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석잠 분말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Chinese Artichoke (Stachys sieboldii MIQ) Powder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4, 2015년, pp.1 - 15  

전기숙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남희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신인 (가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석잠의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을 확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초석잠 분말의 첨가량을 0, 3, 6, 9, 12%로 달리하여 식빵을 제조하고, 그 품질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식빵 반죽의 발효율은 초석잠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식빵의 수분 함량과 굽기 손실률은 초석잠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각각 p<0.001과 p<0.001). 초석잠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부피는 감소한 반면(p<0.001), 무게는 증가하였고(p<0.001), 비용적은 감소하였다(p<0.001). 식빵 내부(crumb)의 색도는 초석잠 분말 첨가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p<0.001), 초석잠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는 감소하였으나, 적색도(a)와 황색도(b)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식빵의 TPA 측정 결과, 초석잠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경도(hardness), 씹힘성(chewiness)(p<0.05)과 검성(gumminess)(p<0.001), 부착성(adhesiveness)(p<0.001)은 증가하였으나, 탄력성(springiness)응집성(cohesiveness)(p<0.01)은 감소하였다. 식빵의 특성차이 검사 결과, 초석잠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속질 색(crumb color)은 진해졌으며(p<0.001), 기공의 크기(grain size)는 감소하였으나(p<0.05), 기공의 균일성(grain uniformity), 발효향(yeast flavor), 아린향(acridity flavor)(p<0.001), 담백한 맛(plainer taste)(p<0.05), 단맛(sweet taste)(p<0.01), 아린맛(acridity taste)(p<0.001), 견고성(firmness), 탄력성(springiness), 촉촉함(moistness), 부드러움(softness), 씹힘성(chewiness)은 강하게 평가되었다. 전반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는 초석잠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9%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p<0.001). 이상의 결과로 부터 초석잠 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식빵 제조시 초석잠 분말을 9% 첨가하는 것이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consumption extension of Chinese artichoke(Stachys sieboldii MIQ),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white pan bread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s of added Chinese artichoke powder(0, 3, 6, 9, and 12%) were investigated. Volume changes of dough, moisture contents(p<0.00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매 예방 및 개선, 항산화, 항암, 항균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초석잠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식빵을 제조하고, 그 품질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하는 건강 기능성 제빵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여 초석잠의 이용 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치매의 예방 및 치료, 항산화, 항암, 항균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는 기능성 식품인 초석잠의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을 확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초석잠 분말의 첨가량을 0, 3, 6, 9, 12% 로 달리하여 식빵을 제조하고, 그 품질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빵을 사용하는 원료의 특징, 반죽의 제조 및 굽는 방법에 따라 분류하면? 5%를 차지하며, 주로 토스트, 샌드위치, 햄버거를 가장 많이 사 먹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Im SM 2010). 빵은 사용하는 원료의 특징, 반죽 의 제조 및 굽는 방법 등에 따라서 식빵류(각종 식빵, 바게트, 하드롤 등), 과자빵(스위트롤, 커피 케이크, 크로와상, 브리오슈 등), 특수빵(러스크, 도넛, 크로켓, 만두 등), 조리빵(샌드위치, 피자, 햄버거, 카레빵 등)으로 분류된다(최상호 2002). 식빵은 주식용 또는 요리의 보완 식품인 식사용 빵으로써 설탕 사용량이 5~8% 정도로 달지 않고 담백한 맛을 낸다(신길만 등 2005).
치매 환자에게 사용되는 약물은 어떤 기능이 있는가? 치매 환자의 뇌에서 두뇌활동을 촉진 시키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함량이 뚜렷하게 감소되는데(Richter JA et al 1980), 아세틸콜린은 choline acetyltransferase에 의해서 생합성되고, acetylcholine esterase에 의해 서 활성을 상실한다(Hallak M & Giacobini E 1987). 이에 acetylcholine esterase의 활성을 저해하여 아 세틸콜린의 농도를 유지시켜 인지 기능을 개선하 는 약물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간독성 등의 부작 용이 보고되어(Ryu BH & Kim SO 2004), 현재까 지 치매의 예방 및 개선에 가장 합리적인 뇌세포 의 파괴와 노화를 지연시켜주고, 파괴된 신경세포 를 재생시키며, 뇌세포의 활동을 촉진하는 의약품 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이 장기간 섭취를 통한 예방의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식품 의 활용이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Jung TH 2013).
선행 연구에서 치매 유도 동물 모델에 초석잠을 경구투여했을 때 나타난 변화에 대해 설명하시오. 초석잠(Chinese artichoke)의 학명은 Stachys sieboldii MIQ이며(Stadhouders PJ 1990), 생리활 성으로는 기능성 올리고당에 의한 프로바이오틱 스(probiotics) 작용(Yin J et al 2006), acteoside, stachysoside C, phenylethanoid glycoside 등에 의 한 뇌허혈 보호(Yamahara J et al 1990), 염증 억제 (Takeda Y et al 1985), 신장염 치료(Hayashi K et al 1994), 항균(Ryu BH & Park BG 2002), 항암 (Ryu BH et al 2002) 및 항산화(Baek HS et al 2003) 효과 등이 있다. 한편, 치매 유도 동물 모델 에서 초석잠 추출물의 경구 투여는 콜린성 신경 계에 작용하여 학습 및 기억력을 회복시키며(Jung TH 2013), 뇌조직 중의 acethylcholine esterase의 활성은 억제시킨 반면, choline acetyltransferase의 활성은 증가시키고, 과산화 지질의 생성을 억제시 키며, 얼굴, 피부 등에 침착되는 색소의 일종으로 노화의 지표인 리포푸신(lipofuscin)의 침착을 저 해하여 노화 현상을 지연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yu BH & Kim SO 2004). 또 한, 초석잠은 monoamine oxidase의 활성을 억제 하여 교감 신경의 흥분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어 뇌의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고, 항산화 작용(Yamahara J et al 1990)과 xanthine oxidase의 활성을 억제하여, 그 전환과정 중에 생성되는 활 성산소의 생성을 저해하여 활성산소의 세포 독성 에 의한 뇌조직의 손상을 부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Cross CE et al 198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보건복지부 (2003). 보건복지통계연보. 8-9, 서울. 

  2. 신길만, 신순례, 노한승 (2005). 제빵학의 이론과 실제. 백산출판사, 22-33, 서울. 

  3. 최상호 (2002). 제과제빵론. 양서원, 126-127, 파주. 

  4. An HL, Lee KS, Park S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mesangi (Capsosiphon fulvecens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4):563-568. 

  5. An HL, Lee KW (2010). Quality characteriestics of pan bread by the addition of cranberry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5):697- 705. 

  6. Bae JH, Lee JH, Kwon KI, Im MH, Park GS, Lee JG, Choi HJ, Jeong SY (2005). Q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bread prepared by addition of jujub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4):603-610. 

  7. Bae JH, Woo HS, Choi HJ, Choi C (2001). Qualities of bread added with Korean persimmon (Diospyros kaki L. folium) leaf powder. J Korean Sco Food Sci Nutr 30(5):882-887. 

  8. Bae JH, Woo HS, Jung IC (2006).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umpkin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1(3):311-318. 

  9. Baek HS, Na YS, Ryu BH, Song SK (2003). Antioxidant activities of Stachys sieboldii Miq stalks. Korea J Biotechnol Bioeng 18(4):266- 271. 

  10. Chabot JF (1979). Preparation of food science sample for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 3:279-286. 

  11. Choi AN, Chung NY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buckwhea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5):664- 670. 

  12. Choi OJ, Kim YD, Kang SK, Jung HS, Ko MS, Lee HC (1999). Propert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Angelica keiskei Koidz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118-125. 

  13. Choi SN, Chung NY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buckwheat powder. J Korean Food Cookery Sci 23(5): 664-670. 

  14. Chung MJ, Lee SM, Joo NM (2014). Optimization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Chinese artichoke( Stachys sieboldii Miq)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 Nutr 27(4):435- 446. 

  15. Cross CE, Halliwell B, Borish ET, Pryor WA, Ames BN, Saul RL, MacCord JM, Herman D (1987). Oxygen radicals and human disease. Ann Intern Med 107(4):526-545. 

  16. Hallak M, Giacobini E (1987).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two inhibitors on brain cholinesterase. Neuropharmacol 26(6):521-530. 

  17. Hathorn CS, Biswas MA, Gichuhi PN, Bovell-Benjamin AC (2008). Comparison of chemical, physical, micro-structur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breads supplemented with sweet-potato flour and high-gluten dough enhancers. LWT 41(5):803-815. 

  18. Hayashi K, Nagamatsu T, Ito M, Hattori T, Suzuki Y (1994). Acetoside, a component of Stachys sieboldii Miq., may be a promising antinephritic agent. Jpn J Pharmacol 66(1):47-52. 

  19. He H, Hoseney RC (1992). Effect of quantity of wheat flour protein on bread loaf volume. Cereal Chem 69(1):17-19. 

  20. Hwang YK, Hyun YH, Lee YS (2001).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green tea powder. Korean J Food & Nutr 14(4):311-316. 

  21. Im JS, Lee YT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bread substituted with black rice flou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6):903-908. 

  22. Im SM (2010).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alary Mens Breakfast in Seoul and Gyeongnam Area. MS Thesis, Inje University, 58-60, Gimhae. 

  23. Jeon TG, An HL, Lee K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turmeric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1): 113-121. 

  24. Jeon YS, Kim MW (2010). Quality characteriestics of white pan bread added with sunsik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2):299-306. 

  25. Jung DS, Lee FZ, Eun JB (2002). Quality properties of bread made of wheat flour and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2): 232-237. 

  26. Jung HO, Lim SS, Jung BM (1997). A study on the sensory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roasted soybean powder. Korean J Soc Food Sci 13(3):266-271. 

  27. Jung HS, Noh KH, Go MK, Song YS (1999). Effect of leek(Allium tuberosum) powder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s. J Korean Sco Food Sci Nutr 28(1):113- 117. 

  28. Jung IC (2006). Pheological properties 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mugwort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3):332-343. 

  29. Jung TH (2013). A Comparative Study of Memory Improving Effects of Stachys rhizome and Lycopi rhizome on Scopolamine-induced Amnesia in Mice. MS Thesis, Kyeongnam National University, 29-30, Changwon. 

  30. Juong HS, Park DG, Shin GM (2008). Quality of white pan breads of Cordycep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5):781-788. 

  31. Kang MJ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added dandelion leaf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9(2):221-227. 

  32. Kang NE, Kim HY, Lee I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alnut bread with varied levels of resistant starch. Korean J Food Culture 21(3):290-296. 

  33. Kang SW, Lee BG (2004).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qualities of functional bread flour added with chungpesagan-tang extracts & reprocurement attitude. Korean J Culinary Research 10(4):165-177. 

  34. Kim EJ, Lee KS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honey. Korean J Culinary Res 19(4):147-160. 

  35. Kim KT, Choi AR, Lee KS, Joung YM, Lee KY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from domestic Korean wheat flour containing cactus chounnyuncho(Opuntia humifusa) powder. J Korean Food Cookery Sci 23(4):461- 468. 

  36. Kim MH (1985).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dementia. J Clinical Neurology 3(1):1-4. 

  37. Kim OS (2013) Physiolog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ry Products added with Mosi Leaf Powder. PhD Thesis, Sejong University, 3, 103-115, Seoul. 

  38. Kim RY, Ki MR, Kim MY, Lee GJ, Choi YM, Chum S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Kimchi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3):340-345. 

  39. Kim SK, Cheigh HS, Kwon TW, D’Appolonia BL, Marston PE (1978). Rheological and baking studies of composite flour wheat and naked barley. Korean J Food Sci Technol 10(1):247- 251. 

  40. Kwon EA, Chang MJ, Kim S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laminari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3): 406-412. 

  41. Lai CS, Hoseney RC, Davis AB (1989). Effects of wheat bran in breadmaking. Cereal Chem 66(3):217-219. 

  42. Lee EJ, Ju HW, Lee K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added with citrus mandarin peel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8 (1):27-39. 

  43. Lee JE, Jin SY, Han YS (2014).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supplemented with Chinese artichoke powder. Korean J Food & Nutr 27(1):10-21. 

  44. Lee YS, Kim WM, Kim TH (2007). A study in the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read added waxy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3):337-345. 

  45. Lee YT, Chang HG (2003). Effects of waxy and normal hull-less barley flours on bread-making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hnol 35(5): 918-923. 

  46. Moon HK, Han JH, Kim JH, Kim JK, Kang WW, Kim GY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s added with freeze dried old pumpkin powder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2): 126-132. 

  47. Park YI, Lee SM, Joo NM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of rice muffin containing Chinese artichoke(Stachys sieboldii MIQ)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Diet Assoc 20(3):212-226. 

  48. Pyler EJ (1979). Physical and chemical test methods. vol. II, in: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891-895, Sosland Pub. Co., Kansas, USA. 

  49. Richter JA, Perry EK, Tomlinsom BE (1980). Acetylcholine and choline levels in post-mortem human brain tissue: preliminary observations in Alzheimer's disease. Life Sci 26(20):1683-1689. 

  50. Roels SP, Cleemput G, Vandewalle X, NYS M, Delcour JA (1993). Bread volume potential of variable-quality flours with constant protein level as determined by factors governing mixing time and baking absorption levels. Cereal Chem 70(3):318-323. 

  51. Ryu BH, Kim SO (2004).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Stachys sieboldii MIQ on acetylcholine esterase and monoamine oxidase in rat brain. Korean J Food & Nutr 17(4):347-355. 

  52. Ryu BH, Park BG (2002). Antimicrobial activity of hexane extract of Stachys sieboldii Miq. leaf. Korea J Life Sci 12(6):803-811. 

  53. Ryu BH, Park BG, Song SK (2002). Antitumor effects of the hexane extract of Stachys sieboldii Miq.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 (6):520-524. 

  54. Shin DH, Lee YW (2002). Quality of attributes of bread with soybean milk residue-wheat flour. Korean J Food & Nutr 15(4):314-320. 

  55. Shin GM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added with Poria coco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4):554-562. 

  56. Shin JW, Shin GM (2008). Quality of white pan bread as affected by various concentrations of Corni fructu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6):1007-1013. 

  57. Stadhouders PJ (1990). Elesevier's Dictionary of Horticultural and Agricultural Plant Production. 20th ed. Elsevier Science Publication, 72, Amsterdam. 

  58. Takeda Y, Fujita T, Satoh T, Kakegawa H (1985). On the glycosidic constituents of Stachys sieboldii Miq. and their effects on hyarulonidase activity. Yakugaku Zasshi 105(10):955-959. 

  59. Woo IA, Nam HW, Pyun JW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curry powder. Korean J Sco Food Cookery Sci 19(4):447-453. 

  60. Yamahara J, Kitani T, Kobayashi H, Kawahara Y (1990). Studies on the Stachys sieboldii Miq. II. Anti-anoxia action and the active constituents. Yakugaku Zasshi 110(12):932-935. 

  61. Yang MR (2012). The Analysis of Bioactive Materials in Stachys sieboldii Miq. and Its Application on Functional Ready-to-eat Food. PhD thesi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9, Jinju. 

  62. Yang YH, Kang EY, Kim MK, Cho HY, Kim MR (200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ilk bread substituted with high amoung of ${\beta}$ -glucan. Korean J Food Cookery Sci 22(2):204-212. 

  63. Yin J, Yang G, Wang S, Chen Y (2006). Pur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stachyose in Chinese artichoke (Stachys sieboldii Miq.)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ion. Talanta 70(1):208-2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