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귀나무(A. julibrissin) 수피 추출물의 생리활성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rk Extract of Albizia julibrissi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8 no.1, 2011년, pp.79 - 86  

이양숙 (대구한의대학교 한약자원학과) ,  김광곤 (남이제약) ,  김남우 (대구한의대학교 한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자귀나무 수피를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식품이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귀나무 수피를 물을 용매로 $80^{\circ}C$$110^{\circ}C$의 고온에서 추출된 물 추출물(AW)과 열수 추출물(AHW) 그리고 70% 에탄올을 용매로 $60^{\circ}C$에서 추출된 에탄올 추출물(AE)에 대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과 효과를 측정하였다. 자귀나무 수피의 열수 추출물인 AHW에서 가장 많은 8.57 mg/g의 플라보노이드와 108.67mg/g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1.0 mg/mL의 농도에서 10.46~16.73%였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에서 49.86~60.82%로 AHW에서 가장 높은 소거효과를 보였으며 $IC_{50}$$770.18\;{\mu}g$/mL였다.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에서는 0.3 mg/mL의 농도에서 AHW가 92.30%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였으나, $IC_{50}$은 AW($31.31\;{\mu}g$/mL)와 AHW($36.22\;{\mu}g$/mL)가 ascorbic acid ($39.10\;{\mu}g$/mL)보다 낮은 농도에서 50%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XO에 대한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AHW가 94.05%의 저해율와 127.78 ug/mL의 $IC_{50}$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합환피 한약재명으로 사용되고 자귀나무 수피는 물을 용매로 $110^{\circ}C$에서 추출된 열수 추출물(AHW)이 세가지 추출물 중 가장 많은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며, 생리활성 효과에서도 우수하며 특히 전자공여능은 낮은 농도에서도 ascorbic acid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자귀나무 수피는 천연 생리활성 물질로서 식품과 기능성 제품에 활용 가능성이 있는 약용식물자원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bark extracts of Albizia julibrissin were prepared using water (AW), 70% (v/v) ethanol (AE), and hot water (AHW). Organic solvent fractions were analyzed for total flavonoids and polyphenols,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xanthine oxidase. Total flavonoid and poly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미 효능이 검증된 유용 약용식물 자원으로부터 특정 성분을 추출하여 천연 식품보존제 등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합환피라는 약재명으로 이용 및 유통되고 있는 자귀나무 수피를 이용하여 생리활성을 지닌 기능성 식품, 식품첨가제 및 의약품의 개발과 상품화가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약리학적인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자귀나무 수피의 생리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추출방법이나 용매를 설정하고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SOD 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 작용 및 xanthin oxid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자귀나무 수피를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식품이나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귀나무 수피를 물을 용매로 80℃와 110℃의 고온에서 추출된 물 추출물(AW)과 열수 추출물(AHW) 그리고 70% 에탄올을 용매로 60℃에서 추출된 에탄올 추출물(AE)에 대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과 효과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합성 항산화제로는 무엇이 있는가? 이에 대한 방어기전으로 산화억제물질을 생성하여 대부분 소멸되나 환경오염, 스트레스, 불규칙적인 식습관, 약물, 유전적 요인 등에 의해 항산화 방어계와의 균형이 깨어지면 free radical과 활성산소와 같은 산화물질이 세포막 파괴, DNA 변성, 세포노화 등을 초래하며, 이들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암을 비롯한 뇌질환, 동맥경화, 관절염, 자가면역질환 등 각종 생리적 장애와 노화와 관련된 여러 질환의 원인이 된다(1,2). 이러한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butylated hydroxy anisole (BHA)과 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PG (Propyl gallate) 등의 합성 항산화제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으나 과량 섭취 시 간비대, 체내 흡수 물질의 독성화 및 발암 가능성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합성 항산화제의 사용량이 법적으로 엄격하게 규제되고 있다(3). 최근에는 민간이나 한방에서 식이가 가능하고 효능이 검증된 약용식물자원 유래의 생리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물질에 대해 선진각국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는 의약, 농업, 정밀 화학 등 여러 분야에서 실용화되고 있다(4).
자귀나무 꽃을 한방에서는 뭐라고 하는가? 작은 잎이 밤에 서로 포개진다고 하여 야합(夜合) 또는 합혼(合昏) 이라고도 하며, 6-7월경에 연한 분홍색꽃이 개화하며, 잎은 호생으로 깃꼴모양으로 나며, 9-10월에 10-15 cm 정도의 편평한 꼬투리에 5-6개의 성숙된 종자가 들어있다(5). 자귀나무의 어린 잎과 꽃은 향기가 좋아 일반채소처럼 요리하여 식용하며, 잎은 말려서 차의 대용품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꽃과 줄기는 한방에서 합환화(合歡花)와 합환피(合歡皮)라 하여 한방 생약재로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독이 없으며, 성질이 평(平) 하고, 단맛을 지니고 있어 간의 기가 뭉쳐있는 것을 풀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혈액이 잘 소통되게 하고 통증을 없애고, 살충, 구충작용 및 종기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등의 효능이 있다고 하여 불면증이나 심신불안, 신경쇠약, 타박상, 근골절상 및 피부질환 치료 및 예방에 응용된다(6,7).
자귀나무의 개화 시기는? 자귀나무(Albizzia julibrissin Durazz)는 콩과(Leguminosae) 의 낙엽소교목으로 전국 각지에 자생한다. 작은 잎이 밤에 서로 포개진다고 하여 야합(夜合) 또는 합혼(合昏) 이라고도 하며, 6-7월경에 연한 분홍색꽃이 개화하며, 잎은 호생으로 깃꼴모양으로 나며, 9-10월에 10-15 cm 정도의 편평한 꼬투리에 5-6개의 성숙된 종자가 들어있다(5). 자귀나무의 어린 잎과 꽃은 향기가 좋아 일반채소처럼 요리하여 식용하며, 잎은 말려서 차의 대용품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꽃과 줄기는 한방에서 합환화(合歡花)와 합환피(合歡皮)라 하여 한방 생약재로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Freeman BA, Grapo JD (1982) Biology of disease; free radicals and tissue injury. Lab Invest, 47, 412-426 

  2. Bauer G (2000)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Efficient, selective and interactive signals during intercellular induction of apoptosis. Anticancer Res, 20, 4115-4139 

  3.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5 

  4. Kinsella JE, Frankel E, German B, Kanner J (1993) Possible mechanism for the protective role of antioxidants in wine and plant foods. Food Technol, 47, 85-89 

  5. Lee TB (1993) Illustrated flora of Korea. 5th ed, Hyangmoonsa, Seoul, Korea, p 580 

  6. Kim TJ (1996) Korean resources plants Part II.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194-195 

  7. Zhu YP (1998) Chinese materia medica chemistry,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Harwood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p 519-520 

  8. Kaneta M, Hikichi H, Endo S, Sugiyama N (1980) Identification of flavones in sixteen Leguminosae species. Agric Biol Chem, 44, 1407-1411 

  9. Chamsuksai P, Choi JS, Woo WS (1981) 3',4',7-trihydroxyflavone in Albizzia julibrissin. Arch Pharm Res, 4, 129-133 

  10. Ikeda T, Fujiwara S, Araki K, Kimjo J, Nohara T, Ida Y, Shoji J, Singu T, Isobe R, Kajimoto T (1992) Three new triterpenoidal saponins acetylated with monoterpenic acid from Albizzia Cortex. Bull Chem Soc Japan, 68, 3483-3490 

  11. Chen SP, Zhang RY (1997) Studies on the triterpene sapogenine from Albizzia Cortex. Acta Pharmaceutica Sinica, 32, 144-147 

  12. Jang KG, Oh HC, Ko EK, Kang KH, Park SE (2002) Free radical scavengers from the leaves of Albizzia julibrissin. Kor J Pharmacogn, 33, 18-20 

  13. Kang TH, Jeong SJ, Kim NY, Higuchi R, Kim YC (2000) Sedative activity of two flavonol glycosides isolated from the flowers of Albizzia julibrissin Durazz. J Ethnopharmacology, 71, 321-323 

  14. Woo WS, Kang SS (1984). Isolation of a new monoterpene conjugated triterpenoid from the stem bark of Albizzia julibrissin. J Nat Prod, 47, 547-549 

  15. Choi BD, Ryeom K (1999) Cytotoxicity of the components of Albizzia julibrissin. J Appl Pharmacol, 7, 371-376 

  16. Hwang SG, Kim CJ, Kim YI, Ju SM, Kim WS, Jeon BH (2001) Effect of the water extract of Albizzia julibrissin on apoptotic cell death in the human leukemic Jurket T cell line. Yakhak Hoeji, 45, 730-738 

  17. Hwang SG, Lee HC, Kim DG, Woo GA, Jeon BH (2002) Effect of the water extract of Albizzia julibrissin on cell cycle progression in the human leukemic Jurket cells. Kor J Pharmacogn, 33, 29-34 

  18. Nieva-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ogy, 71, 109-114 

  19. AOAC (200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Vol 45, p 21-22 

  20. Marklund S, Marklund G (1975)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21.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3. Stirpe F, Corte ED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61 

  24. Lee JH, Lee, SR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on Korea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25. Ivor ED (2000) Antioxidant polyphenols in tea, cociam and wine. Nutrition, 16, 682-694 

  26. Hertog MGL, Hollman PCH, Katan MB (1992) Content of potentially anticarinogenic flavonoids of 28 vegetables and 9 fruits commonly consumed in the Netherlands. J Agric Food Chem, 40, 2379-2383 

  27.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8. Chung MS, Um HJ, Kim CK, Kim GH (2007) Development of functional tea product using Cirsium japonicum. Korean J Food Culture, 22, 261-265 

  29. Joo EY, Lee YS, Kim NW (2007) Polyphenol compound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in various extracts of the Vitex rotundifolia ste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13-818 

  30. Sa JH, Jin YS, Shin IC, Shim TH, Wang MH (2004) Photoprotective effect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Morus bombycis Koidzumi. Kor J Pharmacogn, 35, 207-214 

  31. Donnelly JK, McLellan KM, Walker JK, Robinson DS (1989) Superoxide dismutase in foods. A Review. Food Chem, 33, 243-270 

  32. Walker JL, McLellan KM, Robinson DS (1989) Heat stability of superoxide dismutase in cabbage. Food Chem, 23, 245-256 

  33. Nice DJ, Robinson DS, Jolden MA (1995) Characterization of a heat-stable antioxidant co-purified with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from dried peas. Food Chem, 52, 393-397 

  34. Lim JD, Yu CY, Kim MJ, Yun SJ, Lee SJ, Kim NY, Chung IM (2004) Comparison of SOD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various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191-202 

  35. Lee YS, Koo EY, Kim NW (2006) Polypheno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Lespedeza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3, 616-622 

  36. Tannenbaum SR, Sinskey AJ, Weisman M (1974) Nitrite in human saliva; Its possible relation to nitrosamine formation. J Nat Cancer Inst, 53, 79-84 

  37. Leaf CD, Vecchio AJ, Roe DA, Hotchkiss JH (1987) Influence of ascorbic acid dose on N-nitrosoproline formation in humans. Carcinogenesis, 8, 791-795 

  38. Cooney RV, Ross PD (1987) N-nitrosation and N-nitration of morphpline by nitrogen dioxide in aqueous solution: Effect of vanillin and related phenols. J Agric Food Chem, 35, 789-793 

  39. Ko MS (2008) Chemical components in stalks and leaves of Sasa borealis Makino and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5, 125-132 

  40. Song JW, Min KJ, Cha CG (2008) Antioxidative and antitumor activity of extracts from Saussurea lappa. J Env Health Sci, 34, 55-61 

  41. Nam SH, Kang MY (2000). Screening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41-147 

  42. Kang MH, Choi CS, Kim ZS, Chung HK, Min KS, Park CG, Park HW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prepared from leaves, seed, branch and aerial par of Crotalaria sessiflor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98-1102 

  43. Storch I, Ferber E (1988) Detergent-amplified chemiluminescence of lucigenin for determination of superoxide amino production by NADPH oxidase and xanthine oxidase. Anal Biochem, 169, 262-267 

  44. Hayashi T, Sawa K, Morita M (1988) Inhibition of Cow's milk xanthine oxidase by flavonoids. J Nat Prod, 51, 345-348 

  45. Hatano T, Yasuhara T, Yoshihara R, Okuda T (1991) Inhibitory effects of galloylated flavonoids on xanthine oxidase. Planta Medica, 57, 83-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