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의 경력단절 기간별 생애사건 효과분석
The Life Course Events and the Career Interruption among Korean Women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34 no.1, 2011년, pp.53 - 72  

민현주 (경기대학교 대학원(수원) 직업학과)

초록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경력단절기간을 생애주기사건과 노동시장조건의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2009년 여성부의 의뢰를 받아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수집한 "경력단절여성 재취업실태조사" 자료와 다항로짓 방법론을 이용하여, 경력단절여성들의 단절기간을 단기, 중기, 중장기, 그리고 장기로 분류하여 인구학적 변인, 인적자원수준, 생애주기사건, 그리고 노동시장조건이 경력단절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재취업의 조건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적성과 육아병행에 적합한 일자리 확보를 지적하였다. 또한 여성의 연령이 낮을수록, 인적자원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노동시장에서의 임금수준이 높을수록 여성들은 장기간 경력단절(60개월 이상)보다는 단기(12개월 미만)의 경력단절을 경험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자녀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자녀양육으로 인해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이 차별로 인해 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에 비해 재취업시기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기나 초등학교 연령의 자녀를 둔 여성들은 장기적인 경력단절을 경험할 확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여성근로자들의 지속적인 노동시장 참여를 위해서 일가족양립의 제도와 문화조성이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동시에, 자녀양육 이외의 차별적 경험이 장기간의 경력단절을 이끄는 요인으로 나타난 바, 이에 대한 개선정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life course events and labor market conditions on the duration of career interruption among Korean women. The data were drawn from 'A Survey on the Women's Employment Interruption in Korea'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Gender Equality in 2009(currently the 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의 재취업까지의 기간을 ① 단기(12월 미만) ② 중기(12-36개월) ③ 중장기(36-60개월) 그리고 ④ 장기(60개월 이상)로 분류하여 각 경력단절 기간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의 효과를 밝혀내고자 한다. 가족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인구학적 특성, 인적자원 변인, 그리고 노동시장경험 관련 변인들을 통제하여 각 변인들이 여성들의 재취업 시기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임신이나 출산을 전후로 노동시장을 이탈한 여성들의 경우, 경력단절 기간은 이들 여성을 대신하여 자녀를 돌볼 수 있는 도우미나 기관에의 접근가능성 및 그 질적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분석에서는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의 노동시장 재진입시기에 가장 어린자녀의 연령효과를 분석한다. 노동시장 재진입 당시 돌보고 있는 자녀들 중에서 가장 어린 자녀의 연령대를 다음과 같이 4집단으로 구분하였다: ① 만3세 미만, ② 만3세-만8세 미만, ③ 만8세-만14세 미만, ④ 만 14세 이상.
  • 즉, 고학력 여성들의 경우, 자신들의 교육수준이나 경력단절 당시의 일자리에 상응하는 직종 및 근로조건이 주어졌을 때 적극적으로 재취업을 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재취업을 포기하거나 늦출 수 있다는 점이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력단절 여성들의 재취업 시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노동시장 요인으로서 노동시장 복귀 후 첫 일자리의 임금수준의 효과를 분석한다.
  • 따라서 단기 단절집단의 특성과 장기 단절집단의 특성을 비교하고, 집단결정요인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력단절기간을 단기, 중기, 중장기, 그리고 장기로 분류하여 경력단절 기간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결혼과 출산을 즈음하여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의 노동시장 이탈시기와 노동시장으로의 재진입시기의 경험의 특성 및 결정요인을 생애주기사건의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여성의 경력단절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70%이상의 여성경제활동참가율을 보이는 서구선진국에서도 여성노동 분야의 주요한 연구주제이며, 경력단절시기와 기간, 그리고 단절 후 재취업시 근로조건에 연구의 주된 관심이 주어지고 있다.
  • 본 연구는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노동시장이탈 당시의 일자리 특성, 인적자원 수준과 생애사건이 노동시장 이탈 이후부터 재취업까지의 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들의 경력단절이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특히 학력수준별로 재취업여부 및 재취업까지의 기간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생애사건과 직업특성, 그리고 교육수준이 경력단절 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둔다.
  • 본 연구는 또한 경력단절 이후 첫 일자리의 임금수준이 경력단절 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앞서 논의하였듯이, 경력단절 여성들의 재취업시기에 미치는 요인들은 크게 개인적 의지와 노동시장 조건으로 구분할 수 있다.
  • 경력단절이 근로자들의 생애임을 포함하여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논의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경력단절 기간을 직접 분석한 연구는 아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 못하다. 본 연구는 생애주기에 걸친 여성들의 경력단절 경험 및 그 기간에 미치는 개인적 수준 및 노동시장 수준 요인들의 효과를 파악하고, 여성들의 경력단절을 예방하는 것과 아울러 경력단절을 극복하고 재취업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논의되었듯이, 경력단절 기간이 이후 근로자들의 노동시장 성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생애주기사건으로 인한 노동시장 이탈(예, 결혼, 출산, 자녀양육으로 인한 이탈), 인적자원 수준, 그리고 인구학적 변인들이 여성들의 경력단절 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아울러 경력단절 이후 재진입한 첫 일자리에서의 임금수준의 효과를 분석한다.
  • 본 연구는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의 노동시장이탈 당시의 일자리 특성, 인적자원 수준과 생애사건이 노동시장 이탈 이후부터 재취업까지의 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들의 경력단절이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특히 학력수준별로 재취업여부 및 재취업까지의 기간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생애사건과 직업특성, 그리고 교육수준이 경력단절 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둔다.
  • 두 번째 조사 집단은 여성부에서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원하고 있는 ‘새로 일하기 센터’를 통해서 직업훈련을 경험하고 취업을 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들 두 조사대상들 중에서 첫 번째 집단인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에 취업하고 있는 여성들의 경력단절 당시 일자리 특성 및 퇴직 사유가 이후 재취업한 첫 번째 일자리까지의 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1).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경력단절 기간 - 단기(12개월 미만), 중기(12-36개월 미만), 중장기(36-60개월 미만), 장기(60개월 이상) - 에 미치는 인구학적 요인, 인적자원 요인, 노동시장 조건, 그리고 생애주기 사건 등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선, 인적자원 수준과 재진입 당시 월평균 임금수준은 중장기 또는 장기적인 경력단절로 이끌기 보다는 12개월 미만의 단기간의 노동시장 이탈을 경험할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경력단절을 경험한 여성들의 재취업까지의 기간을 ① 단기(12월 미만) ② 중기(12-36개월) ③ 중장기(36-60개월) 그리고 ④ 장기(60개월 이상)로 분류하여 각 경력단절 기간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의 효과를 밝혀내고자 한다. 가족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인구학적 특성, 인적자원 변인, 그리고 노동시장경험 관련 변인들을 통제하여 각 변인들이 여성들의 재취업 시기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셋째, 본 연구는 경력단절 당시 결혼, 출산, 자녀양육 등의 이탈사유가 노동시장 재진입시기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다. 경력단절 당시 일자리를 그만 둔 사유는 크게 가사 및 자녀양육의 문제와 일자리의 질적 수준에 대한 문제로 구분 되고 있다.

가설 설정

  • 경력단절 기간별 집단 중에서 가장 짧은 단절 기간인 12개월 미만 경력단절 경험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각 독립변인들이 준거집단에 비해 나머지 3집단에 속할 상대적 확률을 분석적으로 검토한다. 다항로짓모델은 종속변수의 각 응답범주의 로그승산(log-odds)이 선형모델(linear model)을 따른다는 것을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여성들의 경제활동참가율을 10년간 살펴본 결과 어떠한 것으로 나타나는가?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여성들의 경제활동참가율의 변화추이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청년층(25-29세)여성들의 노동시장 진출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으나 30세 초반부터 중반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가는 여전히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원자료 분석결과에 따르면, 1998년에 25-29세 여성인구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1.
여성들의 노동시장참여율이 증가함에도 어떤 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가? 여성들의 노동시장참여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여성근로자들은 남성근로자들보다 빨리 노동시장을 이탈하며 잦은 진입과 이탈을 반복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최근 서구의 여성들이, 특히 미취학 자녀를 둔 여성들이 보다 연속적인 노동시장 참여형태를 보이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 여성들은 여전히 결혼과 출산, 그리고 자녀양육 시기 동안에는 노동시장을 이탈하고 있다.
고학력 여성들이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일자리에는 재취업하는 경향을 통해 어떤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보이는가? 특히 고학력 여성들은 자녀양육으로 인해 경력단절을 경험했을지라도 육아를 병행할 수 있는 일자리에는 단기간의 단절이후 재취업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임금수준에 의해 더욱 탄력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일가족양립을 실천할 수 있는 사회환경조성과 기업문화에 대한 강조 및 근로제도의 개선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여성들이 인적자원 수준에 상응하는 일자리로 진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일자리 개발도 경력단절 여성들의 재취업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과제로 지적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지경 (2004) "젊은 기혼여성의 출산 후 경력연속성 결정요인" > 42(3): 91-104. 

  2. 민현주 (2007) "엄마의 취업과 자녀터울에 관한 동태적 분석" > 41(3): 106-126. 

  3. 민현주 (2008) "여성취업의 두 갈래길: 상위와 하위수준 일자리 진입결정요인을 중심으로" > 78(2): 222-254. 

  4. 박경숙.김영혜 (2003) "한국여성의 생애유형: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 26(2): 63-90. 

  5. 박수미 (2003) "한국여성들의 두 번째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종단적 연구" > 19(1): 43-80. 

  6. 오은진.민현주.임희정 (2009) > 여성부. 

  7. 오은진.민현주.김지현 (2009) "교육수준에 따른 여성의 노동시장 이행 실태와 취업선택 결정요인" > 12(1): 141-162. 

  8. 조혜선 (2002) "기혼여성의 고용형태 결정요인" > 36(1): 145-169. 

  9. Becker, G. S. (1991a) "Human Capital, Effort, and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in A Treatise on the Family, edited by Gary S. Becker,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0. Becker, G. S (1991b)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1. Bielby, W. T. and Baron, J. (1986) "Sex Segregation Within Occupation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76(2): 43-47. 

  12. Brewster, K. L. and Rindfuss, R. (2000) "Fertility and Women's Employment in Industrialized Nations" Annual Review of Sociology 26: 271-96. 

  13. Brinton, M. C. (2001) "Married Women's Labor in East Asian Economics" pp. 1-37 in Women's Working Lives in East Asia, edited by Mary C. Brinton,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14. Desai, S. and Waite, L. (1991) "Women's Employment During Pregnancy and After the First Birth: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Work Commit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6(4): 551-566. 

  15. Felmlee, D. H. (1995) "Causes and Consequences of Women's Employment Discontinuity" Work and Occupations 22(2): 167-87. 

  16. Floge, L. and Merrill, D. M. (1986) "Tokenism Reconsidered: Male Nurses and Female Physicians in a Hospital Setting" Social Forces 64(4): 925-947. 

  17. Glass, J. L. (1988) "Job Quits and Job Changes: The Effects of Young Women's Work Conditions and Family Factors" Gender and Society 2(2): 228-240. 

  18. Glass, J. L. and Camarigg, V. (1992) "Gender, Parenthood, and Job-Family Comparabilit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8(1): 131-151. 

  19. Glass, J. L. and Riley, L. (1998) "Family Responsive Policies and Employee Retention Following Childbirth" Social Forces 76(4): 401-35. 

  20. Klerman, Jacob Alex. and Arleen Leibowitz. (1999.) "Job Continuity among New Mothers" Demography 36(2): 145-155. 

  21. Lee, Y. J. and Hirata, S. (2001) "Women, Work, and Marriage in Three East Asian Labor Markets: The Cases of Taiwan, Japan, and South Korea" pp. 96-124 in Women's Working Lives in East Asia, edited by Mary C. Brinton, Stanford, CA: Stanford. 

  22. Lee, Y, Parish, W. and Brinton, M. C. (1995) "Married Women's Employment in Rapidly Industrializing Societies: Examples from East Asia"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0(5): 1099-1130. 

  23. Lee, S. H. (2001) "Women's Education, Work, and Marriage in South Korea" pp. 204-232 in Women's Working Lives in East Asia, edited by Mary C. Brinton.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24. Oppenheimer, V. K. (1997) "Women's Employment and the Gain to Marriage: The Specialization and Trading Model" Annual Review of Sociology 23: 431-453. 

  25. Polachek, S. W. (1981) "Occupational Self-Selection: A Human Capital Approach to Sex Differences in Occupational Structure"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63(1): 60-69. 

  26. Polachek, S. W. (1985) "Occupational Segregation: A Defense of Human Capital Predictions" Journal of Human Resources 20(3): 437-40. 

  27. Reskin, B. F. (1991) "Labor Markets as Queues: A Structural Approach to Changing Occupational Sex Composition" pp. 170-192 in Micro-macro Linkages in Sociology, edited by Joan Huber: Sage Publications. 

  28. Rosenfeld, R. A. (1996) "Women's Work Historie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2(1): 199-22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