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능개선제-신소재(KTG075)의 대장관 내 mucin 2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stinal Function Enhancer (KTG075) on Mucin 2 Secre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6 no.6 = no.178, 2004년, pp.991 - 994  

이유회 (KT&G 중앙연구원) ,  백순옥 (KT&G 중앙연구원) ,  김현경 (KT&G 중앙연구원) ,  류명현 (KT&G 중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장 기능 개선 및 변비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식물성 복합추출물인 장기능개선제-신소재(KTG075)의 대장관 내 점액질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 특히 대장에 가장 많이 분비되는 mucin 2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Mucin(MUC)은 그 구조에 따라서 여러 아형이 있는데, 아형에 따라서 조직 분포가 다르며 대장에서 가장 많이 분비되는 mucin의 아형은 mucin 2로서 mucin 2에 대한 항체(Biogenex AM358)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법으로 mucin 2를 관찰 시, 변비유발군에서는 mucin 2(연갈색)로 염색된 세포가 현저히 감소되나 KTG075 투여 시 뚜렷하게 mucin 2의 염색이 증가되었다. 또한 alcian blue 염색으로 점액질층을 관찰 시 점액질 두께도 변비유발군에서는 현저히 감소되었고 KTG075투여군에서는 점액질층이 거의 정상 수준으로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변비유발군에서의 mucin 2의 생성과 분비가 감소되나 KTG075 투여군에서는 장 기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mucin 2의 생성과 분비를 증가시켜 장관 내 윤활도가 유지되고 장관 운동을 증가시켜 배변을 용이하게 하여 변비 또는 스트레스 등에 의해 저하된 장 기능을 개선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formulation KTG075 from edible plants on intestinal function, particularly on Mucin 2 secretion, were examined by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method using Sprague Dawley rats (SD rats, male). Crypt epithelial cells containing more mucus and mucus layer stained with alcian blue were 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과적으로 점액의 분비와 점액층의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하며 각종 장 질환의 거의 대부분은 mucin의 부족과 깊은 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5), 건강한 장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점액의 분비와 점액층의 형성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물성 복합추출물인 장 기능개선제-신소재 (KTG075)의 장 기능 개선 및 변비질환 개선 효과를 흰쥐의 대장관 내에서 점액질의 두께와 장내 변의 개수, 점액질의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대장에서 가장 많이 분비되는 mucin의 아형중 mucin 2를 항체 Biogenex AM358을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법으로 mucin 2 분비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장 기능 개선 및 변비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식물성 복합추출물인 장기능개선제-신소재 (KTG075)의 대장관 내 점액질의 분비에 미치는 영향, 특히 대장에 가장 많이 분비되는 mucin 2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Mucin(MUC)은 그 구조에 따라서 여러 아형이 있는데, 아형에 따라서 조직 분포가 다르며 대장에서 가장 많이 분비되는 mucin의 아형은 mucin 2로서 mucin 2에 대한 항체(Bio- genex AM358)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법으로 mucin 2를 관찰 시, 변비유발군에서는 mucin 2(연갈색)로 염색된 세포가 현저히 감소되나 KTG075 투여 시 뚜렷하게 mucin 2의 염색이 증가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식물성 복합추출물인 장 기능개선제-신소재 (KTG075)의 장 기능 개선 및 변비질환 개선 효과를 흰쥐의 대장관 내에서 점액질의 두께와 장내 변의 개수, 점액질의 분비에 미치는 효과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대장에서 가장 많이 분비되는 mucin의 아형중 mucin 2를 항체 Biogenex AM358을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법으로 mucin 2 분비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The rate was compared with the Loperamide-treatment group.
  • 1) The rat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rmal contro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ilberberg A, Meyer FA. Structure and funtion of mucus. Adv. Exp. Med. Biol. 144: 53-74 (1982) 

  2. Corfield AP, Carrol D, Myerscough N, Probert CSJ. Mucin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health and disease. Front Biosci. 6: 1321-1327 (2001) 

  3. Sheehan JK, Carlstedt I. Models for the macromolecular structure of mucus glycoproteins. Spec. Publ. Soc. Chem. 74: 256-275 (1989) 

  4. Kirjavainen PV, Ouwenhand AC, Isolauri E, Salminen SJ. The ability of probiotic bacteria to bind to human intestinal bacteria. FEMS Microbiol. Lett. 167: 185-189 (1993) 

  5. Ouwehand AC, Kirjavainen PV. Adhension of probiotic microorganisms to intestinal mucus. Int. Dairy J. 9: 623-630 (1999) 

  6. Jass JR, Walsh MD. Altered mucin express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 review. J. Cell. Mol. Med. 5: 327-351 (2001) 

  7. Loeschke K, Schmid T, Farack UM. Inhibition by loperamide of mucus secretion in the rat colon in vivo. Eur. J. Pharmacol. 170: 41-46 (1989) 

  8. Shimotoyodome A, Meguro S, Hase T, Tokimitsu I, Sakata T. Decreased colonic mucus in rats with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Comp. Biochem. Physiol. Part A 126: 203-211 (2000) 

  9. Tytgat KMAJ, Dekker J, Buller HA. Mucin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Eur. J. Gastroenterol. Hepatol. 5: 119-128 (1993) 

  10. Sakata T, Engelhardt WV. Luminal mucin in the large intestine of mice, rats and guinea pigs. Cell. Tissue. Res. 219: 629-635 (1981) 

  11. Montagne L, Pluske JR, Hampson DJ. A review of interactions between dietary fiber and the intestinal mucosa, and their consequences on digestive health in young non-ruminant animals. Anim. Feed Sci. Technol. 108: 95-117 (2003) 

  12. Derker J, John WA, Rossen HA. The MUC family: an obituary. Trends Biochem. Sci. 27(3): 126-131 (2002) 

  13. Strous GJ, Dekker J. Mucin-type glycoproteins. Crit. Rev. Biochem. Mol. Biol. 27: 57-92(1992) 

  14. Griffiths B. Assignment of the polymorphic intestinal mucin gene(MUC2) to chromosome. Ann. Hum. Genet. 4: 277-285 (1990) 

  15. Kristien MAJ, Tytgat JWG, Alexandra WCE, Hans AB, Jan D. Quantitative analysis of MUC2 synthesis in ulcerative colitis. Biochem. Biophys. Res. Comm. 224: 397-405 (199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