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 분자량 약 120 kDa을 농도별로 제조한 후 양념 우육에 첨가하여, 양념 우육의 보존성 및 품질향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균수, 지질 산화도, pH, 색도와 보수력을 측정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균수는 증가하였으며, 키토산을 첨가한 것은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생균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장 10일째 키토산을 전혀 첨가하지 않은 양념 우육은 생균수가 $10^{7}$ cfu/g까지 증가한 것에 비해, 키토산을 0.1%이상 첨가한 양념 우육은 $10^{5}$ cfu/g정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키토산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저장성은 향상되었으며, 키토산을 0.1%이상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저장성이 상당히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BARS의 경우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키토산을 첨가한 경우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TBARS의 함량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키토산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TBARS의 함량은 낮게 측정되었으며, 키토산을 0.5% 첨가하였을 때 산화억제효과가 있었으나,1.0% 첨가 시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산화억제 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양념 우육의 색도 변화를 살펴보면, 키토산을 첨가한 양념 우육은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적색도가 높게 유지되었다. 양념 우육의 보수력은 키토산을 첨가한 양념 우육은 저장 초기 낮게 나타났으나 저장 중 안정되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분자량 약 120 kDa의 키토산을 0.1%이상 양념 우육에 첨가하면 저장성 및 품질유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been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s (0%, 0.05%, 0.1%, 0.5% and 1.0%) of M.W. 120 kDa of chitosan on improvement of shelf-life and quality in the spicy beef meat. The spicy beef meat without chitosan has not shown the extended effect of storage. However, concent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예로 과일(23) 및 달걀의 표면처리를 함으로써 저장성을 향상(24), 두부 제조시 첨가로 단백질의 응고 및 저장성의 향상(25), 김치에 첨가하여 지나친 발효의 억제와 저장성 향상(26-29), 축육 소시지의 보존성 개선(30) 및 항산화 효과(31)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을 양념 우육에 첨가하여저 장성 을 연장시 키고, 기능성을 함유한 양념 우육을 개발하기 위해 천연 보존제로서 키토산의 이용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 분자량 약 120 kDa을 농도별로 제조한 후 양념 우육에 첨가하여 , 양념 우육의 보존성 및 품질향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균수, 지 질 산화도, pH, 색 도와 보수력을 측정하였다. 저장기 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균 수는 증가하였으며, 키토산을 첨가한 것은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 해 생균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Rhoades, J., Roller, S.. Antimicrobial Actions of Degraded and Native Chitosan against Spoilage Organisms in Laboratory Media and Foods.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vol.66, no.1, 80-86.

  2. Sudarshan, N.R., Hoover, D.G., Knorr, D.. Antibacterial action of chitosan. Food biotechnology, vol.6, no.3, 257-272.

  3. Allan, Carolyn R., Hadwiger, Lee A.. The fungicidal effect of chitosan on fungi of varying cell wall composition. Experimental mycology, vol.3, no.3, 285-287.

  4. El Ghaouth, Ahmed, Arul, Joseph, Asselin, Alain, Benhamou, Nicole. Antifungal activity of chitosan on post-harvest pathogens: induction of morphological and cytological alterations in Rhizopus stolonifer. Mycological research, vol.96, no.9, 769-779.

  5. Ikeda, Ikuo., Sugano, Michihiro., Yoshida, Katsuko., Sasaki, Eiji., Iwamoto, Yasushi., Hatano, Kouta.. Effects of chitosan hydrolyzates on lipid absorption and on serum and liver lipid concentration in rat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41, no.3, 431-435.

  6. LEE, Jung Kul, KIM, Soo Un, KIM, Jung Hoe. Modification of Chitosan to Improve Its Hypocholesterolemic Capacity.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vol.63, no.5, 833-839.

  7. Rodrı́guez, M.S., Albertengo, L.A., Agulló, E.. Emulsification capacity of chitosan. Carbohydrate polymers, vol.48, no.3, 271-276.

  8. EL GHAOUTH, AHMED, ARUL, JOSEPH, PONNAMPALAM, RATHY, BOULET, MARCEL. Chitosan Coating Effect on Storability and Quality of Fresh Strawberries. Journal of food science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vol.56, no.6, 1618-1620.

  9. 이현영, 김성미, 김진영, 윤선경, 최정수, 박선미, 안동현. 키토산 첨가에 의한 식빵의 저장성 증진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31, no.3, 445-450.

  10. XUE, Changhu, YU, Guangli, HIRATA, Takashi, TERAO, Junji, LIN, Hong.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everal Marine Polysaccharides Evaluated in a Phosphatidylcholine-liposomal Suspension and Organic Solvents.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vol.62, no.2, 206-209.

  11. WITTE, VERNON C., KRAUSE, GARY F., BAILEY, MILTON E.. A NEW EXTRACTION METHOD FOR DETERMINING 2‐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Journal of food science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vol.35, no.5, 582-585.

  12. Kauffman, R.G., Eikelenboom, G., van der Wal, P.G., Engel, B., Zaar, M.. A comparison of methods to estimate water-holding capacity in post-rigor porcine muscle. Meat science, vol.18, no.4, 307-3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