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귀나무 뿌리껍질의 식물화학적 성분연구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the Root Bark from Albizzia julibrissin Durazz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35 no.3 = no.138, 2004년, pp.194 - 198  

고재종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  우은란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  문영희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of an ethyl acetate extract of the root bark of Albizzia julibrissin Durazz afforded four compounds, euscaphic acid ester glucoside (1), luteolin-7 -O-neohesperidoside (2), (+)-medioresinol (3), (-)-syringaresinol (4).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chemical and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성분 연구가 미흡한 자귀나무의 뿌리껍질 에 대한 성분연구의 일환으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으로부터 반복적인 컬럼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여 이 식물로부 터는 보고되지 않은 4종의 화합물을 새로이 분리하여 구조를 규명하고 세포독성을 측정하였기에 이에 결과를 보고하 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이창복(1982) 대한식물도감, 463. 향문사, 서울 

  2. 육창수(1989) 原色韓國藥用植物圖鑑, 282. 아카데미서적, 서울 

  3. 李時珍(1975) 本草綱目, 1552-1552. 高文사, 서울 

  4. 江蘇新醫學院 (1985) 中藥大辭典, 1379. 小學館, 동경 

  5. Deda, M., Okazaki, M., Deda, K, and Yamamura, S. (2000) A leaf-closing substance of Albizzia julibrissin Durazz. Tetrahedron 56: 8101-8105 

  6. Kang, T. H., Jeong, S. J., Kim, N. Y, Higuchi, R, and Kim, Y. C. (2000) Sedative activity of two flavonol glycosides isolated from the flowers of Albizzia julibrissin Durazz. J. Ethnopharmacol. 71: 321-323 

  7. Chen, S. P, Zhang, R. Y, Ma, L. B., and Tu, G. Z. (1997) Structure detennination of three saponins from the stem bark of Albizzia julibrissin Durazz. Acta Pharm. Sin. 32: 110-115 

  8. Chen, S. P and Zhang, R. Y. (1997) Studies on the triterpene sapogenins from Albizziae Cortex. Acta Pharm. Sin. 32: 144147 

  9. Kinjo, J., Araki, K, Fukui, K, Higuchi, H., Ikeda, T, Nohara, T, Ida, Y, Takemoto, N., Miyakoshi, M., and Shoji, J. (1992) Six new triterpenoidal glycosides including two new sapogenols from Albizziae Cortex V. Chem. Pharm. Bull. 40: 3269-3273 

  10. Higuchi, H., Kinjo, J., and Nohara, T (1992) An anhythmicinducing glycoside from Albizzia jullibrissin Durazz. IV. Chem. Pharm. Bull. 40: 829-831 

  11. Woo, W. S. and Kang, S. S. (1984) Isolation of a new monoterpene conjugated triterpenoid from the stem bark of Albizzia julibrissin. J. Nat. Prod. 47: 547-549 

  12. 김영희(1999) 자귀나무 꼬투리로부터 Acylated Sterylgl-ycoside의 분리. 한국생약학회지 30: 290-294 

  13. McWlahon, J., Vistica, D. T, Warren, J., Bokesch, H., Kenney, S., and Boyd, M. R. (1990) New colorimetric cytotoxicity assay for anticancer drug screening. J. Natl. Cancer Inst. 82: 1107-1112 

  14. Monks, A, Scudiero, D. A, Skehan, P., Shoemaker, R. H., Paul, K., Vistica, D. T., Hose, C., Langley, J., Cronise, P., Vaigro-Woiff, A., Gray-Goodrich, M., Campbell, H., Mayo, J., and Boyd, M. R. (1991) Feasibility of a high-flux anticancer drug screen using a diverse panel of cultured human tumor cell lines. J. Natl. Cancer Inst. 83: 757-766 

  15. Daddrell, D. M., Khong P. W, and Lewis, K. G. (1974) The stereochemical dependence of ${13}^C$ chemical shifts in olean12-enes and urs-12-enes analysis to structural assignments.Tetrahedron 15: 2381-2384 

  16. Lontsi, D., Sondengam, B. L., Martin, M. T, and Bodo, B. (1992) Musangicic acid, a triterpenoid constituent of Musanga cecropioides. Phytochemistry 31: 4285-4288 

  17. Seto, T., Tanaka, T., Tanaka, O., and Naruhashi, N. (1984) $\beta-Glucosyl esters of $19\alpha-hydroxyursolinic$ acid derivatives in leaves of Rubus species. Phytochemistry 23: 2829-2834 

  18. Markham, K. R. (1982) Techniques of Flavonoid Identification, 72-93. Academic press, England 

  19. Markham, K. R., Temai, B., and Mabry, T. J. (1978) Carbon13 NMR studies of flavonoids-III; Naturally occurring flavonoid glycosides and their acylated derivatives. Tetrahedron 34: 1389-1397 

  20. Markham, K. R. and Porter, L. J. (1974) Luteolin 3',4'-di-OP $\beta$ D-glucuronide and luteolin 3'-O- $\beta$ -D-glucuronide from Lunularia cruciata. Phytochemistry 13: 1553-1555 

  21. Markham, K. R. and Brian, P. J. (1985) Uniformity and distinctness of Phyllocladus as evidenced by flavonoid accumulation. Phytochemistry 24: 2067-2096 

  22. Abe, F. and Yamauchi, T. (1988) $9\alpha$ -hydroxypinoresinol, $9\alphahydroxypinoresinol$ and related lignans from Allamanda neriifolia. Phytochemistry 27: 575-577 

  23. 김대근, 은재순, 임종필, 이강노, 지옥표(1999) 쉬땅나무지상부의 lignan. 대한약학회지 43: 285-288 

  24. Kwon, H. C., Choi, S. D., Lee, J. O., Bae, K. W., Zee, O. P., and Lee, K. R. (1999) Two new lignans from Lindera obtusiloba Blume. Arch. Pharm. Res. 22: 417-422 

  25. Wu, Y-C., Chang, G.-Y, Ko, F. N., and Teng, C. M. (1995) Bioactive constituents from the stems of Annona montana. Planta Med. 61: 146-14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