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식용유를 이용한 아스팔트 실란트
Asphalt Sealant Containing the Waste Edible Oil 원문보기

엘라스토머 = Elastomer, v.39 no.1, 2004년, pp.61 - 70  

김석준 (군산대 재료.화학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폐식용유를 이용하여 아스팔트계 봉함재(sealant)를 제조하는 것이다. 아스팔트계 봉함재는 포장도로의 균열 봉함재 및 교량 조인트용 봉함재로 사용되는 재료이다. 아스팔트(AP-5), 열가소성 고무(SBS triblock copolymer), 점착제(tackifier) 및 안정제를 기본 성분으로 하여 연화제로 방향족계 또는 파라핀계 공정유, DOP(dioctyl phthalate), 벙커 C유 또는 폐식용유와 혼합하여 침입도, 연화점, 신도 및 인장 접착 신율(상온 및 저온)을 측정하였다. 연화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봉함재의 물성이 크게 변화하였다. 폐식용유 또는 DOP를 사용한 경우가 저온 인장 접착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폐식용유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아스팔트 봉함재의 침입도는 및 인장 접착 신율은 증가하였고 증량제로 탈크를 첨가할 경우 함량에 비례하여 침입도 및 저온 인장 신율은 감소하였다. 배합비를 최적화하여 침입도가 낮으면서도 저온 인장 접착성이 우수한 아스팔트 봉함재를 제조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work is about the development or asphalt sealant using the waste edible oil. Asphalt sealant has been used for crack filler and bridge deck joint sealer Several plasticizers such as aromatic or paraffin process oils, DOP, Bunker C fuel oil, and waste edible oil were compounded with the basic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의 목적은 저온에서도 신축성이 우수해 아스팔트 포장 도로의 크랙 보수 및 신축이음용으 로 가장 적합한 아스팔트 봉함재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봉함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침입도가 낮으면서도 저온에서 취성이 없고 접착력이 강한 물성을 갖도록 하는 최적의 연화제를 찾은 다음 배합비를 최적화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아스팔트 봉함재의 저온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SBS 삼블록 공중합체의 첨가량을 15-20 wt%로 크게 증가시키고 폐식용유를 연화 제 및 상용화제로 사용하여 여러 물성을 측정하였 으며 기존에 연화제로 사용되는 방향족계 또는 파 라핀계 공정유, DOP, 벙커 C유 등을 사용한 것들 과의 물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폐식용유의 함량에 따른 아스팔트 봉함재의 물성 변화를 알아보았으 며 증량제로 탈크를 첨가하여 침입도 연화점 및 흐름성의 개선 정도와 상온 및 저온에서의 인장 접착 물성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F. R. Davis, US Patent 4485201 (1984) 

  2. R. L. Cottingham, D. J. Thorpe, and E. Bickerstaff, US Patent 4324504 (1982) 

  3. R. F. Ju, Y. L. Lee, S. H. Lin, and W. J. Burke, 'Surface Modification of Aggregate in Asphalt Concrete', Colloids and Surfaces, 49, 395 (1990) 

  4. F. J. Navarro, P. Partal, F. Martinez-Boza, C. Valencia, and C. Gallegos,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 Tire Rubber-Modified Bitumens',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89, 53 (2002) 

  5. F. C. Miknis and L. C. Michon, 'Some Applications of Nuclear Magnetic Resonance Imaging to Crumb Rubber Modified Asphalts', Fuel, 77, 393 (1998) 

  6. G. Kraus, 'Modification of Asphalt by Block Polymers of Butadiene and Styrene', Rubber Chem. Technol., 55, 1389 (1982) 

  7. M. G. Bouldin, J. H. Collins, and A. Berker, 'Rheology and Microstructure of Polymer/Asphalt Blend', Rubber Chem. Technol., 64, 577 (1991) 

  8. L. H. Lewandowski, 'Polymer Modification of Paving Asphalt Binders', Rubber Chem. Technol., 67, 447 (1994) 

  9. Z. Liang and S. A. M. Hesp, 'In Situ Steric Stabilization of Polyethylene Emulsions in Asphalt Binders for Hot-Mix Pavement Applications', 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ical and Engineering Aspects, 81, 239 (1993) 

  10. 김 제훈, 'LDPE를 이용한 아스팔트 실란트의 성능개선', Thesis, Kunsan National University, 2001 

  11. S. Hinislioglu and E. Agar, 'Use of Waste High Density Polyethylene as Bitumen Modifier in Asphalt Concrete Mix', Materials Letters, 58, 267 (2004) 

  12. C. Giavarini, F. De Fillipis, M. L. Santarelli, and M. Scarsella, 'Production of Stable Polypropylene Modified Bitumens', Fuel, 75, 681 (1996) 

  13. A. Kellomaki and M. Korhonen, 'Dispersion of Polyolefins in Bitumen by Means of Tall Oil Pitch, and Microscopic Characterization of Mixes', Fuel, 75, 896 (1996) 

  14. M. Korhonen and A. Kellomaki, 'Miscibilities of Polymers in Bitumen and Tall Oil Pitch under Different Mixing Conditions', Fuel, 75, 1727 (1996) 

  15. G. Biegenzein, US Patent 4314921 (1982) 

  16. J. Stastana, L. Zanzotto, and O. J. Vacin, 'Viscosity Function in Polymer-Modified Asphalts',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59, 200 (2003) 

  17. M. Garcia-Morales, P. Partal, F. J. Navarro, F. Martinez-Boza, C. Gallegos, N. Gonzalez, and M. E. Munoz, 'Viscous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Recycled EVA Modified Bitumen, Fuel, 83, 31 (2004) 

  18. H. Jin, G. Gao, Y. Zhang, Y. Zhang, K. Sun, and Y. Fan, 'Improved Properties of Polystyrene-Modified Asphalt Through Dynamic Vulcanization', Polymer Testing, 21, 633 (2002) 

  19. Y. Ruan, R. R. Davison, and C. J. Glover, 'The Effect of Long-term Oxidation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mer Modified Asphalts', Fuel, 82, 1763 (2003) 

  20. U. Isacsson and H. Zeng, 'Relationships Between Bitumen Chemistry and Low Temperature Behaviour of Asphalt',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1, 83 (1997) 

  21. R. Varma, H. Takeichi, J. E. Hall, Y. F. Ozawa, and T. Kyu, 'Miscibility Studies on Blends of Kraton Block Copolymer and Asphalt', Polymer, 43, 4667 (2002) 

  22. A. A. Yousefi, A. Ait-Kadi, and C. Roy, 'Effect of Used-Tire-Derived Pyrolytic Oil Residue on the Properties of Polymer-Modified Asphalts', Fuel, 79, 975 (2000) 

  23. G. Wen, Y. Zhang, Y. Zhang, K. Sun, and Y. Fan,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Storage-Stable SBS Modified Asphalts', Polymer Testing, 21, 295 (2002) 

  24. A, Jimenez, L. Torre, and J. M. Kenny, 'Thermal Degradation of Poly(vinyl chloride) Plastisols Based on Low-migration Polymeric Plasticizers',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73, 447 (2001) 

  25. N. I. Sax and R. J. Lewis, Sr., 'Hawley's Condensed Chemical Dictionary', 11th ed., p. 393,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19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