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특성을 반영한 상세 격자강우량 생산기술 개발
Geo-Spatial Distributed Rainfall Gridding Technology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보고서유형연차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3-12
주관부처 미래창조과학부
KA
사업 관리 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등록번호 TRKO201500000263
DB 구축일자 2015-04-18
키워드 강우량 격자화기법,GIS 맵핑,공간 격자강우량

초록

본 연구는 정확도 높은 유출량의 예측을 위한 지역특성을 반영한 운영 목적의 상세(5km 이하) 격자강우량 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1차년도 연구 수행 결과는 기반기술인 지형-공간 격자변환 기술, 핵심기술인 지역적 강수지표 추출 기술 그리고 적용(응용) 기술인 강수의 지역화 기술이다. 지형-공간 격자 변환 기술 개발의 내용은 기존 격자강우량 생산기법에 대한 조사와 평가, 연구 목표인 격자 강우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우리나라 강수의 공간적 취약성 평가 그리고 이를 토대로 최적의 지형-공간 격자 변환 기술의 개발로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요약문 ... 3
  • 목차 ... 13
  • 표목차 ... 17
  • 그림목차 ... 19
  • 제 1 장 서론 ... 23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23
  • 제 2 장 해외 현황 ... 25
  • 1. 미국 ... 25
  • 1.1 지상 관측소 네트워크 ... 28
  • 1.2 지상 데이터(Ground-Based Rader) 네트워크 ... 30
  • 제3장 격자화 방법 ... 37
  • 1. 지상학적 특성과 대기 조건을 고려하지 않는 방법 ... 38
  • 1.1 크리깅(Krifing) ... 39
  • 2. 지상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합성하는 방법 ... 43
  • 제4장 공간적 다운스케일링 ... 45
  • 1. 내삽 방법 ... 46
  • 2. 통계적 다운스케일링 방법 ... 47
  • 2.1 공간 분해(Spatial Disaggregation) ... 47
  • 2.2 편의 보정과 공간 분해(BDSD) ... 48
  • 2.3 회귀(regression) 방법 ... 49
  • 3. 동적 다운스케일링 방법 ... 50
  • 제 5장 공간 상세화 기법 평가 ... 53
  • 1. 공간 강수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공간상세화 방법 ... 54
  • 1.1 서론 ... 54
  • 1.2 분석 자료 및 대상 유역 ... 56
  • 1.3 분석 방법 ... 59
  • 2. 공간 강수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공간상세화 방법 평가 ... 63
  • 2.1 지역별 강수량 동질성 분석 ... 63
  • 2.2 중권역별 면적평균 연강우량 비교 ... 67
  • 2.3 내삽방법 간 면적평균 연강수량 편차 비교 ... 71
  • 2.4 주요호우 사상에 대한 중권역별 면적평균 강수량 비교 ... 80
  • 2.5 주요호우 사상에 대한 제주지역 중권역의 면적평균 강수량 비교 ... 89
  • 3. 결과 및 고찰 ... 91
  • 4. 소론 ... 95
  • 제 6장 최적 강수격자 크기 및 관측소 밀도 ... 99
  • 1. 서론 ... 99
  • 2. 대상 지역 및 자료 선정 ... 101
  • 3. 최적 강수격자크기 및 관측소밀도 평가 ... 103
  • 3.1 내삽 방법 ... 103
  • 3.2 격자크기에 따른 강수량의 공간 재현성능 비교 ... 103
  • 3.3 관측소 밀도에 따른 강수량의 공간 재현성능 비교 ... 104
  • 4. 결과 및 고찰 ... 125
  • 5. 소론 ... 131
  • 제 7장 강수량 관측망의 지역별 취약성 ... 133
  • 1. 서론 ... 133
  • 2. 자료 특성 ... 135
  • 3. 강수량 관측망의 지역별 정략적 취약성 평가 ... 137
  • 3.1 내삽 방법 ... 137
  • 3.2 도식적 분석 ... 137
  • 3.3 정량적 분석 ... 145
  • 3.4 지역적 강수특성의 발현 원인 분석 ... 150
  • 4. 결과 및 고찰 ... 156
  • 5. 소론 ... 159
  • 제 8 장 지상학적 방법의 적용성 ... 163
  • 1. 서론 ... 163
  • 2. 자료특성 ... 166
  • 3. 지상학적 방법의 적용성 평가 ... 168
  • 3.1 내삽 방법 ... 168
  • 3.2 GRD(A) 대비 GRD(P)의 편차 비교 ... 168
  • 3.3 PRISM 자료의 지역별 상세화 성능 분석 ... 173
  • 4. 고찰 및 소론 ... 179
  • 제 9장 공간가중회귀분석을 활용한 일강수량 공간 상세화 ... 181
  • 1. 서론 ... 181
  • 2. 공간가중회귀(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모형 ... 182
  • 3. 이론 유역 및 호우에 대한 공간가중회귀 모형의 적용 ... 184
  • 4. 실제 호우사상에의 적용 ... 186
  • 4.1 적용자료 ... 186
  • 4.2 공간가중회귀 모형을 이용한 일강우량의 공간 상세화 ... 188
  • 4.3 유역평균강우량의 산정 및 결과 검증 ... 190
  • 5. 소론 ... 215
  • 제 10 장 공간 상세화를 위한 원격탐사 자료의 활용 ... 217
  • 1.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지상강우계 결측치 보정 ... 217
  • 2.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공간 강우 추정 ... 217
  • 2.1 레이더자료와 강우계자료의 지구통계학적 조합 ... 222
  • 2.2 공간 보정기법의 제안 및 검토 ... 224
  • 3. 인공위성 강수량과 상세화 기법을 통한 공간 상세화 ... 228
  • 3.1 연구 지역 및 자료 ... 231
  • 3.2 연구 방법 ... 235
  • 3.3 연구 결과 및 토의 ... 240
  • 4. 소 론 ... 246
  • 제11장 시ㆍ공간 베이지안 모델링 기법 ... 247
  • 1. 서론 ... 247
  • 2. 시ㆍ공간(Spatio-Temporal) 모형 ... 250
  • 2.1 전제 ... 250
  • 2.2 GP 모형 개요 ... 252
  • 2.3 AR 모형 개요 ... 252
  • 2.4 GPP 기반 시ㆍ공간 모형 ... 253
  • 2.5 사전 분포 ... 254
  • 2.6 모형 적합 ... 255
  • 2.7 예측 ... 256
  • 3. 시ㆍ공간 모형의 주요 함수 ... 257
  • 3.1 spT.Gibbs ... 257
  • 3.2 예측 ... 259
  • 3.3 기타 함수몰 ... 259
  • 4. 모의 자료의 적용 ... 262
  • 4.1 결과 ... 263
  • 5. 실측 자료의 적용 ... 264
  • 6. 소론 ... 270
  • 제 12 장 부분 가중 회귀법 ... 271
  • 1. 부분 가중 회귀법(LOESS) ... 271
  • 1.1 LOESS 회귀 분석 ... 271
  • 2. 적용성 검정 ... 274
  • 제 13 장 결 론 ... 279
  • 제 14 장 활용방안 및 차년도 추진전략 ... 287
  • 부록 참고문헌 ... 291
  • 서지자료 ... 303
  • 끝페이지 ... 305

표/그림 (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