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헌정보학 이론의 효율성과 활용성 연구
An Study on Efficiency and Use of Theori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21 no.1 = no.51, 2004년, pp.23 - 53  

김성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정동열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에서 이론개발과 이론활용이 이루어진 이론연구를 조사함으로써, 문헌정보학 이론의 효율성과 활용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본질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정보학의 대표 학술지를 두 종씩 선정하여 1984년부터 2003년 상반기까지 게재된 연구논문 1,661편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론개발과 이론활용에 대한 질적 평가를 위해 4단계의 이론 효율성 모델과 5단계의 이론 활용성 모델을 각각 분석척도로 사용하였다 이론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위해 연구의 배경적 속성(학회지. 발행국, 연구시기), 연구의 내용적 속성(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자 속성(소속, 전공, 연구경력)을 조사하고, 활용된 이론의 근원학문과 활용주기를 분석하였다. 또한 저자동시인용법을 적용하여 동시이론활용을 분석함으로써 20년간 문헌정보학 연구자들에 의해 형성된 이론적 기반에 대한 지적 구조를 규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dentity and relationship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exploring theoretical aspects of LIS research, including theory building and theory use.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s of 1,661 research articles published from 1984 to 2003 in two Korean ...

주제어

참고문헌 (16)

  1. 김영신. 1995. 비통보식 조사를 통한 참고사서 업무능력 평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9:305-343. 

  2. 박일종, 신상헌. 2000. 컨조인트 분석을 이용한 대학 도서관 기능요소의 부분가치 추정,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4(4): 161-174. 

  3. 정동열, 김성진. 2003. 문헌정보연구의 이론 활용성 분석, '情報管理學會誌', 20(1): 165-198. 

  4. 최은주. 1996. 사회과학 연구자의 정보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0(4): 13-38. 

  5. 한상완. 1993. 정보조사제공에 있어서 비언어적 커뮤티케이션의 응용모형개발을 위한 실증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5: 83-150. 

  6. Dubin, R. 1969. Theory Building. New York: Free Press. 

  7. Feehan, P. E., W. L. Gragg, W. M. Havener, and D. D. Kester. 1987.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an analysis of the 1984 journals literatur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9: 173-185. 

  8. Glaser, B. G. and A. L. Strauss.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Chicago, IL: Aldine Publishing. 

  9. Grover, R. and J. Glazier. 1986.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ory build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8: 227-242. 

  10. Julien, H. and L. Duggan. 2000.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information needs and uses literatur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2(3): 291-309. 

  11. Julien, H. 1996. "A content analysis of the recent information needs and uses literatur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8: 53-65. 

  12. McGrath, W. E. 2002. "Explanation and prediction: building a unified theory of librarianship, concept and review." Library Trends, 50(3): 350-370. 

  13. Paisely, W. 1986. "The convergence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cience." In Libraries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Electronic Age, edited by H. Edelman, 122-153. Philadelphia, PA: ISI Press. 

  14. Peritz, B. C. 1980. "The methods of library science research: some results from a bibliometric survey." Library Research, 2(3): 251-268. 

  15. Pettigrew, K. E. and L. McKechnie. 2001. "The use of theory in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2(1): 62-73. 

  16. Warner, A. J. 1991.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s of the impact of linguistic theory on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2(1): 64-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