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 홍수강우의 공간해석 연구
Spatial Analysis of Flood Rainfall Based on Kriging Technique in Nakdong River Basin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7 no.3, 2004년, pp.233 - 240  

윤강훈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서봉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신현석 (부산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자원 분야에서 대부분의 수문해석은 강우자료의 수집 및 분석으로부터 시작되며, 지점 강우량으로부터의 면적 평균강우량 추정 및 결측치에 대한 자료보완 기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강우분석 기법으로 기존에 사용되어온 티센법 및 RDS법은 전통적인 자료보완 기법으로 매개변수의 특성이 관측소간 거리에만 의존하며, 공간적인 연속성을 가질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통 기법들의 단점을 보완하고 강우의 공간적인 통계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크리깅 기법을 낙동강 유역의 강우해석에 적용하였다. 공간상관 및 반분산 분석으로 낙동강 유역 강우의 지역적인 통계특성을 파악하였으며, 낙동강 유역 격자시스템에 대한 크리깅 분석을 통하여 공간격자 강우량 및 소유역별 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크리깅 기법의 공간추정 오차 분석으로 시강우량에 대한 격자별 내삽오차 및 소유역별 평균오차를 제시하여 낙동강 유역의 강우관측 취약지역을 파악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of hydrological analyses in the field of water resources are launched by gathering and analyzing rainfall data. Several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estimate areal rainfall from point rainfall data and to fill missing or ungaged data. Thiessen and Reciprocal Distance Squared(RDS) methods wh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해석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홍수예경보에서 사용되어온 RDS 및 티센의 전통적인 강우 분석 기법보다는 지형통계학(geostatistics)을 이용한 공간강우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홍수기 낙동강 유역의 공간강우 특성 및 분포에 관하여 해석하고자 하였다. 공간강우량 분석기법으로는 유역 내 강우의 공간적인 통계특성을 반영한 공간함수를 매개변수로 공간 강우량 추정 오차까지 정량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크리깅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기법을 500m 격자기반의 유역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크리깅을 이용한 공간강우 분석기법 및 유역평균강우량 산정기법을제시하였다. 낙동강 유역은 우리나라 제2의 하천유역으로 유역면적이 23, 817 km2, 유로연장이 521.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의 공간강우 분포 특성 및 유역 공간강우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어 그 우수성이 증명된 바 있는 지형통계학적 (geostatistical) 공간분석 기법 중 크리깅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강우량 결측치 보완 및 유역 평균 강우량 산정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크리깅 기법은 공간내삽에 따른 오차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현 강우관측망의 효율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건설교통부 낙동강홍수통제소 (2000). 낙동강홍수예경보 

  2. 건설부 낙동강홍수통제소 (1986). 낙동강홍수예경보 프로그램 개발 최종보고서 

  3. 신현석, 박무종 (1999). '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연평균 강우량의 공간 해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1호, pp. 3-13 

  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1). 면적우량과 강우의 공간변화해석 -면적우량 환산계수를 중심으로- 

  5. Abtew W., Obeysekera J., and Shih G. (1993). 'Spatial analysis for monthly rainfall in south Florida', Water Resource Bulletin, Vol. 29, No. 2, pp. 179-188 

  6. Drozdov, D. A. and A. A. Sephelevskii (1946). 'The theory of interpolation in a stochastic field of meterological elements and its application to meterological maps and network regionalization problems(in Russian).' Trudy NIU GUGMS, Vol. 1, No. 18 

  7. Goovaerts, P. (2000). 'Geostatistical approaches for incorporating elevation into the spatial inter-polation of rainfall.', Journal of Hydrology, Vol. 228, pp. 113-129 

  8. Guillermo Q. Tabios III and Jose D. Salas (1985).' A comparative analysis of techniques for spatial interpolation of precipitation', Water Resources Bulletin, Vol. 21, No. 3, pp. 365-380 

  9. Jose D. Salas, Ricardo A. Smith, Guillermo Q. Tabios, and Jun-Haneng Heo (1994). Statistical computer-techniques in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olorado state university 

  10. Joseph A. Hevesi, Jonathan D. Istok, and Alan L. Flint (1992). 'Precipitation estimation in mountainous terrain using multivariate geostatistics. Part I: Structural analysis', Journal of Applied Meterology, Vol. 31, pp. 661-676 

  11. Lebel, T., G. Bastin, C. Obled, and J. D. Creutin (1987) 'Accuracy of areal rainfall estimation: A case study.',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3, No. 11, pp. 2123-2134 

  12. Matheron, G (1971). The theory of regionalized variables and its applications, Cahiers du Centre de Morphologie Mathematique, Ecole des Mines, Fountainbleau, France 

  13. Thiessen, A. H. (1911), 'Precipitation averages for large areas', Monthly Weather Review, Vol. 39, No. 7, pp. 1082-10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