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후기 기녀의 머리형태가 일반여성의 머리형태에 미친 영향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al Hostess's Hair Shapes in the Last of Chosun Dynasty on the Modern Ladies Hair Shapes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54 no.3, 2004년, pp.1 - 11  

임영자 (세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조미영 (동원대학 피부미용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Confucian ideology dominated all over the society, the androcentric patriarchical society in the last of Chosun Dynasty produced the unequal power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It was traditional hostesses(kisaengs) who uniquely had an occupation among the women in this society. In moder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라는 쪽으로 새롭게 재해석되면서 기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의 사회활동을 금지시키고. 공식적인 여성교육을 하지 않던 유교사회에서 공식적으로 사회활동을 인정받으면서 교육을 받았던 여성 인 기녀의 머리 형태가 일반 여성들에게 미친 영향에 대하여 연구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조선시대에서 천시되어 역사의 장으로 묻혀 있던 기녀를 전문직 종사자와 패션의 리더4)라는 현대적 시각에 맞춰 조선 후기 가장 화려했던 기녀의 머리 형태가 일반 여성의 머리 형태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연구 내용은 조선시대의 통치 이념인 유교사상에 따른 조선 후기 여성들의 지위와 생활을 고찰해본 후 이에 반하여 사회참여가 많았던 기녀들의 사회적 지위와 생활을 통해 화려해질 수밖에 없었던 기녀의 머리 형태를 살펴보았으며 신분구별을 위한 국가의 노력과 지배층 남성들의 비난에도 불구하고 당시 기녀들의 머리 형태인 고대한 얹은 머리 형태와 한쪽으로 치우친 얹은 머리 형태가 일반 여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서 조사.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이배용 외 (2002) 우리나라 여성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 서울: 청년사. pp. 117-118 

  2. 박영미 (2002), 조선후기 가체 유행에 관한 연구 숙명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 75 

  3. 이배용 외 (2002) 우리나라 여성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 서울: 청년사.. p. 156 

  4. 권태연 (2000), 조선시대 기녀의 사회적 존재 양태와 섹슈얼리티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 9 

  5. 백혜리 (1997). 조선시대 성리학, 실학, 동학의 아동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 11 

  6. 송찬섭. 홍순권 (2000). 한국사의 이해.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p. 136 

  7. 이영화 (2003), 조선시대 조선사람들. 가람기획. p. 161 

  8. 이배용 외. (2002) 우리나라 여성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 서울: 청년사. pp. 164-165 

  9. 이영화. (2003), 조선시대 조선사람들. 가람기획. P. 118 

  10. 정성회 (1998), 조선의 성풍속 서울 가람기획. p. 36 

  11. 이성미 (2002), 우리 옛 여인들의 멋과 지혜 대원사. p.28 

  12. 이배용 외 (2002) 우리나라 여성들은 어떻게 살았을까1. 서울: 청년사, p. 165 

  13. 이연복. 이경복 공저 (2000), 한국인의 미용풍속. 서울: 월간 에세이 p.25 

  14. 이석래 (1973), 李朝의 여인상 을유문화사. pp. 134-135 

  15. 조광국 (2000), 기녀담. 기녀등장소설의 기녀 자의식구현 양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 19 

  16. 김정미 (1992), 우리나라 기녀 복식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 16 

  17. 유희경 (1993).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p. 275 

  18. 이영주 (2000) 조선시대 가체 변화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 17 

  19. 구남옥 (2000), 조선시대 복식 변천에 나타난 동조현상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P. 55 

  20. 정상숙 (1997) 한국 여성의 수발양식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 37 

  21. 정상숙. (1997) 한국 여성의 수발양식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 37 

  22. 이태호 (1996)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서울: 학고재, pp. 136-139 

  23. 김용숙 (1996).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pp. 47-49 

  24. 강영관 (2003), 조선사람들, 혜원의 그립 밖으로 걸어 나오다. 서울: 푸른 역사. p. 163 

  25. 김영숙 (1998). 한국복식문화사전. 서울: 미술문화. P.31 

  26. 유희경. (1993).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p.398 

  27. 이태호 (2002) 풍속화. 서울. 대원사. PP. 113-114 

  28. 김동욱(고려도경, 서올: 민족문화추진회. 1979. p 127) 

  29. 유희경(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1993. P 159) 

  30. 김혜정(1992). 고려시대의 기녀복식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 57 

  31. 이태호 (2002). 조선후기 회화의 사실정신 서울 학고재. p. 253 

  32. 박영미. (2002), 조선후기 가체 유행에 관한 연구 숙명 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 76 

  33. 英祖實錄 32年 1月 甲申. 禁士族歸女加? 代以俗名族頭里 加?之制 

  34. 英祖實錄 32年 甲戌. 命禁中外婦女?? 代以後?.......중략 常賤人則伋用?? 

  35. 유희경. (1993). 한국복식문화사 교문사. pp. 276-277 

  36. 正祖寶錄 12年 10月 辛卯. 常賤女人 街上露面之類及公 私賤井許令以本髮加首 而貼髮加?之制 名別禁斷 

  37. 김용문 (1982). 우리나라의 수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 33 

  38. 이영주. (2000) 조선시대 가체 변화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88 

  39. 중앙일보 (2001), 韓國의 美 民畵. p. 217 

  40. 국립국악원 (2001). 조선시대 연회도. pp. 219-221 

  41. 강명관. (2003), 조선사람들, 혜원의 그립 밖으로 걸어 나오다. 서울: 푸른 역사. pp. 32-33 

  42. 노현숙 (1994). 풍속화를 통해 본 조선시대의 일반서민 복식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 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