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보육시설과 기관보육시설의 질적 특성과 영아의 사회.정서 발달
The quality of home-based day care and center-based day care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among infant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2 no.1, 2004년, pp.39 - 51  

최보가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문영경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quality (structure and process) of home-based day care and center-based day care, and to examine socio-emotional development among infants who were in both types of day c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1 infants who were in home-based day c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이 보육시설에 따라 장단점이 있고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도 다를 수 있으므로 각 보육시설의 질적 특성을 규명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 보육시설과 기관보육시설의 질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비교해보고자 한다. 이에 더하여, 아동의 발달에 적합한 보육이 바람직한 보육이라 할 수 있으므로 (이순형.
  • 보육시설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교사- 아동비율, 집단 크기 교사의 학력, 교사의 경력, 교사의 자격 여부를 알아보는 질문지를 구성하였고 보육시설의 과정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은해.송혜린.
  • 이 시설에 대해 한미라(1993)는 집단생활에 적응하기 어려운 3세 미만의 어린 영아들은 기관보육시설이나 종일제 유치원 보다 가정보육시설에서 생활하는 것이 오히려 더 적절하다고 보았으며.보육시설의 다양화와 단기적 확충의한 방안으로 가정 보육시설을 발전시키고,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 질적 수준을 갖추고 제대로 정착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하여.영아를 위한 보육시설로 가정보육을 이용하는 방안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 보육시설과 기관보육시설의 구조적, 과정적 특성과 이들 보육시설 영아의 사회 .정서 발달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가정 보육시 설과 기관보육시설 이 상호 보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연구 대상 보육시설의 특성을에 제시하였다.
  • 연구 대상영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에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보육의 질적 지표를 구조적 질과 과정적 질로 나누어 가정 보육시설과 기관보육시설의 질적 특성을 비교하고, 둘째, 각 시설의 질적 특성이 영아의 사회 . 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기관보육시설과 가정 보육시설의 상호 기능상의 장단점을 발견함으로써 현재 수적 우위와 성장을 거듭하고 있지만 이용률에서는 떨어지고 있는 기관보육시설과 정부시책에 의하여 추진되고 있는 영아전담 보육시설로서의 가정 보육시설이 공존공생하면서 상호보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 보육시설과 기관보육시설의 구조적, 과정적 특성과 이들 보육시설 영아의 사회 .정서 발달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가정 보육시 설과 기관보육시설 이 상호 보완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그리고, 보육시설에서 일어나는 교사- 영아간 상호작용은 보육시설의 구조적 특성(교사- 아동비 율, 집단 크기, 교사의 학력, 경력)과 관련이 있어 (Howes & Rubinstein, 1985;강진아, 1998;전춘애, 이미숙, 2002), 교사- 아동비율이 작을수록, 집단 크기가 작을수록, 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경력이 길수록 교사- 아동의 상호작용이 증가한다는 견해에 근거해 볼 때, 본 연구에서, 교사- 영아간 상호작용이 보육 시설 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지 않은 점은 가정 보육시설과 기관보육시설의 교사- 아동비 율.집단 크기, 교사의 학력, 교사의 경력 등 구조적 특성에서 차이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강진아(1998). 탁아기관의 질과 영아의 탐색/놀이 행동과의 관계 : 물리적 놀이 환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곽주영(1996). 보육교사 행동의 질적 수준과 아동의 사회적 행동 특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광웅, 박인전, 방은령(1997). 영유아보육론.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4. 김의영(1997). 아동보육론. 서울: 동문사 

  5. 김형옥, 안선희(2001),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9(9). 15-25 

  6. 박민정(1995). 가정환경과 보육시설의 질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방인숙(1993). 가족형태가 유아의 사회정서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보건복지부(2002). 보육사업 활성화 방안 

  9. 서원경(1999). 기관보육시설과 가정보육시설에서의 만 2세 영아가 나타내는 놀이행동 유형비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신혜원(1992).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에 따른 아동의 놀이실 행동.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연미희(1998).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 정서적 발달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6, 111-122 

  12. 유명주(1982). 가정탁아제도 정착을 위한 기초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유희정(1998). 보육서비스의 질적수준 향상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14. 이남주(1999).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 분석 및 보육 경험이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구립보육시설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이숙, 오선영(1998). 보육시설의 질에 다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대한가정학회지. 36(4), 189-197 

  16. 이순형(1999). 한국 영아보육시설 평가의 준거-평가기준의 이론적 실제적 타당성을 중심으로-. 열린 교육학회 정기국제대회 자료집 

  17. 이순형, 이옥경(2000). 한국 보육시설의 영아기 프로그램 운영평가. 한국아동학회, 20(1), 121-140 

  18. 이 영(1990). 영아기 애착, 가정학 연구의 최신정보III : 아동학 분야(대한가정학회편). 서울: 교문사 

  19. 이 영(2000). 영아발달과 보육. 한국아동학회 춘계 학술대회 : 영아 보육의 현황과 21세기의 과제. 한국아동학회, 1-24 

  20. 이은해, 박경자, 정현숙(1998). 아동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가족변인 및 보육시설의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36(6), 27-40 

  21. 이은해, 송혜린, 신혜영, 최혜영(2002). 어린이집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아동학회지, 23(4), 200-213 

  22. 이재연(1989). 탁아의 유형. 아동의 권리: 가정 교육 탁아. 서울: 한국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회 

  23. 이진주(1987). 가정탁아 이용실태와 이용자의 요구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전선옥(1989). 유치원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물리적 환경의 질에 따른 유아행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전춘애, 이미숙(2002). 보육시설의 구조적,과정적 변인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1), 115-124 

  26. 정기원, 오미영, 안현애(1995). 보육시설 평가기준 및 평가체계 개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7. 조선영, 이영(1992). 가정보육시설의 질적 특성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13(2), 129-144 

  28. 지옥정(1996).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학습준비도, 사회.정서 발달, 자아개념 및 프로젝트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최지현, 박혜원(2000). 보육환경(보육시설 및 교사)이 영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논문집, 20(1), 73-87 

  30. 한미라(1993). 가정보육시설의 질적 수준과 유아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현온강, 태진(2000). 보육환경의 질과 영유아의 적응- 인천시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8(3), 25-42 

  32. 황현주(1991). 유아교육기관의 질과 유아의 사회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Anderson, B. E. (1989). Effect of public daycare: A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60(4), 657-866 

  34. Belsky, J. & Rovine, J.J (1988). Nonmaternal care in the first year of life and the security of infant-parent attachment. Child Development, 59, 157-167 

  35. Burchinal M. Roverts J, Riggins R, Zeisel S. Neebe E., Bryant D. (2000). Relating Quality of Center-Based Child Care to Early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Longitudinally. Child Development, 71(2), 339-357 

  36. Clark-Stewart A. (1989). Infant day care: Malignant or maligned? American Psychologist, 44, 266-273 

  37. Clark-Stewart A. & Gruder, C. P.(1984). Day care forms and features. In T. C. Ainslie(Ed.). The child and the day care setting. New York: Praeger 

  38. Cochran (1997). A comparison of group day and family childrearing patterns in sweden. Child Development, 48, 702-707 

  39. Haskin, R. (1985). Public school aggression among children with varying day-care experience. Child Development, 56, 689-703 

  40. Howes, C. (1990). Can the age or entry into child care and the quality of child care predict adjustment in kindergarten? Developmental Pstchology, 26, 292-303 

  41. Howes, C., Olenick, M. (1986). Family and child care influences on toddler's compliance. Child Development, 57, 202-216 

  42. Howes, C., & Rubenstein, J. (1985) Determinants of toddler's experiences in day care: Age of entry and quality of setting. Child Care Quarterly, 14, 140-150 

  43. Howes C. & Stewart, P. (1987). Child's play with adult, toys, and peers: An examination of family and child-care influences. Developmental Psychology, 23, 423-430 

  44. Kadushin A. & Martin J. (1988). Child Welfare Service. New York : Macmillan Publishing Co, Inc. 

  45. McCartney, K. (1984). Effects of quality of day care environment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0, 244-260 

  46.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7). The effect of infant child care on infant-mother attachment security: Result of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68, 860-879 

  47.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1998). Early child care and self-control, compliance, and problem behavior at twenty-four and thirty-six months. Child Development, 69(4), 1145-1170 

  48. Nl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2000). The Relation of Child Care to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1(4), 960-980 

  49. Phillips, D., McCarney, K., & Scarr, S. (1987). Child-care quality and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Deveiopmental Psychology, 23, 537-543 

  50. Reinsberg, J. (1995). Reflections on quality infant care. Young Children, 50(4), 23-25 

  51. Shore, R. (1997). Rethinking the Brain: New Insights into Early Development: New York: Families and Work Institute 

  52. Vandell, D. Corasaniti, M. (1990). Variations in early child care. Do they predict subsequent social, emotional, and cognitiive differenc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5, 555-572 

  53. Vandell, D. Henderson, V.K., & Wilson, K.S. (1998). A longitudinla study of children with day care experiences of varying quality. Child Developmnet, 59, 1286-1292 

  54. Vandell, D. & Powers, C. (1983). Day care quality and children's free play activities. Amerid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3, 293-3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