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분비계 장애추정농약에 대한 에스트로겐성 영향검색 및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for estrogenic effect of the suspected endocrine disrupting pesticide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8 no.2, 2004년, pp.95 - 102  

이제봉 (농업과학기술원) ,  신진섭 (농업과학기술원) ,  이희동 (농업과학기술원) ,  정미혜 (농업과학기술원) ,  유아선 (농업과학기술원) ,  강규영 (경상대학교 환경생명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국내 사용중이며 내분비계 장애추정농약으로 분류된 benomyl, carbaryl, endosulfan등 17종 농약에 대한 estrogen성 영향을 검색하기 위하여 인체난소암세포(BG1Luc4E2)를 이용한 luciferase assay를 수행하였으며, luciferase assay에서 Eeq를 산출한 후 내분비계 장애추정 농약의 에스트로겐성 영향에 대한 식이섭취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Estrogen 수용체 결합시험에서 cypermethrin, dicofol, endosulfan, esfenvalerate 및 fenvalerate가 $10^{-5}$ M에서 최고 영향이 관찰되었고, mancozeb 등 8종 농약은 약한 영향이 관찰되었으며, benomyl 등 나머지 4종 농약은 영향이 없었다. 이들 중 활성이 비교적 강한 dicofol 및 endoeulfan의 1 nmol 17 $\beta$-estradiol에 대한 RLP 와 RLU는 dicofol의 경우 $10^{-5}$ 및 56%이었구, endosulfan은 $10^{-5}$ 및 72%이었다. MRL을 이용한 식이섭취 위험도 평가 결과 농약들의 추청 1일 최대농약섭취량은 cypermethrin 0.667, dicofol 0.1462, endosulfan 0.2066 및 lenvalerate/esfenvalerate 0.2098 mg/person으로 총 추정 1일 최대 농약섭취량이 1.2298 mg/person이었고, 남성 혈중 에스트로겐 증가 농도는 3.075 ng/L로 정상농도에 비해 15%정도 증가하였으나, 국내 모니터링 성적을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남성혈중 에스트로겐 증가 농도는 0.01938 ng/L로 정상농도에 비해 0.09693%정도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test and evaluate estrogenic effect of 17 pesticides including benomy1 and carbaryl, being suspected as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For estrogenic effect examination, luciferase assay were achieved with human ovarian cancer cell, BG1Luc4E2. Estrogenic effect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세포의 분열을 비교한 것이 아니고 luciferase의 활성을 비교하였으므로 RLP 및 RLE로 표현하여 평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사용중이며, 내분비계 장애 추정 농약으로 분류된 benomyl, carbaryl, endosulfan 등 17종 농약에 대한 에스트로겐성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난소암세포(BGlluo4E2)를 이용한 luciferase assay (Rogers와 Denison, 2000)를 수행하였고, 내분비계 장애추정농약의 에스트로겐성 영향에 대한 식이 섭취 위험도평가(Shaw와 McCuUy, 2002)를 추정최대일일섭취량(EMDI, estimated maximum daily intake) 을 산출하여 평가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oenke, A., C. Searle, T. Karjalainen(2002) Contribution of European research to endocrine disruptors. analytica Chimica Acta 473:161-165 

  2. Denison, M. S., A. Pandini, S. R.Nagy(2002) Ligand binding and activation of the Ah receptor. Chemico-Biological Interaction 141:3-24 

  3. Denison, M. S., D. Phelan, G. M. Winter, M. H. Ziccardi(1998) Carbaryl, a Carbamate insecticides, is a Ligend for the Hepatic Ah(Dioxin) Receptor.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152:406-414 

  4. Giesy, J. P., K. Hilscherova, P. D. Jones, K. Kannan, M. Machala(2002) Cell bioassay for detection of aryl hydrocarbon(AhR) and estrogen receptor(ER) mediated activity in environmental samples. Marine Pollution Bulletin 45:3-16 

  5. Gi1lesby, B. E. and T. R. Zacharewiski(1998) Exoestrogens : mechanism of action and strategies for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Environ. Toxicol. Chem. 17:3-14 

  6. Go, V., M. S. Wolff, B. G. T. Pogo(1999) Estrogenic potential of certain pyrethroid compounds in the MCF-7 human breast carcinoma cell line. Environ. Health perspect. 107:173-177 

  7. Klotz, D. M., B. S. Beckman, S. M. Hill, J. A. Mclachlan, M. R.Walters, S.F.Amold (1996) Identification of environmental chemicals with estrogenic activity using a combination of in virto assays. Environ. Health Perspect. 104(10) : 1084-1089 

  8. Legler, J., C. Brink, A. Brower, D. Vethaak, P. VanDerSaag, T. Murk, B. Burg(1998) Assessment of (anti)estrogenic compounds using a stably transfected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 in the human T47-D breast cancer cell line. Organohalogen Com. 35 : 265-268 

  9. Machala, M., and J. Vondracek(1998) Estrogenic activity of xenobiotics. Vet. Med. 10:311-317 

  10. Oh, S. M., S. Y. Cheong, Y. Y. Sheen, K. H. chung (2000) Quantitative assessment of estrogenic activity in the water environment of Korea by the E-Screen assay.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63:161-169 

  11. Petit, F., P. Le-Goff, J. P. Cravedi, Y. Valotaire, F. Pakdel (1997) Two complementary bioassays for screening the estrogenic potency of xenobiotics : recombinant yeast for trout estrogen receptor and trout hepatocytes cultures. J. Mol. endocrinology. 19:321-335 

  12. Rogers, J. M., and M. S. Denison (2000) Recombinant cell bioassays for endocrine disruptors : Development of a stably transfected human ovarian cell line for the detection of estrogenic and anti-estrogenic chemicals. In vitro and molecular toxicology 13(1):67 -82 

  13. Rogers, J. M., and M. S. Denison (2002) Analysis of the anti-estrogenic activity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in human ovarian carcinoma BG-l cells. Molecular pharmacology 61(6):1393-1403 

  14. Seidel, S. D., V.L.G.M. Winter, W.J.Rogers, E.I.Eugenio, and .S.Denison (2000) Ah Receptor-based chemical screening bioassay : application and limitations for the detection of Ah receptor agonist. Toxicological Sci- ence 55:107-115 

  15. Shaw, I. and S. McCully (2002) A review of the potential impact of dietary endocrine disrupters on the consumer.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7:471-476 

  16. Soto, A. and S. Carlos (1985) The role of estrogens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breast tumor cells(MCF-7). Journal of steroid biochemistry 23(1):87-94 

  17. US/EPA (1997) EPA special report on. endocrine disruption 

  18. US/EPA (1998) Final report of endocrine disruptor sereening and testing advisory committee 

  19. US/EPA (2002) Federal register notice 

  20. iccardi, M. H., I. A. Gardner, J. A. K. Mazet, M. S. Denison (2002) Application of the luciferase cell culture bioassay for the detection of refined petroleum products. Marine pollution Bulletin 44:893-991 

  21. 국립환경연구원(1999) 내분비계 장애물질 이해와 대응 

  22. 농업과학기술원(2003) 농약잔류허용기준(내부자료) 

  23. 농업과학기술원(2002) 농약 모니터링 성적(내부자료) 

  24. 보건복지부(1998) 국민영양조사결과보고서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