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젊은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연속성 결정요인
Factors That Decide the Job Continuity of Young Mother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2 no.3, 2004년, pp.91 - 104  

김지경 (한국노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critical factors that decide the job continuity of married women after one of their life events, childbirth. It is based on the employment data from KLIPS(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Vols. 1-4, having observed 128 young mothers who gave birth to children after 1997.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기혼여성의 인력 활용방안을 연구하는데 있어 출산이라는 생애 사건 을 중심으로 한 미시분석의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그러나 최근 4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누적된 패 널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전체 기혼여성이 아닌, 1997 년 이후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만으로 분석대상이 젊은 기혼여성으로 매우 제한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8년 이후 현재까지 조사 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노동패널(KLIPS: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자료를 사용하여 출 산 시기를 중심으로 한 기혼여성들의 취업 연속성 결정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는 기혼여성들이 연속적인 취업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들을 확립하는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8년 이후 현재까지 조사 가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노동패널(KLIPS: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자료를 사용하여 출 산 시기를 중심으로 한 기혼여성들의 취업 연속성 결정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는 기혼여성들이 연속적인 취업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들을 확립하는데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영옥(1998). 여성취업력의 동태적인 변화 분석. 한국여성개발원 

  2. 김지경, 조유현(2001).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2), 15-24 

  3. 박수미(2002).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 . 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적 영향. 한국사회학, 36(2), 145-174 

  4. 서지원, 이기영(1997). 사무직 기혼여성의 출산 후 취업 지속 결정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2), 99-109 

  5. 성지미,차은영(2000). 세대간 동거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제2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논문집. 62-83 

  6. 심경옥(1984).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요인 분석:한국의 실증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여성연구, 2(2), 72-100 

  7. 여정성(1994). 기혼여성의 취업과 자녀출산에 대한 경제학적 접근. 대한가정학회지, 32(3), 71-83 

  8. 이재열(1996). 여성의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의 상호연관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인구학, 19(1), 5-44 

  9. 장지연, 김지경(2001). 양육형태와 비용이 기혼여성의 취업단절에 미치는 영향. 제3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365-388 

  10. 한국노동연구원(2002). KLIPS(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User's Guide. 

  11. Barrow, L. (1999). An Analysis of Women's Return-To-Work Decisions Following First Birth. Economic Inquiry, 37-3, 432-451 

  12. Blau, D.& Robins, P. (1989). Fertility, Employment, and child-Care Costs. Demography, 26, 287-299 

  13. Chang, Jiyeun (1997). Labor Force Withdrawal and Entry Surrounding First Childbirth of Married Women.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14. Connelly, R. (1992). The Effect of Child Care Costs on Marrie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74, 83-90 

  15. Desai, S. & Waite, L. (1991). Women's Employment During Pregnancy and After the First Birth :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work Commit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6, 551-566 

  16. Dex, S., Joshi H., & Macran, S., McCulloch, A. (1998). Women's Employment Transitions Around Child Bearing. Oxford Bulletin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0-1, 79-98 

  17. Felmlee, D. (1984a). A Dynamic Analysis of Women's Employment Exits. Demography, 21, 171-183 

  18. Felmlee, D. (1984b), A Dynamic of Women's Job Mobility. Work and Occupations, 11, 259-281 

  19. Hakim, C. (1996). Key Issues in Women's Work: Female heterogeneity and the polarisation of women's employment. London: Athlone. 

  20. Heckman, J. (1974). Shadow Prices, Market Wage and Labor Supply. Econometrica, 42, 679-694 

  21. Klerman, J. A & Leibowitz, A. (1990). Child Care and Women's Return to Work After Childbirth. American Economics Review, 80-2, 284-290 

  22. Leibowiz, A., Klerman, J., & Waite, L. (1991). Employment of New Mothers and Child Care choice : Differences by childern's age. Journal of Human Resources, 27, 112-134 

  23. Lehrer, E. Nerlove, M. (1981). The Labor Supply and Fertility Behavior of Married Women. Research in Population Economics, 3, 123-145 

  24. Mason, K. O. & Kohlthau, K. (1992). The Perceived Impact of Child Care Costs on Women's Labor Supply and Fertility. Demography, 29, 523-543 

  25. Phang, Hanam (1994). A Dynamic Study of Young Women's Labor Market Transitions over the Early Life Course : Cohort Trends, Racial Differential, and Determinants. Ph.D.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26. Wenk, D. & Garrett, P. (1992). Having a baby: Some Predictions of Maternal Employment Around Childbirth. Gender and society, 6-1, 49-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