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동안 50개 이상의 손다 2형 로켓을 발사하였다. 1963년 개발에 착수했던 손다3형의로켓에 이어 1974년에 설계를 시작한 손다 4형 로켓의 목적은 인공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큰 로켓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로켓의 3축 제어 장치 등 각종 중요 부품의 개발과 우주관측 및 실험에 있다. 이 로켓의 기본 성능은 2단계 로켓으로서 500kg의 탑재물을 650km까지 올릴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로켓을 개발하였다. 람다 로켓의 목표는 1,000km 까지 상승하여 밴 앨런 방사능대를 관측하는 것이었다.
개발. 발사하여한반도 상공의 이온층의 환경, 천체 X-선, 오존층 분포 등을 측정하는 것이다. 1997년 7월 9일 수행된 1차 비행시험에서 1단 점화, 1/2단 분리, 2단 점화 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륙 후 20.
2단계 시스템이다. 이 로켓은 각종 과학실험 및 대기권의 관측, 그리고 인공위성 발사체에 필요한 각종 기술을 실험하기 위한 로켓이다. RH-560 로켓은 100kg의 탑재물을 350km까지 올릴 수 있는 성능으로 발사할 때의 총무게 1.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우주기술 선진국 및 우리나라의 현대 로켓 개발 과정을 조명함으로써 우주발사체 기술동향을 살펴봄과 아울러 우리나라가 우주발사체 개발 및 자력발사를 통한 국가 위상 정립과 국제 발사 서비스 시장 진출을 위한 계획을 점검하기로 한다.
중형과학로켓의 개발 목표는 150kg 정도의 과학탑재물을 탑재하고 150km 이상의 고도까지 도달할 수 있는 중형과학로켓을 개발. 발사하여한반도 상공의 이온층의 환경, 천체 X-선, 오존층 분포 등을 측정하는 것이다.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