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자반 분획물의 in vitro에서의 항발암효과
Anticarcinogenic Effects of Sargassum fulvellum Fractions on Several Human Cancer Cell Lines in vitro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3, 2004년, pp.480 - 486  

배송자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용 해조류의 일종인 모자반을 추출, 분획 하여 in vitro에서의 항발암효과를 실험하였다. 모자반을 추출, 분획하여 3종의 암세포주(HepG2, HT-29, HeLa)를 이용하여 암세포 독성 효과를 본 결과, 모자반의 ethylether 분획층(SFMEE)과 ethylacetate분획층(SFMEA)에서 3종의 사용 암세포주인 HepG2, HT29 및 HeLa 모두 아주 높은 cytotoxicity를 보였으며, HT29와 HeLa에서는 mathanol 추출물(SFM)과 hexane 분획층(SFMH)에서도 유의적인 암세포 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정상세포인 liver세포는 모자반의 모든 용매 분획층에서 암세포 독성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3종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 실험에서 전반적으로 SFMEE층과 EFMEA층에 월등히 높은 암세포 독성 물질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인체 간암세포주인 HepG2를 이용하여 QR 효소 유도 활성 여부를 측정한 결과 SFMEE층은 아주 낮은 초기 첨가 농도인 25 $\mu\textrm{g}$/mL에서, 대조군에 비해 이미 2.89배의 높은 QR 유도 활성 효과를 보였고, SFMH층은 농도의존적으로 그 효과가 증가하여 최종 농도인 100 $\mu\textrm{g}$/mL에서 2.50배의 QR 유도 활성효과를 나타내었다. 모자반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실험 하였으며 모자반의 메탄을 추출물의 DPPH 소거능 결과는 대조군인 항산화제인 BHT와 Vit C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 모자반은 메탄올 추출물속에 DPPH소거능을 가진 물질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 결과는 모자반의 in vitro 항발암활성을 설명하는데 그 기초배경이 될 수 있다. 본 실험 결과를 종합 검토해 보면 모자반 추출물과 용매별 각 분획 층에서의 암세포 독성 효과는 주로 비극성 분획층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QR유도 활성 효과도 비극성 분획층인 SFMEE층과 SFMH층에서 나타났다. 특히 SFMEE층은 적은 농도에서 암세포 독성 효과, QR 유도 활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연구결과에 대한 단계적인 물질의 분리 동정이 이루어져 SFMEE층에서의 유용한 생리활성물질 개발이 기대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many therapeutic adva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in carcinogenesis, overall mortality statistics are unlikely to change until there is reorientation of the concepts for the use of natural products as new anticarcinogenic ag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rcino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 식용으로만 사용되어온 해조류의 성분 분석, 항산화력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되어 있으나 해조류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 효과나 암 예방 효과 등의 항 발암효과 연구는 아직 연구가 미비한 상태이므로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바다의 우수 식용 자원인 모자반의 in 房Ztp에서 의 암세포 주에 대한 암세포 독 성효과, QR 유도 암예방효과 및 DPPH 소거 기능 등을 측정해 보았다.
  • 이와 같은 결과는 Park 등(25)이 식용해 조류를 이용하여 항산화력을 측정한 연구에서와같이 methanol 분획 층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는 결과와 유사하다. 즉 이와 같은 결과는 methanol과 같은 극성 용매(SFMM)에서 분리된 시료에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Ramos 등(26)의 실험 결과에서도 일치하며 DPPH소거능 측정은 DNA 손상을 억제하는 활성 물질이 in u泊'o에서의 항 발암 효과와의 연계가 있음을 다시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계속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이 해조류는 항 혈 액응고 활성을 가진 fucoidan을 함 유하고 있으며 혈액 응고를 저지하는 thrombin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식용으로만 사용되어온 해조류의 성분 분석, 항산화력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되어 있으나 해조류의 암세포에 대한 독성 효과나 암 예방 효과 등의 항 발암효과 연구는 아직 연구가 미비한 상태이므로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바다의 우수 식용 자원인 모자반의 in 房Ztp에서 의 암세포 주에 대한 암세포 독 성효과, QR 유도 암예방효과 및 DPPH 소거 기능 등을 측정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tavric B. 1994. Role of chemopreventers in human diet. Clin Biochem 27: 319-325. 

  2. Reddy L, Odhav B, Bhoola KD. 2003. Natural products for cancer prevention: a global perspective. Pharmacology & Therapeutics 99: 1-13. 

  3. Doll R, Peto R. 1981. The cause of cancer. Quantitative estimates of avail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J Natl Cancer Inst 66: 1192-1308. 

  4. Sharma S, Stutzman JD, Kelloff GJ, Steele VE. 1994. Screening of potential chemopreventive agents using biochemical markers of carcinogenesis. Cancer Res 54: 5848-5855. 

  5. Schwartsmann G, Rocha AB, Berlinck GS, Jimeno J. 2001. Marine organisms as a souce of new anticancer agents. Oncology 2: 221-225. 

  6. Krinsky NI. 1991. Effects of carotenoids in celluar and animal systems. Am J Clin Nutr 53: 238S-246S. 

  7. Dunlap WC, YAmamoto Y. 1995. Small-molecule antioxidants in marine organism: antioxidant activity of mycosporine-glycine. Comp Biochem Physiol 112B: 105-114. 

  8. Ryu BH, Kim DS, Cho KJ, Sin DB. 1989. Antitumor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595-600. 

  9. Park YB, Kim IS, Yoo SJ, Ahn JK, Lee TG, Park DC, Kim SB. 1998. Elucidation of anti-tumor initiator and promoter derived from seaweed-2: investigation of seaweed extracts suppressing mutagenic activity of PhIP and MeIQx. J Korean Fish Soc 31: 581-586. 

  10. Talalay P, Benson AM. 1982. Elvation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by anticarcinogenic antioxidants. Advances in Enzyme Regulation 20: 287-300. 

  11. Wefers H, Komai T, Talalay P, Sies H. 1984. Protection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by NAD(P)H: quinone reductase induced by the dietary antioxidant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Federation of European Biochemical Societies 169: 63-66. 

  12. Steinkellner HS, Rabot C, Freywald E, Nobis G, Scharf M, Chabicovsky S, Knasm?ller, F. Kassie. 2001. Effects of crucifrous vegetable and their constituents on drug metabolizing enzymes involved in the bioactivation of DNAreactive dietary carcinogens. Mutation Research 481: 285-297. 

  13. Shon H YH, Nam K. 2001. Antimutagenicity and induction of anticarcinogenic phase II enzymes by basidiomycetes. J Ethnopharmacology 77: 103-109. 

  14. Shim SM, Kim MH, Bae SJ. 2001. Cytotoxicity and quinone reductase induced effects of Daucus carota L. leaf extracts on human cancer cel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6-91 

  15. Bae SJ. 2002. The effects of anticarcinogenic activity of Solanum uberosum peel frac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905-909. 

  16. Lee BH, Choi BW, Chun JH, Yu BS. 1996. Extraction of water soluble antioxidants from seaweeds. J Korean Ind Eng Chemistry 7: 1069-1077. 

  17. Ryu BH, Kim DS, Cho KJ, Sin DB. 1989. Antitumor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595-600. 

  18. Koo JG, Jo KS, Do JR, Park JH, Yang CB. 1995. Chemical properties of fucoidans from hizikia fusiformis and Sargassum fulvellum. J Korean Fish Soc 28: 659-666. 

  19. Nishino T, Yokoyama G, Dobashi K, Fujihara M, Nagumo T. 1989.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ucose-containing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the brown sea, Ecklonia kurome and their blood-anticoagulant activities. Carbohydr Res 186: 119-129. 

  20. Carmichael J, De Graff WG, Gazder AF, Minna JD, Mitchell JB. 1987. Evalu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21. Prochaska HJ, Santamaria AB. 1988. Direct measurement of NAD(P)H: Quinone reductase from cells cultured in microtiter wells: A screening assay for anticarcinogenic enzyme in ducers. Anal Biochem 169: 328-336. 

  22. Park HJ. 1998.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nd its regulatory mechanism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by Scutellaria baicalensis. PhD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3. Jung MJ, Chung HY, Kang SS, Choi JH, Bae KS, Choi JS. 2003.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stem bark of Albizzia julibrissin. Arch Pharm Res 26: 458-462. 

  24. Shim SM, Choi SW, Bae SJ. 2001. Effets of Punica granatum L. Fraction on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nd growth inhibition on several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0-85. 

  25. Park JH, Kang KC, Baek SB, Lee YH, Rhee KS. 1991. Separation of antioxidant compounds from edible marine alga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56-261. 

  26. Ramos A, Visozo A, Piloto J, Garcia A, Rodriguez CA, Rivero R. 2003. Screening of antimutagenicity via antioxidnat activity in Cuban medicinal plants. J Ethnopharmacology 87: 241-2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