적인 양육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아동에 대한 역기능적 사고 및 양육 효능감을 다루어야 할 뿐 아니라, 부모의 우울감을 치료 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순차처리항목과 계산능력에서 유의하게 높았고(p<.05), KEDI-WISC를 이용한 평가에서는 ADHD- HI형은 대상수가 소수여서 비교할 수 없었으며, ADHD-C형과 ADHD-Ⅰ형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CPT, WCST, SST를 이용한 신경심리학적 실행기능의 비교에서 아형간 계량적인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 론:결론적으로 ADHD 세 아형은 임상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지만, 실행기능상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향후 보다 잘 고안 된 연구와 발달중인 아동에 적절한 신경심리 평가 도구의 개발을 통해 결과를 보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었으나, 주의력에서는 전두엽의 실행능력(executive function)과 관련되는 검사들에서 산소흡입이 특이한 효과를 보여준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기억능력에서는 단기기억능력 평가에서 산소흡입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새로운 항우울제가 다량 개발되어 임상에 도입되면서 항우울제의 약리 작용에 대한 이해도 넓어졌다. 그에 따라 얻어진 새로운 정보와 이론을 소아청소년기 우울증 치료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소아청소년기 최신지견에 따라 합리적인 우울증 치료 지침 마련을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주요 사항들과 새로운 항우울제의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자문헌 데이터베이스 검색 도구를 사용하여'new', 'antidepressant', 'children'의 검색어로 얻어진 97개 고찰 문헌 가운데 특히 치료 지침과 새로운 항우울제의 정신약리작용에 관한 것을 선별하여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새로운 항우울제 각 약물에 대한 치료 효과에 대한 문헌을 추가로 선택 참고하였다. 또 약물상호 작용과 안전성에 관하여 미국 식품보건국과 보건후생부의 공식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문헌을 참고하였다. 1) 우울 장애의 임상 경과, 치료 기간, 및 치료 효과는 성인기 치료 지침에서 제시된 바를 채택한 경우가 많았다. 2) 소아청소년기 우울증에 대한 항우울제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는 TCA가 효과와 부작용에서 SSRI보다 뒤져서 소아청소년 우울장애의 일차 치료제로 권장 된다. 3) 새로운 항우울제는 아직 소아청소년에게 치료 경험과 임상 연구 결과가 부족하다. 4) SSRI와 새로운 항우울제들은 두 개 이상을 병용할 때 약동학적 및 약력학적인 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다. 5) 소아청소년기 항우울제의 임상적 효과가 성인기와 다른 것은 발달적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겠으나 직접적인 증거가 좀더 쌓일 필요가 있다. 소아청소년기 우울증의 약물 치료 지침은 임상 연구 소견과 임상적 경험을 종합하여 세울 수 있다. 그러나 약물 치료 지침은 임상가가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참고 자료이며 그 목적을 다하기 위하여 새로운 연구 결과가 있을 때 마다 새로 개정 되어야 할 것이다. 중 외톨이-왕따에 해당되는 청소년의 어머니는 비외톨이 청소년의 어머니보다 자녀들의 사고 문제 및 우울/불안 등의 정서적 문제를 더 높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자녀들에 대한 양육 태도에 대해서는 차이를 두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강압적인 양육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아동에 대한 역기능적 사고 및 양육 효능감을 다루어야 할 뿐 아니라, 부모의 우울감을 치료 시 고려해야 할 것이다.순차처리항목과 계산능력에서 유의하게 높았고(p<.05), KEDI-WISC를 이용한 평가에서는 ADHD- HI형은 대상수가 소수여서 비교할 수 없었으며, ADHD-C형과 ADHD-Ⅰ형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CPT, WCST, SST를 이용한 신경심리학적 실행기능의 비교에서 아형간 계량적인 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 론:결론적으로 ADHD 세 아형은 임상적으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지만, 실행기능상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향후 보다 잘 고안 된 연구와 발달중인 아동에 적절한 신경심리 평가 도구의 개발을 통해 결과를 보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었으나, 주의력에서는 전두엽의 실행능력(executive function)과 관련되는 검사들에서 산소흡입이 특이한 효과를 보여준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기억능력에서는 단기기억능력 평가에서 산소흡입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
Objectives:As increasing number of new antidepressants have been being introduced in clinical practice, pharmacological understanding has been broadened. These changes mandate new information and theorie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treatment process of children with depressive disorders. In light o...
Objectives:As increasing number of new antidepressants have been being introduced in clinical practice, pharmacological understanding has been broadened. These changes mandate new information and theorie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treatment process of children with depressive disorders. In light of newly coming knowledge, this review intended to recapitulate the characteristics of new antidepressants and to consider the pivotal issues to develope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Methods:Searching the Pub-Med online database for the articles with the key words of 'new', 'antidepressants' and 'children' ninety-seven headings of review articles were obtained. The author selected the articles of pertinent subjects in terms of either treatment guideline or psychopharmacology of new antidepressants. When required, articles about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individual antidepressants were separatedly searched. In addition, the safety information of new antidepressants was acquired by browsing the official sites of the United States Food and Drugs Administration and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Results:1) For the clinical course, treatment phase, and treatment outcome, the reviews or treatment guidelines adopted the information from adult treatment guidelines. 2) Systematic and critical reviews unambiguously concluded that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SSRIs) excelled tricyclic antidepressants( TCAs) for both efficacy and side effect profiles, and were recommend for the first-line choice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depressive disorders. 3) New antidepressants generally lacked treatment experiences and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4) SSRIs and other new antidepressants, when used together, might result in pharmacokinetic and/or pharmacodynamic drug-to-drug interaction. 5) The difference of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antidepressant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should be addressed from developmental aspects, which required further evidence. Conclusion:Treatment guidelines for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depression could b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clinical trial findings and practical experiences. Treatment guidelines are to best serve as the frame of reference for a clinician to make reasonable decisions for a particular therapeutic situation. In order to fulfill this role, guidelines should be updated as soon as new research data become available.
Objectives:As increasing number of new antidepressants have been being introduced in clinical practice, pharmacological understanding has been broadened. These changes mandate new information and theorie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treatment process of children with depressive disorders. In light of newly coming knowledge, this review intended to recapitulate the characteristics of new antidepressants and to consider the pivotal issues to develope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Methods:Searching the Pub-Med online database for the articles with the key words of 'new', 'antidepressants' and 'children' ninety-seven headings of review articles were obtained. The author selected the articles of pertinent subjects in terms of either treatment guideline or psychopharmacology of new antidepressants. When required, articles about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individual antidepressants were separatedly searched. In addition, the safety information of new antidepressants was acquired by browsing the official sites of the United States Food and Drugs Administration and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Results:1) For the clinical course, treatment phase, and treatment outcome, the reviews or treatment guidelines adopted the information from adult treatment guidelines. 2) Systematic and critical reviews unambiguously concluded that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SSRIs) excelled tricyclic antidepressants( TCAs) for both efficacy and side effect profiles, and were recommend for the first-line choice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depressive disorders. 3) New antidepressants generally lacked treatment experiences and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4) SSRIs and other new antidepressants, when used together, might result in pharmacokinetic and/or pharmacodynamic drug-to-drug interaction. 5) The difference of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antidepressants between children and adults should be addressed from developmental aspects, which required further evidence. Conclusion:Treatment guidelines for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depression could b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clinical trial findings and practical experiences. Treatment guidelines are to best serve as the frame of reference for a clinician to make reasonable decisions for a particular therapeutic situation. In order to fulfill this role, guidelines should be updated as soon as new research data become availabl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