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신초기 모체의 엽산영양상태와 동 영향인자
Maternal Folate Statu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Early Pregnanc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2, 2004년, pp.331 - 338  

이정아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종임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현숙 (전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임신초기 모체의 엽산영양은 태아의 신경관 손상을 예방하는 측면에서는 물론이고 엽산 필요량이 증가하는 임신후기를 대비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임신초기에 있는 151명의 임신부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식사를 통해 얼마의 엽산을 섭취하는지를 조사하고, 혈청과 적혈구의 엽산 농도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하여 엽산영양상태를 평가하고, 이들의 엽산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조사당시 임신기간은 9.1$\pm$2.3주이었으며, 초산부가 46%이었고 나머지는 경산부이었다. 에너지 및 엽산 섭취량은 각각 1559$\pm$589 ㎉/day 및 230.8$\pm$145.2 $\mu$g/day로 각 권장량의 72.5%및 46.2%로 낮았다 혈청과 적혈구의 엽산 농도는 각각 5.5$\pm$1.9 ng/mL 및 266.6$\pm$75.0 ng/mL으로, 연구 대상자의 7.8%가 혈청 엽산 수준이 3 ng/mL미만인 결핍상태에 해당하였고 60.3%는 경계역(3∼5.9 ng/mL)에 속하였으며, 적혈구 엽산 농도가 l57 ng/mL미만인 결핍상태에는 4.3%가 해 당하였다. 그러나 혈청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정상범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대상자의 엽산영양상태는 비교적 양호하다고 판정되었다. 혈청 엽산 농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유의한 인자는 건강상태점 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 연령 (-), 임신기간(-) 및 엽산 섭취량(+) 순으로 그 영향력이 높았고, 적혈구 엽산 농도의 영향인자는 교육수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 지난번 출산 영아의 출생시 신장(+),연령(-)및 에너지 섭취량(+)이었고,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영향인자는 지난번 출산 영아의 출생시 신장(-), 경제수준(+),혈청 엽산 농도(-)와 임신전 체중(+)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혈장이나 적혈구의 엽산 농도나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하지 않고도, 임신초기에 있는 모체의 엽산영양상태를 개략적으로 판정하는데 있어 주관적으로 평가한 불량한 건강상태, 높은 교육수준 또는 경제수준, 지난번 출산에서 작은 체위의 영아를 출산한 경력, 고연령 또는 엽산이나 에너지섭취량 부족을 위험 인자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임신기간이 진행되었을수록 엽산영양상태가 저하되었을 가능성이 있음도 나타내준다. 앞으로 임신초기 임신부의 엽산영양상태를 어떤 위험인자를 몇 가지나 가졌느냐에 따라 평가하는 연구결과가 나와야 이들 위험 인자의 실용성 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선 이들 위험 인자를 많이 지닌 임신부라면 임신초기부터 엽산 섭취량을 늘리거나 엽산보충제 섭취를 일찍 시작하는 등의 방법으로 엽산영양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late nutrition in early pregnancy is crucial in order to prevent neural tube defects (NTDs) in the fetus and maternal folate deficiency in late pregnancy If the influencing factors on maternal folate status are identified we may be able to detect the women at most risk of folate deficiency.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임신초기 모체의 엽산영양은 태아의 신경관 손상을 예방 하는 측면에서는 물론이고 엽산 필요량이 증가하는 임신후 기를 대비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임신초기에 있는 151명의 임신부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식사를 통해 얼마의 엽산을 섭취하는지를 조사하고, 혈청과 적혈구의 엽산 농도와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하여 엽 산영 양상태를 평 가하고, 이들의 엽산영 양상태 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 자의 조사당시 임신기간은 9.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신초기에 있는 임신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엽산섭취상태를 조사하고, 혈청과 적혈구의 엽산 함 량과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해 이들의 엽산영양상태를 평가하고, 엽산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규 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Wagner C. 1995. Biochemical role of folate in cellular metabolism. In Folate in Health and Disease. Bailey LB, ed. Marcel Dekker, Inc, NY. p 23-42. 

  2. Higgins JR, Quinlivan EP, McPartlin J, Scott JM, Weir DG, Darling MR.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d folate catabolism and the increased requirement for folate in pregnancy. BJOG 107: 1149-1154. 

  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Seoul. 

  4. Friel JK. 1995. Nutritional pattern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neural tube defects in Newfoundland. Am J Med Genetics 55: 195-199. 

  5. Qvist I, Abdulla M, Jagerstad M, Svensson S. 1986. Iron, zinc and folate status during pregnancy and two months after delivery. Acta Obstet Gynecol Scand 65: 15-22. 

  6. Lim HS, Lee JA. 1998. Folate levels of umbilical cord blood and pregnancy outcomes. Korean J Nutr 31: 1263-1269. 

  7. Suarezl L, Hendricksl KA, Cooper SP, Sweeney AM, Hardy RJ, Larsenl RD. 2000. Neural tube defects among Mexican Americans living on the US-Mexico border: Effects of folic acid and dietary folate. J Epidem 152: 1017-1023. 

  8. Houghton LA, Green TJ, Donovan UM, Gibson RS, Stephen AM, O'Connor DL. 1997. Association between dietary fiber intake and folate status of a group of female adolescents. Am J Clin Nutr 66: 1414-1421. 

  9. Koebnick C, Heins UA, Hoffmann I, Dagnelie PC, Leitzmann C. 2001. Folate status during pregnancy in women is improved by long-term high vegetable intake compared with the average Western diet. J Nutr 131: 733-739. 

  10. Ford ES, Bowman BA. 1999. Serum and red blood cell folate concentrations, race and education: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m J Clin Nutr 69: 476-481. 

  11. Ronnenberg AG, Goldman MB, Aitken IW, Xu X. 2000. Anemia and deficiencies of folate and vitamin B6 are common and vary with season in Chinese women of childbearing age. J Nutr 130: 2703-2710. 

  12. Pietarinen GJ, Leichter J, Pratt RF. 1977. Dietary folate intake and concentration of folate in serum and erythrocytes in women using oral contraceptives. Am J Clin Nutr 30: 375-380. 

  13. Friis H, Gomo E, Kastel P, Ndhlovu P, Nyazema N, Krarup H, Kim FM. 2001. HIV and other predictors of serum folate, serum ferritin and hemoglobin in pregnancy: a cross-sectional study in Zimbabwe. Am J Clin Nutr 73: 1066-1073. 

  14. Jablonski NG. 1999. A possible link between neural tube defects and ultraviolet light exposure. Med Hypotheses 52: 581-582. 

  15. Milunsky A, Ulcickas M, Rothman KJ, Willett W, Jick SS, Jick H. 1992. Maternal heat exposure and neural tube defects. JAMA 268: 882-885. 

  16. Bree A, Verschuren WM, Blom HJ, Kromhout D. 2001. Lifestyle factors and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s in a general population. Am J Epidem 154: 150-154. 

  17. Smits LJ, Essed GG. 2001. Short interpregnancy intervals and unfavorable pregnancy outcome: role of folate depletion. Lancet 358: 2074-2077. 

  18. Jin HO, Lim H-S. 2001. Major foods for folate and their folate contents of Korean child-bearing women. Korean J Food Sci & Nutr 30: 152-158. 

  19. Lim H-S, Jin HO, Lee JA. 2000. Dietary intakes and status of folate in Korean women of child-bearing potential. Korean J Nutr 33: 296-303. 

  20. Lim H-S, Lee JI, Lee JA. 1999. Folate status of Korean pregnant women and their pregnancy outcomes - A crosssectional study -. Korean J Nutr 32: 592-597. 

  21. Tamura T. 1990. Microbiological assay of folates. In Folic Acid Metabolism in Health and Disease. Picciano MF, Stokstad ELR, Gregory JF III, eds. Wiley-Liss, NY. p 121-137. 

  22. Vester B, Rasmussen K. 1991.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 for rapid and accurate determination of homocysteine in plasma and serum. Eur J Clin Chem Clin Biochem 29: 549-554. 

  23. Araki A, Sako Y. 1987. Determination of free and total homoocysteine in human plasma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escent detector. J Chromatography 27: 43-52. 

  24. Park JA, Yoon JS. 2001. A screening tool for identifying high-risk pregnant women of Fe deficiency anemia: Process I. Korean J Community Nutr 6: 734-743. 

  25. Kang M, Chang N. 1993. Effect of dietary folate intakes on serum folate levels of pregnant and lactating women. Korean J Nutr 26: 433-442. 

  26. WHO. 1971. Nutritional Anemias. In “Report of a Scientific Group of Experts”. Technical Report Series No. 503, Geneva. 

  27. Lehti KK. 1989. Iron, folic acid and zinc intakes and status of low socio-economic pregnancy and lactating Amazonian women. Euro J Clin Nutr 43: 505-513. 

  28. Chang N, Kang M, Paik HY, Kim IH, Cho YW, Park SC, Shin YW. 1993. Serum foalte and iron levels of pregnant, lactating and non-pregnant, non-lactating women. Korean J Nutr 26: 67-75. 

  29. Brattstrom L. 2000. Homocysteine and cardiovascular disease: cause or effect? Am J Clin Nutr 72: 315-323. 

  30. Andersson A, Brattstrom L, Israelsson B, Isakksson A, Hamfelt A, Hultberg B. 1992. Plasma homocysteine before and after methionine loading with regard to age, gender and menopausal status. Eur J Clin Invest 22: 79-87. 

  31. Nygard O, Nordrehaug JE, Refsum H, Ueland PM, Farstad M, Vollset SE. 1997. Plasma homocysteine levels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N Engl J Med 337: 230-236. 

  32. Dierkes J, Kroesen M, Pietrizik K. 1998. Folic acid and vitamin B6 supplementation and plasma homocysteine concentrations in healthy young women. Int J Vitam Nutr Res 68: 98-103. 

  33. Lee JH. 2001. A study of the status of the meal management behaviours of housewives living in the apartments of Jinju. Korean J Community Nutr 6: 755-764. 

  3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9. '98 National Nutriton Survey Report. Seoul. 

  35. Marchesini G, Manini R, Bianchi G, Sassi S, Natale S, Chierici S, Visani F, Baraldi L, Forlani G, Melchionda N. 2002. Homocysteine and psychological traits: a study in obesity. Nutr 18: 403-4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