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HCI 분야 문헌정보학 연구의 역할 분석과 방향성 고찰
Analysis of the Rol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lated Research Efforts in Korean Human Computer Interaction Subject Field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3 no.2 = no.100, 2016년, pp.177 - 200  

이지연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감미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  한남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  송한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제성이 강한 HCI 연구 내에서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가 수행한 연구내용과 역할을 분석하고 향후 타 학문분야와의 협력 가능성 및 수행 가능한 연구주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데이터는 문헌정보학 분야의 대표적인 국내 학술지 및 한국HCI학회 학술대회의 발표논문집에서 추출한 키워드와 소속 정보이며, 이들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빈도 분석을 하였다. 국내 HCI 분야에서는 정보통신, 컴퓨터공학, 기술산업 등이 활발한 교류를 보이고 있었으며, 문헌정보학은 연구 협력에 있어서 비교적 소극적이었다. 문헌정보학 연구의 HCI 분야 내 역할을 살펴본 결과, 타 분야와 협력이 필요한 전문적인 주제에 대해서는 그 관심도가 높지 않음을 발견했다. 그러나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에 타 학문분야 연구자들이 HCI 관련 논문을 다수 게재했다는 점과 기술산업 분야와도 어느 정도 연결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문헌정보학 분야가 기술산업 등 타 분야와의 협력을 통한 공동연구를 적극적으로 수행한다면 학계 간의 연구주제 확장 및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related research efforts in Korea contributed to the progress of the Human Computer Interaction (HCI) discipline to identify the potential collaboration research partners and topics. The following data was used fo...

주제어

참고문헌 (18)

  1. 민헌기, 김가원, 강성진, 권석주, 윤명환 (2014). 키워드 시각화를 통한 HCI 분야의 연구 네트워크 구조화.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7-211. (Min, Hun-Kee, Kim, Ga-Won, Kang, Sung-Jin, Kwon, Seok-Joo, & Yun, Myung-Hwan (2014). Structuring of HCI research trends using keyword network visualization. Proceedings of the Human Computer Interaction Korea Conference, 207-211.) 

  2. 유시천, 김명석 (1994). 휴먼-컴퓨터 인터렉션(HCI) 디자인에서의 비쥬얼 토큰의 특성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8(1), 36-37. (You, Si-Cheon, & Kim, Myung-Suk (1994). A study on the features of the visual TOKEN and its influences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8(1), 36-37.) 

  3. 윤철호 (1988). HCI,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정보과학회지, 6(5), 40-46. Yoon, Cheol-Ho (1988). HCI, interaction of Human and Computer.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 6(5), 40-46.) 

  4. 윤혁기, 김선재, 양윤석, 김진우 (2010). Human Computer Interaction 노인연구 문헌 조사 및 연구 방법론.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472-476. (Yoon, Hyuk-Ki, Kim, Sun-Jae, Yang, Yoon-Seok, & Kim, Jin-Woo (2010). Literature review and methodology for human computer interaction with older people. Proceedings of the Human Computer Interaction Korea Conference, 474-478.) 

  5. 이용정 (2015). 정부 및 공공기관의 보건 관련 웹 사이트의 웹 접근성: 자동 및 전문가 평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4), 283-304.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5.26.4.283 (Yi, Yong-Jeong (2015). Web accessibility of healthcare Websites of Korean government and public agencies: Automated and expert evaluation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6(4), 283-304.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5.26.4.283) 

  6. 이재윤 (2006a). 계량서지적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191-214. http://dx.doi.org/10.4275/kslis.2006.40.3.191 (Lee, Jae-Yun (2006a). Centrality measures for bibliometr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3), 191-214. http://dx.doi.org/10.4275/kslis.2006.40.3.191) 

  7. 이재윤 (2006b). 지적 구조 분석을 위한 새로운 클러스터링 기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4), 215-231. http://dx.doi.org/10.3743/kosim.2006.23.4.215 (Lee, Jae-Yun (2006b). A novel clustering method for examining and analyz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a scholarly fie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3(4), 215-231. http://dx.doi.org/10.3743/kosim.2006.23.4.215) 

  8. 이향이, 박지홍, 송예슬 (2014). 국내 HCI 학계 prolific 기관의 협업 네트워크. 한국HCI학회 학술대회논문집, 434-441. (Lee, Hyang-ee, Park, Ji-Hong, & Song, Yeseul (2014). Research collaboration networks of prolific institutions in the HCI field in Korea: An analysis of the HCI Korea conference proceedings. Proceedings of the Human Computer Interaction Korea Conference, 434-441.) 

  9. 정수진, 이지연 (2011). 연구정보시스템의 이용성을 위한 휴리스틱 개발에 관한 연구: 국가 연구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8(3), 355-376. http://dx.doi.org/10.3743/kosim.2011.28.3.355 (Jeong, Su-Jin, & Lee, Jee-Yeon (2011). The development of heuristics for the usability of research information 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3), 355-376. http://dx.doi.org/10.3743/kosim.2011.28.3.355) 

  10. Carroll, J. M. (2003). HCI models, theories, and frameworks: Toward a multidisciplinary science. San Francisco, Calif: Morgan Kaufmann. 

  11. Derry, S. J., Gernsbacher, M. A., & Schunn, C. D. (2005).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An emerging cognitive science. Mahwah, N.J.: Psychology Press. http://dx.doi.org/10.4324/9781410613073 

  12. Ferreira, S. M., & Pithan, D. N. (2005). Usability of digital libraries: A study based on the areas of information sciences and human computer interaction. OCLC Systems & Servieces: International Digital Library Perspectives, 21(4), 311-323. http://dx.doi.org/10.1108/10650750510631695 

  13. Henry, N., Goodell, H., Elmqvist, N., & Fekete, J. D. (2007). 20 years of four HCI conferences: A visual explo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23(3), 239-285. http://dx.doi.org/10.1080/10447310701702402 

  14. Kumar, S. (2014). Author productivity in the field of Human Computer Interaction (HCI) research. Anna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tudies, 61, 273-285. 

  15. Lopatovska, I., & Arapakis, I. (2011). Theories, methods and current research on emotion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retrieval,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47(4), 575-592. http://dx.doi.org/10.1016/j.ipm.2010.09.001 

  16. Morillo, F., Bordons, M., & Gomez, I. (2003). Interdisciplinarity in science: A tentative typology of disciplines and research area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4(13), 1237-1249. http://dx.doi.org/10.1002/asi.10326 

  17. Qin, J., Lancaster, F. W., & Allen, B. (1997). Types and levels of collaboration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the scienc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8(10), 893-916. http://dx.doi.org/10.1002/(sici)1097-4571(199710)48:10 3.0.co;2-x 

  18. Savage, R., Stader, S., McNeese, P. L., & Mouloua, M. (2005). A short history of HCI research and trends published in the journal human factors from 1984 to 2004. Proceedings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49(7), 778-782. http://dx.doi.org/10.1177/1541931205049007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