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가 크롬의 보조제로서의 역할
The Role of Trivalent Chromium as a Supplem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4, 2004년, pp.762 - 768  

박형숙 (한서대학교 환경공학과) ,  강영희 (한림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슐린 작용을 강화시키는 LMWCr의 발견과 크롬 결핍과 관련 있는 포도당 불내성(glucose intolerance)이 크롬 투여 시 반응을 보여준 임상적 증명 이후, 크롬은 확실한 필수 영양소로 인식되고 보조제로 사용되고 있다. 시험관 실험에서 고농도의 3가 크롬을 배양 세포에 노출 시, 일부 연구 결과에서 염색체이상 유발과 변이원성 효과가 발견되긴 하였으나 이는 비타민 A, D, 니코틴산, 셀레늄 등과 같은 많은 다른 영양소의 과잉 섭취 시 독성 효과를 나타내는 정도로 해석되며, 시험관 실험 결과들이 발암성의 증거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3가 크롬을 경구 보조제로 투여된 임상 치료에서 환자들은 독성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혈장 내 크롬 수치가 비 투여된 사람들에 비하여 조금 높았다. 크롬을 TPN 형태로 투여받은 환자들에게서도 우려했던 신체ㆍ정신적 효과와의 상관 관계가 없었으며 신기능부전을 나타낸 경우는 신장 독성을 주는 약들을 함께 복용한 경우로서, 우려되는 부작용은 없는 것으로 인정된다. 임상학적, 실험적으로 사용된 3가 크롬의 용량은 ESADDI 규정된 범위 50∼200 $\mu$g/day에서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일반적인 사용에 기준이 될 것이다. EPA는 모든 관련 자료들을 검토한 후에 크롬의 참고용량 (RfD) 수치를 70 mg/day로 결론지었으며, 다른 영양소들의 용량과 비교했을 때 대단히 넓은 수치이다. 3가 크롬은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인슐린 내성, 비정상적 지방대사를 개선시키기 위한 영양소로서 가능성을 가진다. 또한 크롬의 보충은 제II형 당뇨병과 다양한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가장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앞으로는 크롬 보조제 사용 시, 일부 연구자들이 3가 크롬 1000 $\mu$g/day의 안전성을 입증한 것과 같이 용량을 늘려 임상실험을 시도한 후 안전과 효능을 증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romium has been known to be involved in the glucose metabolism, and hence the utilization of cellular glucose is impaired in the chromium deficiency. Chromium has been recognized as an essential nutrient since the finding of low-molecular-weight Cr-binding substance (LMWCr) as a biological modif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들 크롬 보조제들이 널리 사용되면서 ① 영양물질로서 역할, ② 인슐린 내 성에 대한 치료저〕, 그리고 ③ 영양제 혹은 인슐린 내성 치료 제로 사용 시의 가능한 독성 들에 관한 논쟁이 일어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3가 크롬이 보조제로 사용 시의 역할과 독성효과 및 용량들에 관하여 토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David CM, Vincent JB. 1997. Chromiun oligopeptide activates insulin receptor tyrosine kinase activity. Biochemistry 36: 4382-4385 

  2. Costa M. 1997. Toxicity and carcinogenicity of Cr(VI) in animal models and humans. CRC Crit Revie Toxicol 27: 431-442 

  3. Shi X, Mao Y, Knapton AD, Ding M, Rojanasakul Y, Gannett PM, Dalal NS, Liu K. 1994. Reaction of Cr(VI) with ascorbate and hydrogen peroxide generates hydroxyl radicals and causes DNA damage: Role of Cr(IV)-mediated Fenton-like reaction. Carcinogenesis 15: 2475-2478 

  4. Dizadaroglu M. 1991. Chemical determination of free radical-induced damage to DNA. Free Radical Biol Med 10: 225-242 

  5. Brambilla G, Martelli A, marinari UM. 1989. Is lipid peroxidation associated with DNA damage? Mutat Res 214: 123-127 

  6. Ye J, Zhang X, Young HA, Shi X. 1995. Chromium (VI)-induced nuclear factor- ${\kappa}$ B activation in intact cells via free radical reactions. Carcinogenesis 16: 2401-2405 

  7. Bagchi D, Bagchi M, Balmoori J, Ye X. 1997. Comparative induction of oxidative stress in cultured J774A.1 macrophage cells by chromium picolinate and chromium nicotinate. Res Commun Mol Pathol Pharmacol 97: 335-346 

  8. Ryberg D, Alexander J. 1990. Mechanisms of chromium toxicity in mitochondria. Chem Biol Interact 75: 141-145 

  9. De Flora S, Bagnasco M, Serra D, Zanacchi P. 1990. Genotoxicity of chromium compounds. A review. Mutat Res 238: 99-172 

  10. Danielsson BR, Dencker L, Khayat A, Orsen I. 1982. Embryotoxicity of chromium: distribution in pregnant mice and effect on embryonnic cells in vitro. Arch Toxicol 51: 233-245 

  11. Endo A, Watanabe T. 1988. Analysis of protective activity of N-acetylcysteine against teratogenicity of heavy metals. Reprod Toxicol 6: 9-19 

  12. Ueno S, Susa N, Furukawa Y. 1990. Uptake and distribution of chromium in isolated rat hepatocytes and its relation to cellular injury. Kiasato Arch Exp Med 63: 49-57 

  13. Rajaram R, Nair BU, Ramasami T. 1995. Chromium (III) induced abnormalities in human lymphocyte cell proliferation: evidence for apoptosi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10: 434-440 

  14. Ivankovic S, Preussmann R. 1975. Absence of toxic and carcinogenic effects after administration of high doses of chromic oxide pigment in subacute and long-term feeding experiments in rats. Food Cosmet Toxicol 13: 347-351 

  15. Stearns DM, Wise JP Sr, Patierno SR, Wetterhahn KE. 1995. Chromium (III) picolinate produces chromosome damage in Chinese hamster ovarian cells. FASER J 9: 1643-1648 

  16. Jeejeebhoy KN. 1999. Chromium and parenteral nutrition. J Trace Elem Exp Med 12: 85-90 

  17. Hathcock JN. 1996. Safety limits for nutrients. J Nutr 126 (suppl): 2386-2389 

  18. Anderson RA. 1997. Chromium as an essential nutrient for humans. Regul Toxicol Pharmacol 26(suppl): 35-41 

  19. Offenbacher EG, Pi-Sunyer FX. 1980. Beneficial effects of chromium-rich yeast on glucose tolerance and blood lipids in elderly subjects. Diabetes 29: 919-925 

  20. Anderson RA. 1994. Stress effets on chromium nutrition of humans and animals. In Biotechnology in the Feed Industry. Proc Alltech Annu Spymp 10th Nottingham Univ Press, Nottingham, England. p 267-274 

  21. Anderson RA, Cheng N, Bryden NA, Polansky MM, Cheng N. 1997. Elevated intakes of supplemental chromium improve glucose and insulin variables in individual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46: 1786-1791 

  22. Burton JL, Nonnecke BJ, Dubeski PL, Elasser TH, Mallard BA. 1996. Effects of supplemental chromium on production of cytokines by mitogon-stimulated bovine peripheral bood mononucleal cells. J Dairy Sci 79: 2237-2246 

  23. Kegley EB, Spears JW, Brown TT Jr. 1997. Effect of shipping and chromium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response, and disease resistance in steers. J Anim Sci 75: 1956-1964 

  24. Lovrincevic I, Leung FY, Alfieri MAH, Grace DM. 1996. Can elevated chromium induce somatopsychic responses? Biol Trace Elem Res 55: l63-17l 

  25. Schrauzer GH, Shrestha KP, Arce MF. 1992. Somatopsychological effects of chromium supplementation. J Nutr Med 3: 43-48 

  26. Wasser WG, Feldman NS, D'Agati VD. 1997. Chronic renal failure after ingestion of over-the-counter chromium picolinate [letter]. Ann Intern Med 126: 410 

  27. Cerulli J, Grabe DW, Gauthier I, Malone M, McGoldrick MD. 1998. Chromium picolinate toxicity. Ann Pharmacother 32: 428-43l 

  28. Hathcock JN. 1997. Vitamins and minerals: efficacy and safety. Am J Clin Nutr 66: 427-4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