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전기-펜턴 공정을 이용한 phenanthrene 오염토양의 정화
Electrokinetic-Fenton Process for Removal of Phenanthrene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9 no.1, 2004년, pp.47 - 53  

양지원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  박지연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  김상준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  이유진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  기대정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동전기-펜턴 공정을 이용한 phenanthrene 오염토양 정화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토양 시스템 내에서 전기삼투흐름에 의한 과산화수소의 이동과 펜턴유사 반응에 의한 phenanthrene의 산화분해 양상을 살펴보았다. 10 mA와 5 mA의 두 가지 전류 조건 중에서, 10 mA일 때 더 높은 전압경사와 전기삼투유량이 관찰되었다. 높은 전기삼투유량은 토양 내로 많은 양의 과산화수소가 이동한 것을 의미하므로, phenanthrene 제거효율이 전기삼투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전기 정화기술만을 이용한 토양 세척에 의해 7일간의 가동기간 동안 8.5%의 phenanthrene이 제거되었다. Phenanthrene을 직접 산화분해하기 위하여 양극 전극조를 통하여 과산화수소 용액을 토양에 공급한 경우에는 14일 동안 최고 95.6%의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 종료 후 95.6%의 제거효율을 나타낸 토양시료를 분석한 결과 phenanthrene의 중간산물이 거의 관찰되지 않음으로써, 과산화수소의 연속적인 주입을 통하여 가동기간 중간에 생성된 중간산물들이 저분자 물질로 산화분해 되었거나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된 것으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asibility of electrokinetic process combined with Fenton-like reaction was investigated for the removal of phenanthrene from contaminated soil. Transport of hydrogen peroxide by electroosmosis and decomposition of phenanthrene by Fenton-like reaction were observed in a model system. Electrical p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로 감소할 때의 토양 내에서 일어나는 전류 및 전압의 변화와 제거효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가동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오염물의 전기삼투유량 및 제거효율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phenanthrene 오염토양의 정화를 위해 동전기펜턴 공정이 적용되었을 경우의 전압경사 및 전류,전기삼투유량, phenanthrene 제거효율, phenanthrene 중간산물의 분해에 대한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을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동전기펜턴 공정을 이용한 유류오염토 양 정화의 타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오염된 저수투성 토양을 대상으로 이 기술을 적용하였을 때의 전기삼투유량 및 전압경사를 관찰하고, phenanthrene 중간산물의 생성여 부를 분석하여 토양 내에서 phenanthrene의 산화분해 양상을 살펴보고, 동전기펜턴 공정의 오염물에 대한 제거 효율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최상일, 소정현, 조장환,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원위치 토양세정 기법 적용을 위한 기초 특성 연구', J of KoSSGE, 7(4), pp. 87-91 (2002) 

  2. 한상재, 김강호, 김수삼, ' 페놀로 오염된 토양의 Electrokinetic 정화 처리 현상에 관한 연구', J. of KSEE, 24(7), pp. 1243-1252 (2002) 

  3. 정하익, 지반환경공학, 유림, 태훈출판사, 서울 (1998) 

  4. Calabrese, E.J., Kostecki, P.T., Hydrocarbon contaminated solis and groundwater, Lewis Phblishers, Inc., U.S.A. (1992) 

  5. Acar, Y.B., Gale, R.J., Alshawabkeh, A.N., Marks, R.E., 'Electrokinetic remediation: Basics and technology status', J. of Hazardous Materials, 40, pp. 117-137 (1995) 

  6. Virkutyte, J., Sillanpaa, M., Latostenmaa, P, "Electrokinetic soil remediation-critical overview',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ment, 289, pp. 97-121 (2002) 

  7. Yeung, A.T., Hsu, C.N., and Menon, RM., 'EDTA-enhanced electrokinetic extraction of lead', J. of Geotechnical Engineering, 122(8), pp. 666-673 (1996) 

  8. Lageman, R., 'Electroredamation', Environ. Sci. Technol., 27(13), pp. 2648-2650 (1993) 

  9. Acar, Y.B., Alshawabkeh, A.N., 'Principles of electrokinetic remediation', Environ. Sci. Technol., 27(13), pp. 3638-3647 (1993) 

  10. Lee, H.H., Yang, J.W., 'A new methode to control electro-lytes pH by circulation system in electrokinetic soil remedi-ation', J. of Hazardous Materials, B77, pp. 227-240 (2000) 

  11. Ko, S.O., Schlautman, M.A., Carraway, E.R, 'Cyclodextrin-enhanced electrokinetic removal of phenanthrene from a model clay soil', Environ. Sci. Technol', 34, pp. 1535-1541 (2000) 

  12. Yang, G.C.C., and Long, Y.W., 'Removal and degradation of phenol in a saturated flow by in-situ electrokinetic remediation and Fenton-like process', J. of Hazardous Materials, B69, pp. 259-271 (1999) 

  13. Yang, G.C.C., and Liu, C.Y., 'Remediation of TCE contam-inated soils by in-situ EK-Fenton process', J. of Hazardous Materials, B85, pp. 317-331 (2001) 

  14. Watts, R.J., and Dilly, S.E., 'Evaluation of iron catalysts for the Fenton-like remediation of diesel-contaminated soils', J. of Hazardous Materials, 51, pp. 209-224 (1996) 

  15. Teel, A.L., Warberg, C.R., Atkinson, D.A., and Watts, R.J., 'Comparison of mineral and soluble iron Fenton's catalysts for the treatment of richloroethylene', War. Res., 35(4), pp. 977-984 (2001) 

  16. Ko. S.D., Schlautman, M.A., and Carraway, E.R, 'Parti-tioning of hydrophobic organic compounds to sorbed sur-factants : 1. Experimental studies', Environ. Sci. Technol., 32, pp. 2769-2775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