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의 체중분포별 식사요법 실행 및 자료의 활용 실태
A Study on Using of Materials and Compliance of Diet Therapy by Distribution of Body Weight in Diabetic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3, 2004년, pp.533 - 541  

한지숙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지혜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들의 체중분포별 식사요법 이행 및 자료의 활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 해 부산 지역에 있는 보건소 및 종합병원을 방문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체중분포는 BMI법에 의해 저체중군, 정상체중군, 과체중군, 비만군으로 나누었으며 저체중군이 18.5%, 정상체중군이 51.5%, 과체중군이 16.9%, 비만군이 13.1%이었다. 유병기간은 59.2%가5년 미만이었고, 당뇨 관리 기간중 체중이 감소한 환자가 62.3%, 당뇨병으로 입원한 경험이 있는 환자는 35.4%, 합병증이 있는 환자는 38.5%를 차지했다. 체중분포별로 식사요법 지식 정도를 살펴 본 결과 각 항목의 총점에서 비만군 및 과체중군이 낮았으며 특히 하루 열량 필요량과 식품교환표에 관한 항목의 지식정도가 낮았다. 식사요법 실천 정도 역시 비만군 및 과체중군이 낮았으며 특히 외식시 실천정도가 가장 낮아서 외식시 식사요법 실천 방안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였다. 당뇨병 환자들의 대부분은 식사요법 자료를 전문인을 통해 얻었고 식사요법이 중요하다고 인식은 하고 있었으나, 실행하는데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앞으로는 환자들에게 식사요법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아울러 실천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식사요법 자료의 활용은 저 체중군이 50.0%, 정상체중군이 41.8%, 과체중군이 22.7%, 비만군이 35.3%이었으며, 식품교환표를 이용하여 식사요법을 실천하는 환자는 더욱 적었다. 식사요법 자료에서 당뇨병 환자들이 이해하기 힘든 내용은 식품교환표, 실제 섭취할 식품의 양, 끼니별 교환단위수 배분, 1일 총 열량 계산법 등이었으며, 가장 필요로 하는 내용은 식단작성방법, 식품 선택시 유의사항, 외식시 메뉴 선택방법 등이었다. 이처럼 당뇨병 환자들은 식사요법 지식이나 실천정도, 자료의 활용실태, 필요로 하는 내용 등이 체중분포에 따라 각기 달랐기에, 앞으로 당뇨병 프로그램을 만들 때 이들이 필요로 하는 내용,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내용 등을 충분히 고려한 후 당뇨병 환자들의 체중분포별로 쉽고 체계적인 교육자료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sing of diet therapy materials and the compliance of diet therapy by distribution of body weight in diabetic patients. The percentage of diabetic patients who was distributed by BMI was 18.5% in under weight group, 51.5% in normal weight group, 16.9%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비만형 당뇨 환자 빈도가 서구에 비해 적은 점을 고려하여 당뇨병 환자를 BMI 법에 의해 저 체 중군, 정상 체 중군, 과체중군, 비 만군으로 분류한 후 당뇨병 환자들이 체중분포 별로 식사요법에 대한 지식 정도는 어 떠하며 식사요법을 얼마나 잘 실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이 식사요법을 실천하는데 참고하는 자료들의 정보원과 그 자료들의 활용실태는 어 떠 하며 자료에서 가장 이해호卜기 어려운 내용과 가장 필요로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조사해 밝힘으로서 당뇨병 환자들의 비만도에 따른 쉽고 체계적인 영양교육 자료를 만드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비만형 당뇨 환자 빈도가 서구에 비해 적은 점을 고려하여 당뇨병 환자를 BMI 법에 의해 저 체 중군, 정상 체 중군, 과체중군, 비 만군으로 분류한 후 당뇨병 환자들이 체중분포 별로 식사요법에 대한 지식 정도는 어 떠하며 식사요법을 얼마나 잘 실천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당뇨병 환자들이 식사요법을 실천하는데 참고하는 자료들의 정보원과 그 자료들의 활용실태는 어 떠 하며 자료에서 가장 이해호卜기 어려운 내용과 가장 필요로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조사해 밝힘으로서 당뇨병 환자들의 비만도에 따른 쉽고 체계적인 영양교육 자료를 만드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식사요법 자료 출처, 활용 및 요구도 : 당뇨병.환자들이 이용하는 식사요법 자료의 출처, 식사요법 자료를 활용하는지의 여부 및 식사요법 자료의 개발 필요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당뇨병 환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식사요법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이나 필요로 하는 내용을 조사하기 위하여 보건소나 종합병원에서 식사요법 교육을 위해 이용되는 자료 나 관련 문헌(17T9)을 참고하여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 8항 목, 가장 필요로 하는 내용 9항목을 선정하였으며 , 이를 환자들에게 제시하여 선택하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 '식품 교환 표를 이용하면 같은 영양소를 함유한 식품들을 개인의 기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쌀밥 1공기와 바꾸어 먹을 수 있는 식품은 빵 3조각이 다.' 등에 관한 문항의 점수가 0.
  • 4)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with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Wang KS, Lee SB, Lee HS, Jeon JS, Min KW, Han KA, Kim EJ. 1999.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iabetic patients controlled by diet and exercise. Diabetes 23: 98-105. 

  2. Son HS, Song KH, Han JH, Lee JM, Youn KH, Kang MI, Cha BY, Lee KW, Son HY, Kang SG. 1994.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relation to body mass index in Korean subjects. Diabetes Suppl 1: 07A0990037. 

  3. Yoon KH. 1999.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iabetes mellitus in Korea. Food Industry and Nutrition 4: 73-82. 

  4. Hong YS, Kim HJ, Sung YA, Kyung NH. 1997. A study on the pattern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ody weight and weight changes in Korean. NIDDM patients. Diabetes 21: 65-72. 

  5. Choi MJ. 1993. Relation of body fat distribution to calorie intake, blood glucose and exercise in female diabetics. Korean J Nutr 26: 164-173. 

  6. Ye HS, Jun JD, Park HS. 1996. Knowledge & practice about diet & exercise in NIDDM patients. J Korean Acad Fam Med 17: 223-231. 

  7.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0. Guide to diet therapy for Korean. 

  8. Nuttall FQ. 1983. Diet and the diabetic patient. Diabetes Care 6: 197-207. 

  9. Cho KO, Sung CJ. 1998. The effect of food habits and knowledge and perception of diet therapy for NIDDM patients commuting to a local health center received group nutrition education. Korean J Commu Nutr 3: 789-799. 

  1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2000.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p 10. 

  11. Choi JO. 1995. Knowledge, compliance and obstacles with diet therapy of the patients with diabetes melllitus.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 20-29. 

  12. Park SY, Kim HR. 1994. A study on dietary compliance and related variables in non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patients. Korean J Nutr 27: 356-367. 

  13. Kang HK. 1995. Effectiveness of social worker's intervention on diabetes mellitus patients' self-care behavior. MS Thesis. Yonsei University. p 19-65. 

  14. Yoon JS, Lee JH, Lee HJ, Lee IK. 2002. Assessment of the dietary adequacy of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Korean J Nutr 35: 531-543. 

  15. Kim KH. 1999. Knowledge, belief and practice on diet therapy for diabetics. MS Thesis. Inje University. p 10-30. 

  16.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995. Guide to nutritional counselling. p 55-61. 

  17. Eum YL. 1999. Diet therapy of diabetes. J Korean Diabetes Assoc 7: 63-66. 

  18. Asian Medical Center, Nutrition Dept. 1995. Handbook of clinical nutrition. Asian Medical Center, Seoul. 

  19.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996. Medical nutrition across the continuum of care: patient protocol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