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크펩티드 첨가한 빵반죽의 이화학적 특성
Effect of Silkpeptid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6 no.2 = no.174, 2004년, pp.246 - 254  

김영호 (혜전대학 호텔제과제빵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실크펩티드의 조단백질은 90.83%로 함량이 매우 높았고 총 아미노산 함량은 50,224.l2mg%로 역시 매우 높았다. 아미노산 조성은 glycine(37.4%)이 제일 많았으며 alanine(28.2%), serine(14.7%) 및 tyrosine(8.6%)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총 함량은 전체 아미노산 함량의 8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실크펩티드의 분자량은 1500-1600 Da로 측정되었으며, 입자크기는 $10-45{\mu}m$로 입자크기가 다양하였다. 반죽의 물리적 특성인 farinograph에서 반죽도달시간은 실크펩티드 첨가량 증가 시 대조구에 비해 시간이 다소 연장되었으며 반죽형성시간은 길어졌다. 안정도는 실크펩티드 2.0% 첨가까지는 대조구와 비슷한 안정도를 보였으나 3.0%, 4.0%로 증가시 안정도는 낮았고 약화도는 약간 증가하였다. Amylogram 특성에서 호화개시 온도는 100% 밀가루인 대조구는 $59.5^{\circ}C$이었으며 실크펩티드 3.0% 첨가까지는 대조구와 동일하였고, 4.0% 첨가구는 $58.0^{\circ}C$로 대조구보다 낮았다. 최고점도온도에서 실크펩티드 첨가구와 대조구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최고점도는 실크펩티드 증가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Extensograph에서 실크펩티드 증가시 반죽의 저항도는 크게 증가하였고 신장도의 값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다. 특히 2.0% 이상 첨가구의 90분 후부터는 저항도 값이 크게 증가하여 측정값을 나타낼 수가 없었다. 신장도와 저항도 값의 비율인 R/E값의 변화는 실크펩티드 증가에 따라 시간 경과 시 R/E값은 증가하였으며, 실크펩티드를 첨가하는 경우는 반죽의 가스 보유력과 발효 내구력이 밀가루만 사용할 경우보다는 크게 증가되어 산화제를 첨가한 반죽 물성을 보여 실크펩티드 첨가는 반죽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여러 측면에서 볼 때 산화제 역할을 나타내어 기능성을 가진 천연 제빵개량제로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added with silkpeptide were investigated. Protein content of silkpeptide was 90.83%. In amino acid analysis, glycine content was highest at 18,760.04 mg%. Alanine, serine, and tyrosine contents were much higher in silkpeptide flour than wheat flour. Mixed 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소재인 실크펩티드를 빵 제조에 첨가하였을 때 반죽의 이화학적 물성특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 사하여 실크펩티드 첨가빵의 제조방법을 확립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실크펩티드 첨가량을 달리하여 반죽의 물성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실크펩티드 첨가빵 제조시 반죽의 흡수율, 혼합성, 탄력성, 발효내구력 등 제빵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제반자료를 분석 조사함으로써 품질 특성과 식미가 우수한 실크펩티드 첨가빵에 대해 과학적인 제조방법을 구축하는 연구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하며, 향후 실크펩티드 사용하는 응용범위를 확대하여 빵을 비롯한 과자류와 다양한 식품가공 제조산업에 실크펩티드를 첨가한 제품개발을 산업체에 소개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는 파급 효과에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소재인 실크펩티드를 빵 제조에 첨가하였을 때 반죽의 이화학적 물성특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 사하여 실크펩티드 첨가빵의 제조방법을 확립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U.(Brabender Unit)에 도달하도록 증류수를 가하였다. 그리고 흡수율, 반죽도달시간, 반죽형성시간, 안정도 및 약화도 등을 측정하였다.
  • 3)b: Degree of yellowness (yellow +70↔-80 blu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en K, Umeda Y, Hirabayash K. Enzymatic hydrolysis of silk fibroin. Jpn. J. Sericult. Sci. 65: 131-133 (1995) 

  2. Guoding C, Mitsuo A, Kiyoshi H. Isolation of tyrosine from silk fibroin by enzyme hydrolysis. Jpn. J. Sericult. Sci. 65: 182-184 (1996) 

  3. Sugiyama K, Kushima Y, Muramatsu K. Effect of sulfur containing amino acids and glycine on plasma cholesterol level in rats fed on a high cholesterol diet. Agric. Biol. Chem. 49: 3455-3461 (1985) 

  4. Takano R, Chen K, Hirabayashi K. Production of soluble fibroin powder by hydrolysis with hydrochloric acid and physical properties. Jpn. J. Sericult. Sci. 60: 358-362 (1991) 

  5. Yoshikawa M, Chiba H. Frontiers and new horizons in amino acid research. Jpn. J. Sericult. Sci. 61: 403-406 (1992) 

  6. Luo J, Chen K, Xu Q, Hirabayashi K. Study on foodization of fibroin and its functionality: The 2nd international silk conference. 1: 73-87 (1993) 

  7. Keiko F, Sadayuki T, Rumiko K.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a novel sponge cake by combining rice flour with silk fibroin protein. Jpn. J. Soc. Food Sci. Technol. 47: 363-367 (2000) 

  8.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0) 

  9. Prosky L, Asp NG, Furda I, Devreis JW, Scjweozer TF, Harland BA.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food products. J. Assoc. Off. Anal. Chem. 68: 677-684 (1987) 

  10. Bidlingmeyer BA, Cohen SA, Taruin TL, Frost B. A new rapid high sensitivity analysis of amino acid in food type samples. J. Assoc. Off. Anal. Chem. 70: 241-253 (1987) 

  11. AACC. Approved Method of the AACC. Method 54-21.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1985) 

  12. AACC. Approved Method of the AACC. Method 22-10.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1985) 

  13. AACC. Approved Method of the AACC. Method 54-10.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1985) 

  14. Magoffin CD, Hoseney RC. A review of fermentation. Baker's Digest. 48: 22-29 (1974) 

  15. Kim CT, Cho SJ, Hwang JK, Kim CJ. Composition of amino acid, sugars and minerals of domestic wheat varieties. Korean J. Soc. Food Sci. Nutr. 26: 229-235 (1997) 

  16. Nahm JH, Oh YS. Study of pharmacological effect of silk fibroin. J. Agri. Sci. 37: 145-157 (1995) 

  17. Kwon HR, Ahn MS. Study on rheological and general baking properties of breads and their rusks prepared of various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11: 479-486 (1995) 

  18. Parades-Lopez O, Bushuk W. Development and undevelopment of wheat dough by mixing microscopic structure and its relations to bread-making quality. Cereal Chem. 60: 24-27 (1982) 

  19. Parkkonen T, Harkonen H, Autio K. Effect of baking on the microstructure of rye cell walls and protein. Cereal Chem. 71: 58-63 (1994) 

  20. Pomeranz Y, Mayer D, Seible W. Wheat, rye and doug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Cereal Chem. 61: 53-69 (1984) 

  21. Kim DH. Food Chemistry. Tamgudang, Seoul, Korea. pp. 289-294 (1988) 

  22. Hoseney RC, Hsu KH, Junge RC. A simple spread test to measure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fermenting dough. Cereal Chem. 56: 141-152 (1979) 

  23. Cho NJ, Hur DK, Kim SK. The effect of ascorbic acid and Lcystein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and no-time dough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800-807 (1989) 

  24. Elkassabany M, Hoseney RC. Ascorbic acid as an oxidant in wheat flour dough II. Rheological effects. Cereal Chem. 57: 88-95 (19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